• 제목/요약/키워드: 정맥

검색결과 2,010건 처리시간 0.029초

혈액투석을 위한 상완동맥-두정맥단락 수술 후 발생한 거대한 정맥의 동맥류 -1예 보고- (Giant Venous Aneurysm after Brachiocephalic Arteriovenous Shunt for Hemodyalisis Access -A case report-)

  • 전순호;이철범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11호
    • /
    • pp.861-863
    • /
    • 2006
  • 우리는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혈액투석을 위한 상완동맥-두정맥단락술(brachiocephalic arteriovenous shunt)을 시행한 후 최근 빠르게 성장하는 아주 거대한 정맥의 동맥류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환자는 48세 남자로 7년 전 본원에서 동정맥단락술을 시행한 후 혈액투석을 해왔으나 좌측 상완의 정맥을 따라 점점 성장하는 정맥의 동맥류와 박동성 통증으로 혈액투석을 지속할 수 없었다. 내원 1개월 전 혈액투석을 지속하기 위해 타 의료기관에서 우측 손목관절부에 새로운 동정맥루를 조성하여 혈액 투석을 하고 있었다. 동정맥류가 너무 거대하여 동정맥단락 재건술은 시도하지 않았으며 수술은 전신마취하에서 동정맥루를 결찰하고 확장된 정맥의 동맥류를 모두 제거하였다. 환자의 술 후 경과는 양호하였다.

팔 오금에서 시행한 관통정맥을 이용한 동정맥루 조성술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Arteriovenous Fistula Using Perforating Vein on Antecubital Fossa)

  • 최광호;윤영철;이양행;조광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6호
    • /
    • pp.642-647
    • /
    • 2010
  • 배경: 팔 오금에서 시행되는 위팔동맥과 자쪽 피부정맥이나 노쪽 피부정맥을 이용한 동정맥루 조성술 외에 관동정맥을 이용한 동정맥루 조성술을 시행하여 개통률 및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조사,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5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본원 흉부외과에서 팔오금에 동정맥루 조성술을 시행받은 192명 205예의 수술을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실시하여 개통률 및 개통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관동정맥을 이용한 수술의 6개월, 1년, 2년 개통률은 75.91%, 60.79%, 37.80%으로 다른 혈관을 이용한 수술의 결과와 통계적으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여러 인자 중 연령에 따라 개통률에 차이를 보였다(p <0.001). 결론: 팔 오금에서 동정맥루 조성술이 필요한 환자에서는 관통정맥을 이용함으로써 노쪽 피부정맥과 자쪽 피부정맥을 사용할 수 있어 혈관의 접근 방법이 다양해지고 관통정맥의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술식의 어려움이 없어 수술 접근에 대한 추가적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고관절 주위 골절환자에서 술 전 색 도플러 초음파를 이용하여 진단한 심부 정맥 혈전의 빈도 (Incidence of Deep Vein Thrombosis before Hip Fracture Surgery Diagnosed by Color Doppler Sonography Surveillance)

  • 정재훈;이경재;민병우;손은석;구태원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98-104
    • /
    • 2014
  • 목적: 고관절 주위 골절 환자에서 술 전 색 도플러 초음파 검사를 이용하여 심부 정맥 혈전증을 진단하고 그 발생 빈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3년 6월부터 2014년 5월까지 본원에 내원한 고관절 주위 골절 환자 중 이전에 심부 정맥 혈전의 과거력이 없으며 술 전 색 도플러 초음파 검사에 동의한 환자 27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자가 8예, 여자가 19예이었다. 평균 연령은 74.3세(41-87)였다. 고관절 주위 골절의 진단명은 대퇴 경부 골절 15예, 대퇴 전자간 골절 11예, 비구 골절이 1예였다. 모든 수술은 본원 내원 후 48시간 이내에 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내원 24시간 이내에 색 도플러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심부 정맥 혈전은 총 6예(22.2%)에서 발견되었다. 이중 2예(7.4%)는 근위 심부 정맥 혈전이었고 4예(14.8%)는 원위 심부 정맥 혈전이었다. 심부 정맥 혈전 발생 군이 평균 79세(75-87), 발생하지 않은 환자 군이 평균 72세(65-86)로 유의하게 많았다(p=0.038). 결론: 고관절 주위 골절 환자에게 수술 이전 실시한 색 도플러 초음파 검사상 22.2%로 비교적 높은 빈도로 심부 정맥 혈전이 발견되었다. 고관절 주위 골절 환자에서 술 전 심부 정맥 혈전증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남한 정맥 마루금의 산림식생유형 및 식생구조 (The Types and Structures of Forest Vegetation on the Ridge of the Jeongmaeks in South Korea)

