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점막

Search Result 1,31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성대 점막하 출혈에 관한 연구

  • 안철민;정덕희;한규철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9.11a
    • /
    • pp.178-178
    • /
    • 1999
  • 배경 : 치유 과정에서 성대점막에 반흔을 형성하여 영구히 음성변화를 유발시킬 수도 있는 성대 점막하 출혈은 드물지 않게 접하게 되는 질환이지만, 이것에 대한 자세한 연구는 많지가 않았다. 목적 : 저자들은 성대 저막하 출혈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원인과 이것에 영향을 주게 되는 요소들이 어떤 것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중략)

  • PDF

LHRH 및 그 analogue인 〔D-Ala$^{6}$ LHRH의 효소적 분해산물의 확인 및 정량

  • Lee, Mi-Jung;Park, Jung-Sook;Han, Gun;Moon, Do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4.04a
    • /
    • pp.299-299
    • /
    • 1994
  • 펩타이드 약물의 일종인 LHRH 및 그의 analogue인 〔D-Ala$^{6}$)LHRH의 경점막 수송경로를 개발하기 위하여 이들 약물을 점막 균질액과 배양시 점막에 존재하는 효소에 의해 분해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에 저자등은 LHRH 및 〔D-Ala$^{6}$〕 LHRH의 점막 균질액 중에서의 분해산물을 HPLC에 의해 정량하였다. 또한 PITC법에 따라 아미노산 분석을 실시하여 이들 분해산물의 아미노산 조성을 밝히고 아울러 분해위치를 규명하였다. 즉 LHRH또는 〔D-Ala$^{6}$〕 LHRH를 직장, 비강 및 질점막과 일정시간 배양 후 시료를 HPLC에 주입하여 각 분해산물의 peak time에 용리액을 분획 수집하였다. 이것을 6N-HCl로 가수분해하여 유리아미노산으로 만들고 phenylisothiocyanate 유도체화 하여 PTC 아미노산으로 한후 아미노산 분석용 컬럼을 사용하여 HPLC로 정량 하였다.

  • PDF

Three Cases of Mucocutaneous Angiomyolipoma in the Head and Neck Region with Reference to the HMB-45 and Melan-A Immunohistochemistry (두경부에서 발생한 점막피부 혈관근육지방종 3예 : HMB-45와 Melan-A에 대한 면역화학검사 특징)

  • Kim, Na-Rae;Kim, Dong-Young;Cha, Heung-Eog;Ha, Seung-Yeon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25 no.2
    • /
    • pp.150-152
    • /
    • 2009
  • 혈관근육지방종은 지방, 평활근, 두꺼운 벽의 혈관이 다양한 비율로 구성된 흔하지 않은 과오종이며, 이는 결정 경화증을 동반하거나 산발적으로 발생한다. 저자들은 혈관근육지방종이 드물게 발생하는 두경부에서 발생한 귓바퀴 1예, 구개점막 2예의 혈관근육지방종을 보고하고자 한다. 병리소견상, 3예 모두에서 성숙지방조직, 불규칙한 혈관, 그리고 HMB-45와 Melan-A에 음성을 보이는 평활근육세포로 이루어진 조직소견을 보였으며, 여러군데에서 림프구 침윤이 3예 모두에서 관찰되었다. 점막피부 혈관근육지방종으로 진단하였다. 세증례 모두 결절경화증은 동반되지 않았다. 점막피부 혈관근육지방종에서는 혈관주변세포가 HMB-45와 Melan-A에서 음성을 보였으며, 이는 간이나 신장의 혈관근육지방종에서의 특징적인 양성반응과는 다른 점이었다. 간이나 신장에서 생긴 혈관근육지방종과 다른 임상병리적 특징을 비교 기술하고자 두경부에서 발생한 점막피부 혈관근육지방종 3예를 보고한다.

