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점막

Search Result 1,31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Rectal Prolapse in Children (어린이 탈직장의 경화요법)

  • Lee, Myung-Duk;Kim, Won-Woo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v.1 no.2
    • /
    • pp.133-139
    • /
    • 1995
  • Because rectal prolapse in pediatric age was known to have a self-limitting natural history in weeks to years, this disease is prone to be regarded as a minor condition to the most of surgeons. But to the children and the parents who have to be suffered each time could be a heavy distress. Even though operative or nonoperative methods can be applicable for treatment, the main problem is in surgeon's side, whose preference i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adult patients. The authors have experienced 16 cases of ano-rectal prolapse for 9 years since 1986. Eleven of them were true rectal prolapses. In 7 cases of true type, injection therapy has been tried. One ml of five percent phenol in glycerine was injected into the submucosal layer of the ano-rectal angle level at both lateral and posterior sides. After first trial of each cases, 5 of them were cured completely so far. Recurrences were in two cases, but one of them was temporary to be subsided afterward. Complete bowel cleansing and adequate sedations were required as preoperative preparations. Two days' oral antibiotics and two weeks' laxatives for free of defecation straining were recommended after the procedure. The safety of sclerosis was supported by the experimental histology. In pediatric rectal prolapse, sclerosis seems to be a safe and effective treatment of choice without any significant morbidity.

  • PDF

Freeze-Substitution and Freeze-Fracture Studies on Epithelial Transport of Toad Bladder (Toad bladder의 상피수송(上皮輸送)에 관한 동결치환(凍結置換) 및 동결절단법(凍結切斷法) 연구(硏究))

  • Jeon, Jin-Seok
    • Applied Microscopy
    • /
    • v.20 no.2
    • /
    • pp.81-101
    • /
    • 1990
  • Toad bladder의 상피수송(上皮輸送)을 분석(分析)하기 위하여 동결치환(凍結置換) 및 동결절단법(凍結切斷法)을 적용(適用)하여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 관찰(觀察)을 실시하였다. 방광(膀胱)의 점막층(粘膜層)은 과립성세포(顆粒性細胞), 미토콘드리아가 풍부한 세포, 점막분필세포(粘膜分泌細胞) 및 기저세포(基底細胞)등 4가지 세포로 구성되어 있었다. 과립성세포(顆粒性細胞)는 점막표면적의 대부분을 점유하며 $Na^+$ 수송(輸送)에 주요한 역할을 하고, 정단부(頂端部)의 세포질에는 다수의 과립이 분포하며 정단세포막(頂端細胞膜)은 microvilli type I로 배열되어 있고, 표면에 glycoprotein을 함유하는 세포외막(細胞外膜)이 관찰되었다. 대조적으로 미토콘드리아가 풍부한 세포는 세포질 전역에 걸쳐 다수의 미토콘드리아가 분포해 있으며 주요 기능은 $H^{+},\;K^{+}$$HCO_{3}^{-}$ 분필수송(分泌輸送)에 관여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들 수송상피(輸送上皮)는 정단부가 견고연접(堅固連接)으로 둘러 싸이고 기저세포막(基底細胞膜)은 인접세포와 서로 분리되므로 상피세포의 극성이 유지되며 정단부(頂端部) 세포막과 기저세포막의 수송특성(輸送特性)은 각기 다르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두꺼비 방광(膀胱)에서 상피수송(上皮輸送)은 세포 통과수송 및 세포간 분류수송 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세포막 투과성(透過性)의 조절과 관련하여 동결절단(凍結切斷) 전자현미경 관찰에 의하면 forskolin에 촉진된 정단부(頂端部) 세포막 투과성의 변화는 세포막내(細胞膜內) 입자(粒子)의 분포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과립성세포(顆粒性細胞)에서 집단으로 관찰되는 세포막내(細胞膜內) 입자(粒子)는 forskolin에 유도된 정단세포막(頂端細胞膜) 투과성의 변화를 나타내주는 것으로 사료되나 이의 기능적 의미에 대하여는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고 본다.