  • 박석곤;오구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753-763
    • /
    • 2015
  • 남한지역에 위치한 9곳의 정맥 마루금을 대상으로 식생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각 정맥별로 출현한 식물군락명을 중심으로 산림식생유형을 분석하였고, 전체 정맥의 식생조사 데이터로 정량적 분석(TWINSPAN, DCA)을 실시하여 식물군락 분류 및 식생구조 특성을 파악하였다. 정맥별 출현군락명의 비율은 호남 및 낙동정맥에서 신갈나무, 굴참나무 등의 낙엽성 참나무류 우점군락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또한, 한남금북, 낙동, 호남, 금남호남, 금남, 금북정맥에서는 타 정맥에 비해 낙엽성 참나무류 및 낙엽활엽수류 출현군락명의 비율이 비교적 높았다. 이에 비해, 낙남과 한남, 한북정맥은 인공림 출현군락명의 비율이 높은 산림식생유형을 보였다. 정량적 분석 결과, 8개의 군락이 그룹화되었는데 그 군락은 팽나무-예덕나무군락, 낙엽성 참나무류군락, 곰솔-리기다소나무림, 소나무-신갈나무군락, 신갈나무-굴참나무군락, 신갈나무-소나무군락, 신갈나무-낙엽활엽수군락, 신갈나무-잣나무군락이었다. 정맥을 대표하는 산림식생유형은 신갈나무 우점군락, 소나무 우점군락, 낙엽성 참나무류군락 등이었다.

GIS를 활용한 백두대간·정맥 추출 및 환경성평가 방안 연구 (A Study of the Baekdudaegan and Ridgelines Extraction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Utilizing GIS)

  • 이명진;이수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36-14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첫째, 실질적인 백두대간 및 정맥의 현황 및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능선축 대한 용어를 우선적으로 구분하였다. 둘째, 기존 발간된 종이지도, 산경표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백두대간 및 정맥 현황을 정리하였다. 셋째, 항공사진, 위성영상 및 수치지도 등을 바탕으로 하는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한북정맥, 한남정맥 및 금북정맥 등의 전국에 걸친 정맥을 재정립하였다. 분석의 정확성을 위하여 최신 수치지도로부터 DEM, 음영기복도, 경사도, 곡율도 및 경사 방향도를 기초자료로 분석하였다. 추출과정을 세밀히 분석하여 기존 백두대간을 보정 하였으며 신규로 정맥들을 추출하였다. 또한 백두대간 및 정맥 주변의 자연환경 현황을 분석하기 위하여 생태 자연도 등급 분포 현황을 능선축으로 1km 이내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 산능선부 관리제도에 대한 정책적 사항을 제안하고, 백두대간 및 정맥 이용 개발 시 환경성평가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정규화 되지 못했던 백두대간 및 정맥을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산지능선 관리에 대한 정책적 연계 및 주요 능선축의 이용개발 시 환경성평가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May-Thurner 증후군의 진단과 혈관내 치료 (Diagnosis and Endovascular Treatment of May-Thurner Syndrome)

  • 허균;이재욱;신화균;원용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1호
    • /
    • pp.911-917
    • /
    • 2004
  • 배경: 하지심부정맥 혈전증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는 May-Thurner증후군(혹은 장골정맥 눌림증후군)의 임상 증상, 진단 및 혈관내 치료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3월부터 2003년 7월까지 May-Thurner증후군으로 진단 받은 12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진단방법으로는 정맥조영술, 정맥초음파, 혈관조영 컴퓨터 단층촬영을 이용하였고 혈관내 시술은 혈전용해술, 혈전제거술, 혈관성형술, 혈관내 스텐트삽입 등을 시행하였다. 결과: 임상양상으로는 하지부종이 4예, 하지의 통증이 1예에서 보였으며 5예에서는 하지부종과 통증이 동반되었고 하지부종과 통증과 압통이 동반된 경우도 1예였다. 1예에서는 부종이나 통증은 없었으며 하지정맥류로 인해 시행한 정맥조영술에서 May-Thurner증후군이 발견되었다 진단방법으로는 임상양상과 더불어 1예를 제외하고는 모든 환자들이 정맥 조영술과 혈관조영 컴퓨터 단층촬영을 시행하였고 이중 4예에서는 정맥 초음파를 시행하였다. 혈관성형술을 11예에서 시행하였고, 혈관내 스텐트 삽입은 10예, 혈전 제거술은 9예, 혈전용해술은 7예에서 시행되었다. 9예에서 추적관찰을 하였고 이중 7예에서 혈관내 원활한 혈류의 흐름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 하지의 심부정맥 혈전증 환자에 있어서 May-Thurner증후군의 가능성을 충분히 인식하여야 하며 이의 진단을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필요하며 치료 방법으로는 혈관내 시술이 안전하면서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완전 거치형 정맥도관의 임상분석 (Clinical Review of Totally Implantable Venous Catheter)

