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기기부자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정기기부자의 기부 지속기간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기부대상에 대한 인식(identification) vs. 권한 위임(authority delegation) (A Study of Regular Donors' Giving Duration : Identification effect vs. Authority delegation effect)

  • 강철희;김기석;편창훈
    • 한국사회복지행정학
    • /
    • 제21권1호
    • /
    • pp.105-130
    • /
    • 2019
  • 본 연구는 민간비영리기관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핵심 자원의 하나라 할 수 있는 정기기부자의 기부지속기간에 초점을 둔다. 정기기부자의 기부는 기부대상에 대한 인식(identification)을 기반하여 대상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혹은 비영리기관에 기부금의 집행에 대한 권한을 위임(authority delegation)하는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는데, 본 연구는 관련 이론 즉 기부대상 인식효과 가설과 비영리기관에 대한 권한위임 가설을 기반으로 정기기부자의 기부지속기간을 실증적 분석하며 그 영향력의 차이가 어떠한지를 검증한다. 이를 위해 S 비영리기관의 기부자 자료를 활용하여 모수적 생존분석의 방법들 중 자료에 가장 효율적으로 정합하는 와이블(Weibull) 모형을 토대로 분석한다. 분석결과, 기부금 집행에 있어 권한을 위임하는 정기기부자 집단을 준거로 했을 때, 기부대상을 인식하여 지정하는 기부자들 중 국내 대상자들을 선택한 기부자집단의 경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으나 해외 대상자들을 선택한 기부자집단의 경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기부지속기간이 보다 더 짧게 나타났다. 다르게 표현하면 기부대상 인식에 있어서 국내 대상자를 선택(내집단 인식)하여 기부하는 정기기부자가 해외 대상자를 선택(외집단 인식)하여 기부하는 정기기부자보다 기부지속기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긴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인식에 있어 내집단을 선택하는 정기기부자의 관여도가 더 크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외집단을 선택하는 정기기부자의 경우에는 권한위임의 경우보다 기부지속기간이 유의미하게 짧은데, 이는 권한위임을 하는 정기기부자의 관여도 역시도 내집단 선택만큼이나 유효하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한편 통제변수들 중에서는 연령, 약정금액, 최초의 가입형태(정기기부와 일시기부), 기부금 납부형태가 정기기부자의 기부지속기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기기부자의 기부지속기간에 대한 이론적 검증을 통해 지식을 구축, 확장, 심화하는 데 기여할 뿐만이 아니라 비영리기관의 기부자 개발 및 관리 전략의 구성에 일정한 단초를 제공한다는 점에서도 의미를 지닌다.

일상적 나눔행동과 유산기부 의향의 인과관계 추정: 성향점수 매칭(PSM) 분석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iving & Volunteering Behavior and Charitable Bequest Intention: Analysis by Propensity Score Matching)

  • 강철희;안성호;김윤경
    • 한국사회정책
    • /
    • 제19권3호
    • /
    • pp.85-117
    • /
    • 2012
  • 본 연구는 나눔의 꽃이라 여겨지는 유산기부에 초점을 두고 기부 및 자원봉사 행동 등과 같은 일상적 나눔의 행동이 유산기부 의향에 어떠한 영향력을 갖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인과적 관계의 분석을 위하여 2011 사회조사 자료를 사용한 성향점수 매칭 분석이 활용되었다. 기부 및 자원봉사에의 참여 및 정기성을 기준으로 여섯 가지로 세분화된 나눔의 행동을 구분하고 이들 각각의 유산기부의향에의 영향력을 파악하는 모형을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일상적 나눔행동의 유산기부의향에의 영향력 관계에서는 일관적인 패턴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기본적으로 나눔행동이 결합적인 경우 그리고 정기적인 경우 유산기부의향은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그동안 연구되지 않았던 유산기부와 관련하여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며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아울러 향후 유산기부자 개발을 위한 실천적 지식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