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점막피부

Search Result 130,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Three Cases of Mucocutaneous Angiomyolipoma in the Head and Neck Region with Reference to the HMB-45 and Melan-A Immunohistochemistry (두경부에서 발생한 점막피부 혈관근육지방종 3예 : HMB-45와 Melan-A에 대한 면역화학검사 특징)

  • Kim, Na-Rae;Kim, Dong-Young;Cha, Heung-Eog;Ha, Seung-Yeon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25 no.2
    • /
    • pp.150-152
    • /
    • 2009
  • 혈관근육지방종은 지방, 평활근, 두꺼운 벽의 혈관이 다양한 비율로 구성된 흔하지 않은 과오종이며, 이는 결정 경화증을 동반하거나 산발적으로 발생한다. 저자들은 혈관근육지방종이 드물게 발생하는 두경부에서 발생한 귓바퀴 1예, 구개점막 2예의 혈관근육지방종을 보고하고자 한다. 병리소견상, 3예 모두에서 성숙지방조직, 불규칙한 혈관, 그리고 HMB-45와 Melan-A에 음성을 보이는 평활근육세포로 이루어진 조직소견을 보였으며, 여러군데에서 림프구 침윤이 3예 모두에서 관찰되었다. 점막피부 혈관근육지방종으로 진단하였다. 세증례 모두 결절경화증은 동반되지 않았다. 점막피부 혈관근육지방종에서는 혈관주변세포가 HMB-45와 Melan-A에서 음성을 보였으며, 이는 간이나 신장의 혈관근육지방종에서의 특징적인 양성반응과는 다른 점이었다. 간이나 신장에서 생긴 혈관근육지방종과 다른 임상병리적 특징을 비교 기술하고자 두경부에서 발생한 점막피부 혈관근육지방종 3예를 보고한다.

웅묘에 있어서 포피점막을 이용한 회음요도루 조성술

  • 산촌수적;조준행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22 no.2
    • /
    • pp.86-90
    • /
    • 1986
  • 웅묘의 요도폐색의 외과적 치료법으로는 1971년 이후 Wilson의 회음요도루 조성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Wilson법에선 요도와 피부를 직접봉합하나, 신축성이 없는 피부가 골반강방향으로 잡아 당겨져서 요도개구부가 좁아지기 쉽고 또 환축이 수술부위를 자주 핥으므로 봉합한 곳이 풀려지기도 하고 또 오줌에 의한 피부염이 일어나기 쉬운 결점 등이 있다. 그러나 이번 실험한 술기은 피부로부터 포피점막, 요도점막으로 이행시키기 때문에 피부가 요도구쪽으로 늘어나 이것이 작아질 염려가 전혀 없고. 오줌에 의한 피부염도 잘 일어나지 않는 이점이 있었다. 이것은 포피점막에는 신축성이 있고 그것이 양적으로 여유가 있기 때문에 더욱 요도가 수술후 골반강방향으로 매몰되기 때문에 봉합부를 환축이 혀로 핥을 수 없는 점은 대단히 이롭다.

  • PDF

Skin and Eye Irritation Test of Bovine Somatotrophine-sustained Release (BST-SR) in Rabbits (토끼에게 소성장 홀몬-서방형 제형(BST-SR)의 피부 및 안점막 자극에 관한 연구)

  • 강경선;최경철;신동진;김형욱;조재진;이영순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6 no.3
    • /
    • pp.171-177
    • /
    • 1991
  •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Regulations of National Institute of Safety Research, the skin-irritation test of BST-SR (Lucky Ltd.) was perfonned for seven days in New Zealand White Rabbits. During treatment periods no significant clinical symptom was observed. Significant changes such as erythema, scar tissue and edema were not shown on the applicating sites. According to Primary Irritation Index of Draize, skin irritation rate was assessed as "Zero". The eye irritation of BST-SR (Lucky Ltd.) was examined in nine New Zealand White rabbits, based on the Established Regulation of National Institute of Safety Research. 0.1 ml of test material was dropped on right eye, and after 20~30 seconds, three rabbits' eyes were cleaned with wann saline for 1 minute. Other six rabbits' eyes were left uncleaned. The untreated left eyes were negative control. The lesions of cornea, iris and conjuntiva were assessed by the Grade table (from the Regulation of National Institute of Safety Research), and it is concluded that BST-SR has no eye-irritation.

  • PDF

Evaluation of Skin & Eye Irritation of Plant Extracts, Neem and Sophora (유기농업자재 중 님과 고삼 추출물의 피부 및 안점막자극성)

  • Oh, Jin-A;Choi, Jin-Hee;Choe, Mi-Seon;Kim, Jin-Hyo;Paik, Min-Kyoung;Park, Kyung-Hun;You, Are-Sun;Lee, Je-Bong;Kim, Doo-Ho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 /
    • v.17 no.4
    • /
    • pp.478-481
    • /
    • 201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cute skin and eye irritation of plant extracts (neem and sophora) against rabbit. The result of skin irritation test indicated that neem extracts and sophora extracts were not irritant. For eye irritation test, the result showed no irritation for neem extracts. Sophora extracts have a severe eye irritation and the symptoms have been reduced to day 3. Thus, safety guidelines for agricultural workers is considered to be needed when sophora extracts is used as an organic agricultural materials.