  • PDF

Superficial Esophageal Carcinoma Coexisting with Esophageal Leiomyoma (식도의 평활근종과 공존하는 표재성 식도암)

  • Park Ji Kwon;Chon Soon-Ho;Kim Young Hak;Chung Won Sang;Kim Hynck;Lee Cheol Burm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8 no.1 s.246
    • /
    • pp.76-79
    • /
    • 2005
  • The coexistence of mesenchymal tumor and carcinoma in the esophagus is extremely rare. We report a case of squamous cell carcinoma located at the mucosal surface over leiomyoma of the esophagus. A 76-year-old man with complaints of 3 months onset of odynophagia was diagnosed preoperatively as squamous cell carcinoma over submucosal tumor with calcification. Esophagectomy and esophagogastrostomy were performed through the right thoracotomy and upper median laparotomy. The patient is doing well without evidence of recurrence in the 25 months after resection. We discuss the pathogenesis and possible relations between the two tumors.

A Study o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Burning Mouth Syndrome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의 임상적 특징에 관한 연구)

  • Jin-Woo Chung;Ki-Yong Hyun;Sung-Woo Lee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19 no.2
    • /
    • pp.7-23
    • /
    • 1994
  •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은 객관적 징후없이 구강점막에 작열감을 나타내는 만성동통장애이다. 다양한 원인요소들이 제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요소들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아직 분명하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구강내 기능이상의 근본적이고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다양한 임상적 관찰과 원인요소의 분석등이 계속 연구 조사되어져야 할 것이다. 저자는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의 증상을 호소하는 112명의 환자의 임상적 특징에 대해 조사하고자, 환자군과 대조군에 대해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에 관한 설문조사 및 구강검사와 혈액학적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점도계를 사용하여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 환자의 자극이 전타액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환자의 심리적 요인을 파악하고자 간이정신진단검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은 주로 페경기 전후의 여성에서 많이 나타났으며, 호발부위는 혀, 치주 및 치조점막, 구개, 협점막의 순이었다. 2.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 환자에게서 대조군 비해 구강건조감, 미각 및 수면장애, 빈혈, 소화기 장애, 두통과 기타 다른 신체불편감의 호소 등이 더 많이 나타났다. 3. 혈액학적 검사결과,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 환자중의 26%와 12%에서 각각 혈중 엽산농도와 철분농도의 저하를 나타냇다. 4. 자극시 분비된 전타액의 점도는 40대와 50대이상의 연령군에서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 환자가 정상인에 비해 높았다.(p<0.01). 5.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 환자군의 간이정신진단검사의 각 증상차원 및 전체지표의 T점수의 평균치는 정상범위내에 있었으며, 신체화(SOD)와 우울 (DEP)차원의 평균치가 가장 높았다.

  • PDF

Radioprotective Effects of Dandelion(Taraxacum officinale) (민들레 추출물의 방사선 방호효과)

  • Choi, Jun-Hyeok;Ji, Tae-Jeong;Min, Byung-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1
    • /
    • pp.287-293
    • /
    • 2013
  • Dandelion(Taraxacum officinale), an oriental herbal medicine, has been shown to favorably affect choleretic, antioxidative and protection of gastric mucosa. The protective effects of common dandelion leaf and root extract were investigated by irradiation in Sprague-Dawley rats. Male SD rats, 6weeks, were orally injected with dandelion extract(100mg/kg) for 10days. Immediately after final injection, rats were whole body irradiated with 10Gy used irradiation facility(Elekta Linac, Sweden). At 24h-15days after irradiation, complete blood counted test and apoptosis in jejunal crypt cell. Stimulated recovery by the extract was observed in platelet but was not showed in the erythrocyte and leucocyte. The jejunal crypt cells were protected significantly(p<0.05) and the radiation-induced apoptosis was reduced(p<0.05). The survival rate were carried for 15days, the survival ratio was 15% and 85% for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Observations intestinal inhibition of cell death, intestinal mucosa and tissue decreased systemic inflammation and vacuole. Base on these data, we propose that dandelion may be a useful radioprotector, especially since it is a relatively nontoxic natural produ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