후두 및 기관협착증의 유발인자로서의 위산 및 펩신의 역할에 대한 실험적 연구

  • Cho, Jae-Sik;Kim, Pan-Soo;Cho, Won; Lee, J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95.04a
    • /
    • pp.93.2-93
    • /
    • 1995
  • 후두 및 기관지 협착증은 대개가 기도확보를 목적으로 후두 및 기관내에 삽관을 시행하였을 때 삽관튜브에 부착된 cuff내에 압력이 높게 되면 점막에 혈류장애가 초래되고 궤양등의 점막손상이 뒤따르며 여기에 2차감염이 초래되어 육아종과 반흔이 생기면서 결국은 협착이 초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손상된 후두및 기관의 점막에 산도가 강하고 소화효소가 함유된 위액이 역류되어 접촉될 경우 협착이 더욱 조장되리라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위액이 과연 후두 및 기관지 협착증에 관여 한 것인지를 실험적으로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실험동물은 가토를 대상으로 하여 Urethan마취를 시행하고, 삽관한 다음 합성위액 pH 1.5, 3, 5 짜리 용액을 기관 내에 1시간정도 관류시킨 다음 후두 및 기관을 적출하여 점막상태의 변화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산도가 강하고 펩신이 첨가된 합성위액으로 관류한 군에서는 성모의 파괴점막의 궤양, 부종과 염증소견 등이 심하게 관찰되었다. 그러나 산도가 약할수록, 그리고 펩신이 첨가되지 않은 합성위액으로 관류한 군에서는 섬모 및 점막의 손상이나 염증 및 부종등의 소견이 경미하게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강한 산도의 위액이 후두 및 기관으로 역류될 경우 협착증의 발생에 깊이 관여하리라고 추측되었다.

  • PDF

Immunostimulatory Effects of Traditional Doenjang (전통된장의 면역증강 효과)

  • Lee, Chang-Hyun;Youn, Young;Song, Geun-Seoub;Kim, Young-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0 no.9
    • /
    • pp.1227-1234
    • /
    • 2011
  • We investigated the immunostimulatory effects of doenjang, a famous Korean traditional food made from fermented soybean paste, on the immunohistochemical reaction in the gastrointestinal (GI) tract and immune response in mice. Male C57BL/6N mice (6 weeks-old) were divided into 4 experimental diet treatment groups and a basal diet (control) group, and fed with different diets for 4 weeks. The immunoreactive density of $CD4^+/CD8^+$ lymphocytes were strongly stained in the jejunum and colon in Group III. The immunoreactivity of universal nitric oxide synthase (uNOS) was strongly stained in the myenteric plexus in the colon of all doenjang-fedgroups (I, II and III). The colonic immunoreactive density of protein kinase C-${\alpha}$ (PKC-${\alpha}$) was strongly increased in Groups II and III, while that of stem-cell factor (c-kit) was increased in colonic mucosa of all doenjang-fedgroups (I, II and III) and especially increased in the colonic muscle layer of Group III. These morphological and immunological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take of doenjang could improve the mucosal immune reaction, gastrointestinal motility, blood circulation in the GI tract, and the immuneactivity of the body. These results provide experimental evidence about the health benefits of doenjang.

Morphology and Histology of the Digestive Tract of the Black Sea 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소화관의 구조 및 조직학적 특징)

  • LEE Jung Sick;CHIN Pyung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32 no.5
    • /
    • pp.642-648
    • /
    • 1999
  • The digestive tract of the black sea 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is composed of esophagus, stomach, intestine, anus and four or five pyloric caeca. Pyloric caecum is a blind sac in shape and originated from pyloric portion of the stomach. Relative length of But (RLG), that is length of digestive tract to standard length, is 1.04 (n=10). Histological layer of the digestive tract is composed of serous membrane, muscular layer, undeveloped submucosal layer and mucosal layer. The mucosal folds of the esophagus are regular branched form, Esophageal muscularis mucosae is well-developed. Mucosal epithelial layer is composed of cuboidal or columnar epithelium and mucous secretory cell. Microvilli are absent in the free surface of mucosal epithelium. The mucosal folds of the stomach are regular unbranched form. The stomach has a well-developed muscular layer and muscularis mucosae. Microvilli are present in the free surface of mucosal surface epithelium. The fundic portion of the stomach have a well-developed gastric gland and more numerous secretory granules than the other parts. The mucosal folds of the pyloric caeca and the intestine are irregular branched form, Intestine is divided into the anterior, mid and posterior intestines with length of mucosal folds and histological features, Posterior intestine has a more developed striated border and goblet cells than the other parts. Mid intestine has a more abundant absorptive cells than the other parts in the intestine and pyloric caeca.

