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접촉과정

Search Result 736,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구리표면 접촉에 의한 건조 고춧가루의 특성 평가 (Quality Evaluation of Dried Red Pepper After Copper Plate Contact)

  • 오영지;박선영;송이슬;강스미;홍정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77-18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건조 고춧가루의 가공 및 저장라인에서 구리의 이용가능성을 조사하였다. 구리와 스테인리스강 표면과의 접촉을 통한 고춧가루의 색도 변화를 평가한 결과, 55℃에서 2시간 구리 판에 처리한 시료의 명도가 다소 증가하였다. 구리와 스테인리스강 접촉에 의한 고춧가루 내 미생물 저해는 중온성의 호기성 세균보다 곰팡이 및 효모의 저해에 더 효과적이었고, 55℃에서 2시간 구리 접촉에 의해 곰팡이와 효모의 수는 0.64 log 감소하여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산화방지 활성은 구리와 스테인리스강 접촉 고춧가루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감소한 반면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구리 또는 구리와 스테인리스강 등의 합금을 이용하여 고춧가루를 포함한 다양한 분말 식품의 가공 및 저장 과정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Methyltrimethoxysilane과 Trimethylethoxysilane을 이용한 비불소계 발수 코팅 도막의 제조 (Preparation of Non-Fluorinated Water Repellent Coating Films Using Methyltrimethoxysilane and Trimethylethoxysilane)

  • 김동구;이병화;송기창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7권2호
    • /
    • pp.177-184
    • /
    • 2019
  • Methyltrimethoxysilane (MTMS)과 trimethylethoxysilane (TMES)을 전구체로 사용하여 비 불소계 발수 코팅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코팅 용액을 냉연 강판 위에 스핀 코팅하고 열 경화시켜 발수 코팅 도막을 제조 하였다. 이 과정 중 코팅 도막의 소수성에 미치는 TMES/MTMS의 몰 비 영향이 연구되었다. 코팅 도막의 소수성은 접촉각 측정, 표면 형상 분석 및 적외선 분광법을 사용하여 연구되었다. TMES/MTMS의 몰 비를 0에서 30까지 변화 시켰을 때, 코팅되지 않은 냉연강판의 접촉각은 $30^{\circ}$인 반면에 TMES/MTMS의 몰 비가 1인 경우는 접촉각이 $104^{\circ}$로 크게 증가하여 발수성이 향상되었다. 또한 TMES/MTMS의 몰 비가 10, 15, 25, 30인 경우는 각각 접촉각이 $109^{\circ}$, $114^{\circ}$, $117^{\circ}$, $144^{\circ}$로 TMES/MTMS의 몰 비가 증가할수록 냉연강판의 접촉각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때 코팅 도막의 소수성은 표면 거칠기의 증가와 코팅 표면에서의 메틸 성분의 함량 증가로 인해 향상되었다. 특히 TMES/MTMS의 몰 비가 30인 경우에는 TMES의 메틸기로 인한 발수성뿐만 아니라 표면 입자의 존재로 인해 전체적인 표면 거칠기가 크게 증가하였기 때문에 $144^{\circ}$의 초발수성을 나타내었다.

라만 형광 분광법을 이용한 PSC 박스교 인장케이블 응력측정방법 연구 (Non-contact Stress Measurement in Steel Member of PSC Box Bridge Using Raman Spectroscopy)

  • 김종우;김남규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130-134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레이저기반 응력측정을 위한 비접촉식 로드셀을 개발을 위하여, 실내실험을 통하여 기술을 검증하고, 실규모 실험을 통하여 문제점을 파악하였으며, 최종적으로 현장적용에 적합한 응력측정용 비접촉식 로드셀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심공 압축타입의 로드셀 제작에 사용되는 로드셀 몸체 표면에 용사코팅기술을 이용하여 알루미나를 도포하고, 레이저를 기반으로한 압분광법을 이용하여, 비접촉식으로 응력을 계측하였다. 이때, 인가되는 응력과 스펙트럼 이동간의 관계가 선형임을 확인하였다. 해당 기술의 현장 적용성 확인을 위하여, 실규모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시편을 제작하고, 레이저를 조사하여 인가된 응력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반복적인 상황 하에서 레이저 조사 위치가 동일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프로브를 고정할 수 있는 케이싱이 포함된 로드셀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고, 실내일축압축시험을 통하여 압축력과 스펙트럼 이동간의 선형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비접촉식 로드셀을 이용하여, 압축력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전자상거래 구매동기에 대한 군집 및 포지셔닝 연구 (A study on cluster and positioning of domestic electronic commerce based on purchasing motivation)