  • 김정태;오태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10호
    • /
    • pp.691-695
    • /
    • 2007
  • 배경: 중심정맥 도관은 1979년 처음 사용된 이래로 암환자의 치료에 있어 많은 편의를 제공하였다. 이에 본원 흉부외과에서는 완전 거치형 정맥도관의 임상 양상 및 사용에 따른 합병증 등을 분석하여 향후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1월부터 2006년 2월까지 완전 거치형 정맥도관 시술을 받은 10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완전 거치형 정맥 도관 시술의 삽입정맥으로는 우측 쇄골하정맥 삽입이 74예(74%)였으며 좌측쇄골하 정맥(21예, 21%), 우측 경정맥(3예, 3%), 좌측 경정맥(1예, 1%)을 사용하였으며 1예에서는 우측 대퇴정맥을 사용하였다. 초기 합병증으로는 위치 이상이 5예(5%)와 동맥천자한 경우 5예 있었다. 만기 합병증으로는 쇄골하 정맥 혈전 형성이 한 예 있어 현재 항응고제 복용중이며 pinch off 증후군이 2예 있었다. 그 외의 초기 또는 만기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완전 거치형 도관의 사용은 합병증의 발생률은 낮고 비교적 안전한 방법이지만 감염, 혈전 형성, 도관의 절단 등은 장기간 사용시 나타날 수 있는 합병증으로 초기에 진단 및 치료가 된다면 더 큰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심부 대퇴정맥에 발생한 혈관 평활근육종 - 1예 보고 - (Angioleiomyosarcoma Arising from the Deep Femoral Vein - A report of one case -)

  • 황성욱;곡낙수;정호중;손동섭;조대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3호
    • /
    • pp.381-385
    • /
    • 2008
  • 두 차례의 좌측 하지 부종이 있던 69세 남자 환자가 심부 정맥 혈전으로 본원에 입원하였다. 처음은 2007년 6월에 유럽 여행에서 귀국 시 11시간 비행 후 좌측 하지 부종이 있었으며, 그 후로 2007년 7월 요추 수술 후 3일만에 다시 좌측 하지 부종이 나타나서 본원에 내원하였다. 입원 후 심부 대퇴 정맥에 발생한 심부 정맥 혈전으로 치료하였으나, 심부 정맥 혈전에 대한 수술 후에 혈관 평활근육종이란 조직 검사 결과를 알게 되어 이차 수술로 심부 대퇴 정맥을 제거하였다. 본원에서는 심부 정맥혈전의 양상을 보인 혈관 평활근육종 1예를 치험하였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중증 승모판 협착증에 동반된 기관지 정맥류 (A Case of Bronchial Varices in a Patient with Severe Mitral Stenosis)

  • 문선유;김선영;천원석;엄광석;장승훈;반준우;김동규;정기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8권2호
    • /
    • pp.174-178
    • /
    • 2005
  • 기관지 정맥류는 기관지 정맥압이 상승하는 승모판 협착증이나 폐정맥 폐쇄증에서 이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기관지 정맥류는 주로 좌측 주기관지에서 관찰되며, 드물지만 기관지 정맥류의 파열로 대량 객혈이 가능하고 사망할 수도 있다. 저자들은 중증 승모판 협착증 환자에서 동반된 기관지 정맥류를 기관지내시경에서 우연히 관찰하였고 승모판치환술 후 기관지 정맥류가 호전되어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Poly Phase Filter 기반의 영상 스케일러를 이용한 개선 된 정맥 영역 추출 방법 (Enhanced Vein Detection Method by Using Image Scaler Based on Poly Phase Filter)

  • 김희경;이승민;강봉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734-739
    • /
    • 2018
  • 생체 인식 방식 중 하나인 지문 인식과 홍채 인식 등은 태양광과 같은 외부 요소에 쉽게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최근에는 생체 내부의 특징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지정맥 인식을 이용하고 있다. 정확한 정맥 인식을 위해서는 정맥 영역과 배경 영역을 확실하게 분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입력 영상에 포함 된 불균일한 조명 성분의 영향으로 정맥 영역과 배경 영역을 분리하는 것이 어려웠기 때문에 입력 영상의 조명 성분을 정규화 시킨 후 정맥 영역과 배경 영역을 분리 할 수 있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조명 정규화 방법을 바탕으로 영상 스트레칭 과정이 포함 된 영상의 전처리 단계와 이진화, 레이블링 방법을 개선하여 기존의 정맥 인식 기법에 비해 더 나은 질적 개선을 이루고 처리 속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