  • PDF

A Study on the Penetration of Dexamethasone into Oral Mucosa with the Use of Iontophoresis (이온영동법에 의한 Dexamethasone의 구강점막에의 침투에 관한 연구)

  • Sung-Woo Lee;Young-Ku Kim;Hong-Seop Kho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16 no.1
    • /
    • pp.9-23
    • /
    • 1991
  • 이온 영동법은 전기력의 도움으로 이온화된 물질의 신체조직내 침투를 증가시키는 술식으로서 전신적 부작용은 줄어드는 반면, 국소부위의 약물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효과적인 국소요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치의학 분야에서는 과민상아질의 치료를 위해 불소 이온영동법이 빈번히 이용되어져 왔으며, 국소마취제나 항바이러스 제재의 도포시에도이용되었다.또,이온 영동법에 의한 스테로이드 투여로 피부나 구강점막의 염증성 질환의 효과적 치료를 보고한 많은 문헌이 있으나, 이온영동법에 의한 스테로이드의 구강점막에의 침투량이나 분포에 관해서는 거의 소개된 바가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방사선 동위원소가 부착된 dexamethasone을 이온영동법을 이용하여 가토의 협점막에 침투시킨후 자기방사선 술식에 의해 그 침투량과 분포를 대조군과 비교 평가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이온영동법은 단순 국소도포에 비해 dexamethasone과 0.1M 인산소다 완충용액의 혼합액(dexamethasone in 0.1M sodium phosphate buffer solution)의 가토 협점막 침투량을 증가시켰으며, 양극을 사용하였을 때 더 효과적이었다. 2. Dexamethasone과 0.1M 인산소다 완충용액의 혼합액 투여 4시가, 24시간후 까지도 양극 잉온영동법이 효과적이었으며 은입자의 감소는 투여 4시간부터 24시간 후 사이에 주로 일어났다. 3. 인산소다 완충용액의 첨가는 양극 및 음극에 의한 이온영동법 모두에 효과적이었으며, 양극에 가장 효과적이었고 단순도포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이온영동법에 의한 스테로이드 투여는 피부뿐만 아니라구강점막 염증성 병소의 효과적 치료술식으로 여거질 수 있다. 시와 maximal clenching시 사이의 치아 접촉시간에서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Gastric Mucosal Damage by Bile Acid (담즙산에 의한 위 점막 손상)

  • Cho, Hyun-Hong;Suh, Jeong-Ill;Lee, Keyong-Hee;Kim, Tae-Nyeun;Chung, Moon-Kwan;Lee, Hyun-Woo;Choi, Won-Hee;Yang, Chang-Heon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v.9 no.2
    • /
    • pp.342-350
    • /
    • 1992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ile acid on gastric mucosa, we performed biologic test using Sprague-Dawley rat. Mixture solution of TDCA 15mM and HCl of pH 3 was given into stomach to one group and HCl of pH 3 was given into stomach to another group. The significant gastric mucosal change was vasodilatation and edema, that was disappeared progressively. These findings suggest the bile acid can damage gastric mucosa.

  • PDF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ponge Using Porcine Small Intestinal Submucosa (돼지의 소장 점막하 조직을 이용한 스폰지의 제조 및 특성 결정)

  • 신혜원;김선화;장지욱;김문석;조선행;이해방;강길선
    • Polymer(Korea)
    • /
    • v.28 no.2
    • /
    • pp.194-200
    • /
    • 2004
  • Porcine small intestine submucosa (SIS) has been widely used as a biomaterial without immunorejection responses. Crosslinked SIS sponges were characterized for the possibility of the bio-interactive wound dressings and tissue engineered scaffolds. SIS powders were dissolved in 3% acetic acid aqueous solution at 48hrs followed by pouring into mold and then fabricated by freeze-drying method. SIS sponge was prepared by crosslinked with 1-ethyl-(3-3-dimethyl aminopropyl) carbodiimide hydrochloride (EDC) solution (deionized water: ethanol=5:95) with 1-100mM concentration for 24 hrs and Iyophilized. SIS sponges were characteri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and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er and were tested their porosity and water absorption ability. It was observed that the concentration of EDC might be exceeded 50 mM to get good physical characteristics. In conclusion, it seems that SIS sponge could be very useful for the applications of wound healing and tissue construction.

MANAGEMENT OF FIBROUS HYPERPLASIA IN ORAL MUCOSA (구강점막에 발생한 섬유성 과증식의 처치)

  • Ham, Sun-Young;Song, Chang-Kyu;Park, Se-Hee;Kim, Jin-Woo;Cho, Kyung-Mo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34 no.4
    • /
    • pp.340-345
    • /
    • 2009
  • There are a number of situations where the oral mucosa can be sucked or pressed to produce relatively banal but clinical distinctive changes. The labial and buccal mucosa and tongue may develop protuberances in areas where a tooth is missing or extra space is present. The mucosa is pressed and sucked into these spaces, thus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a fibrous hyperplasia. This case report describes the management of fibrous hyperplasia in oral mucosa. Fibrous hyperplasia can be formed by habitual pressure or suction in oral mucosa. Treatment of fibrous hyperplasia consists of simple excision and, if feasible, elimination of the cause. And habit control is a important factor for preventing recur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