  • 정동빈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4호
    • /
    • pp.841-856
    • /
    • 2015
  • 본 연구에서 국내 13개 업종과 16개 행정구역을 대상으로 전자상거래 구매동기와 관련된 다섯 개의 양적평가속성 (거래과정단순화, 구매비용절감, 공급자와 직접접촉, 업무추진속도향상, 기타)에 대해, 유사한 속성을 지닌 업종/행정구역들을 유사성 있는 군집끼리 분류 및 세분화하고 다차원 공간상에 시각적으로 배치시켰다. 정보화통계조사 (국가통계포털, www.kosis.kr)의 일환으로 전자상거래 경험이 있는 사업체를 대상으로 자료를 조사하였다. 구매동기 평가속성을 중심으로 유사성이 강한 업종과 행정구역을 분류한 결과 각각 4개와 2개로 유형화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더 나아가 다차원 척도법을 사용하여 각 군집에 속한 업종 및 행정구역의 포지셔닝을 실시한 결과, 구매과정단순화, 구매비용절감 및 공급자와 직접접촉 속성에 대해서, 업종의 도 소매업, 기타 및 제조업이, 행정구역의 서울과 경기가 우위에, 제주는 가장 열세한 위치에 놓여있다. 반면에 업무추진속도향상과 기타속성에 대해서, 업종의 기타와 단체수리 기타 개인서비스업이, 행정구역의 충북과 경남이 각각 우위에 있으며, 도 소매업, 숙박 음식점업과 대구 및 경기는 열등한 점수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무한 탄성체의 헤르츠 접촉하의 경사진 표면균열의 전파거동 (Propagation Behavior of Inclined Surface Crack of Semi-Infinite Elastic Body under Hertzian Contact)

  • 김재호;김석삼;박중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624-635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마멸과정을 선형파괴역학적 관점에서 해석하여, 탄성체의 표면 에 산재되어 있는 표면균열의 전파거동을 마멸과정규명의 입장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마멸거동에 관한 파괴역학적 접근방식에 의한 마멸이론의 확립을 위해서, 표면균 열이 내부균열보다 그 전파 가능성이 높다고 한 Keer등의 주장에 착안하여 Hertz 접촉 압력하의 경사진 표면균열의 전파거동을 선형파괴역학적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이론 해석에 있어서는 표면균열을 인상전립의 연속분포로 치환하고, 전립밀도분포함수에 관 한 특이적분방정식을 유도해서 Erdogangupta의 방법을 이용하여 그 해를 구하였다.

접촉 글로우 방전 전기분해(CGDE)에 의한 후코이단의 저분자화 (Depolymerization of Fucoidan by Contact Glow Discharge Electrolysis(CGDE))

  • 배정식;이정식;김영숙;심우종;이호;천지연;박권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5호
    • /
    • pp.886-891
    • /
    • 2008
  • 접촉 글로우방전 전기분해(CGDE)는 일반적인 전기분해와 다르게 높은 전압에서 전극과 전극을 둘러싼 전해질 사이에 글로우 방전에 의한 플라즈마가 형성돼 일어나는 전기분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NaCl 용액에서 CGDE 거동을 파악하고 그리고 CGDE에 의한 후코이단의 저분자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NaCl 전해질에서 CGDE 과정이 시작되면 전압 증가에 따라 글로우 방전이 활발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전류밀도가 감소하고 온도가 내려갔다. 반응시간에 따른 후 코이단의 분자량 변화로부터 저분자화반응은 1차 반응속도 식을 따름을 보였다. CGDE에 의해 후코이단의 분자량이 처음의 약 1/40로 감소하였으며, CGDE 저분자화 과정에서 황산기 함량과 fucos 함량의 감소가 없었다.

잎차용 다기 형태에 따른 문제 해결을 위한 잎차용 빨대 개발 (Invention of a Straw-shaped Device to Solve the Problem Caused by the Shape of a Normal Teapot)

  • 김중만;차경옥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20-229
    • /
    • 2010
  • 본 연구는 잎차용 3가지 형태의 기존 다기의 구조에 따른 문제점을 조사하고, 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개발한 잎차용 빨대의 효과를 조사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기존의 다기로 잎차를 우려 마실 때 잎차를 일차적으로 차 우림 용기에 넣고 데운 찻물을 부어 우린 다음 여과 과정을 거친 다음 별도의 차액의 표면적인 극적으로 증가되는 과정이 필연적이기 때문에 차액의 온도가 음용 적은 이하로 냉각되기 쉬운 문제와 공기와의 접촉에 의한 차액의 맛과 향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처럼 기존 다기 사용에서 공통적으로 일어나는 차액의 공기와의 접촉 면적과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바닥이 평면인 원통 수직 벽면의 최 하단으로부터 5mm 높이 내에 직경이 1~2 mm인 수 개의 여과구를 단층으로 형성한 잎차용 빨대를 개발하였다. 이 잎차용 빨대는 잎차를 우린 다음 차액을 거르지 않고 우림 용기에 직접 꽂아 음용할 수 있어 기존 다기를 사용한 경우보다 차액의 온도가 높게 유지되어 따뜻한 차액을 음용할 수 있었고, 관능적 평가에서 차 향 및 입안의 느낌을 포함한 전체적인 차 맛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었다(p<0.05).

  • PDF

스미어 현상이 발생한 암반에 근입된 현장타설말뚝의 주변부 거동예측을 위한 변수분석 (A Parametric Study for Estimating the Side Performance of Drilled Piers Socketed in Smeared Rock)

  • 김홍택;남열우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5-13
    • /
    • 2008
  • 충전물이 암 절리면의 전단강도를 감소시키는 것과 유사하게 콘크리트와 주변 암반근입부 사이의 연약한 물질은 암반에 근입된 현장타설말뚝의 주면저항력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현상은 콘크리트 타설 후에 암반 근입부 측벽에서 천공잔류물이나 스미어 또는 재성형 암반을 생성시키는 시공과정에서도 형성되게 된다. 콘크리트 말뚝과 주변 암반 사이의 접촉면의 특성은 시공법에 따라서 크게 영향을 받는다. 콘크리트 타설과정 또는 그 이후 형성되는 연약한 물질이 존재하거나 거칠기와 같은 콘크리트-암 접촉면의 특성은 말뚝의 주면부 거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유한차분법 코드를 기반으로 하는 FLAC 2D를 이용하여 스미어현상이 발생한 암반에 근입된 현장타설말뚝의 거동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변수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정적연직하중을 받는 암반에 근입된 현장타설말뚝의 극한주면저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말뚝두부의 침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스마트 기기의 비 접촉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비전 기반 고속 손동작 인식 기법 (Vision based Fast Hand Motion Recognition Method for an Untouchable User Interface of Smart Devices)

  • 박재병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49권9호
    • /
    • pp.300-306
    • /
    • 2012
  • 본 논문은 스마트 기기의 비 접촉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비전 기반 손동작 인식 기법에 대해 제안한다. 먼저 스마트 기기의 저 용량 메모리와 낮은 계산 능력을 고려하여 컬러 원본 이미지를 그레이 스케일 이미지로 변환하고 해상도를 줄이는 전처리 과정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손의 수평, 수직 움직임을 분리하여 강인하게 손동작을 검출할 수 있도록 수평, 수직 주요 검출 대상 영역을 정의한다. 그리고 연속적으로 획득된 영상의 차분 영상으로부터 손의 움직임에 의해 주요하게 변화되는 픽셀들의 무게 중심을 구하고,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무게 중심 값에 대한 최소 자승 선을 정의하여 손의 움직임 방향을 인식한다. 제안한 방법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비전 시스템에 의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고전압 임펄스에 의한 스케일 제어 (Control of scale formation using high voltage impulse)

  • 양선희;장인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2301-230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산업용수의 처리 및 운용 과정에서 중요한 문제점으로 지목되고 있는 탄산칼슘에 의한 스케일 형성을 제어하기 위해 고전압 임펄스 (High Voltage Impulse, HVI) 기술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전원부, 고전압발생부, 축전기, 스위치 및 임펄스발생기로 구성된 HVI를 제작하여 17kV의 고전압 펄스를 생성시켰다. 반응조에 $Ca^{2+}$을 포함하고 있는 인공 시료를 투입한 후 HVI를 인가하였다. HVI 접촉시간 5분 후에는 $Ca^{2+}$ 초기값의 3.0% 가량만 감소하였으나, 접촉시간 60분 후에는 약 13.7% 가량 감소하였다. HVI 인가로 인해 용액의 온도와 pH는 증가하였고 전기전도도는 탄산칼슘 석출로 인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칼슘 이온의 감소가 충분하지는 않았지만 전계의 세기 및 접촉시간에 따른 제거율에 간한 구체적인 정보가 얻어진다면, HVI 기술을 적용하여 $Ca^{2+}$ 이온을 탄산칼슘으로 미리 석출시켜 제거하는 연수화 (softening) 공정이나 탈염 기술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