노출평가를 위한 BEI 근거 - SODIUM HYDROXIDE(1)

  • Kim, Chi-Nyeon
    • 월간산업보건
    • /
    • s.353
    • /
    • pp.29-33
    • /
    • 2017
  •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의 직업적 노출에 대한 TLV-Ceiling은 $2mg/m^3$으로 권고하였다. 권고수준은 수산화나트륨 에어로졸이 눈, 점막, 피부에 심한 자극을 유발하고 수산화나트륨 분진이 상기도 기관에 자극을 유발하는 농도에 근거하였다. 노출기준은 눈과 상기도 기관에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권고하였다. 고농도의 수산화나트륨에 장기간 노출되면 비강 궤양과 눈과 피부에 심한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피부", "감작제(SEN)", "발암성"의 경고주석을 권고하기에는 유용한 자료가 충분하지 않다.

  • PDF

A Study on the Penetration of Dexamethasone into Oral Mucosa with the Use of Iontophoresis (이온영동법에 의한 Dexamethasone의 구강점막에의 침투에 관한 연구)

  • Sung-Woo Lee;Young-Ku Kim;Hong-Seop Kho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16 no.1
    • /
    • pp.9-23
    • /
    • 1991
  • 이온 영동법은 전기력의 도움으로 이온화된 물질의 신체조직내 침투를 증가시키는 술식으로서 전신적 부작용은 줄어드는 반면, 국소부위의 약물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효과적인 국소요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치의학 분야에서는 과민상아질의 치료를 위해 불소 이온영동법이 빈번히 이용되어져 왔으며, 국소마취제나 항바이러스 제재의 도포시에도이용되었다.또,이온 영동법에 의한 스테로이드 투여로 피부나 구강점막의 염증성 질환의 효과적 치료를 보고한 많은 문헌이 있으나, 이온영동법에 의한 스테로이드의 구강점막에의 침투량이나 분포에 관해서는 거의 소개된 바가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방사선 동위원소가 부착된 dexamethasone을 이온영동법을 이용하여 가토의 협점막에 침투시킨후 자기방사선 술식에 의해 그 침투량과 분포를 대조군과 비교 평가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이온영동법은 단순 국소도포에 비해 dexamethasone과 0.1M 인산소다 완충용액의 혼합액(dexamethasone in 0.1M sodium phosphate buffer solution)의 가토 협점막 침투량을 증가시켰으며, 양극을 사용하였을 때 더 효과적이었다. 2. Dexamethasone과 0.1M 인산소다 완충용액의 혼합액 투여 4시가, 24시간후 까지도 양극 잉온영동법이 효과적이었으며 은입자의 감소는 투여 4시간부터 24시간 후 사이에 주로 일어났다. 3. 인산소다 완충용액의 첨가는 양극 및 음극에 의한 이온영동법 모두에 효과적이었으며, 양극에 가장 효과적이었고 단순도포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이온영동법에 의한 스테로이드 투여는 피부뿐만 아니라구강점막 염증성 병소의 효과적 치료술식으로 여거질 수 있다. 시와 maximal clenching시 사이의 치아 접촉시간에서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노출평가를 위한 TLV 근거 - PHOSPHORUS TRICHLORIDE (삼염화인)

  • Kim, Chi-Nyeon
    • 월간산업보건
    • /
    • s.385
    • /
    • pp.9-13
    • /
    • 2020
  • 삼염화인(Phosphorus trichloride)의 노출기준은 눈, 피부, 점막 그리고 호흡기계 기관지 자극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TLV-TWA는 0.2ppm(1.1 mg/㎥), TLV-STEL은 0.5ppm(2.8 mg/㎥)으로 권고하였다. 삼염화인은 직접 피부 접촉 시 심각한 화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공기 중 농도 2ppm~27ppm 범위에서 작업자가 급성 노출되면 인두, 기침, 호흡 곤란 및 심한 천식 기관지염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물 또는 습한 공기에서 삼염화인은 염산 및 인산으로 분해된다.(ACGIH의 인산 TLV 문서를 참조하는 것이 필요함). 피부흡수(Skin), 감작제(SEN)의 경고주석과 발암성을 표기하기에는 유용한 자료가 충분하지 않다.

  • PDF

A Study for Direct Application of Drug on Oral Mucosa (구강점막에서 약물의 직접적용을 위한 연구)

  • Jeong, Sung-Hee;Ok, Soo-Min;Huh, Joon-Young;Ko, Myung-Yun;Ahn, Yong-Woo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35 no.4
    • /
    • pp.229-235
    • /
    • 2010
  • A common method for treating oral mucosal diseases is taking medication by oral administration. The oral administration is the method of least resistance. Because large part of drugs is degraded by liver, it is necessary to take more drugs getting to appropriate level in blood stream. And there are so many side effects when patients take drugs by oral administration. In so many cases, the patients who suffer from oral mucosal problems have the other general diseases simultaneously. Willingly or not, some patients can't take the medicine by oral administration. Number of topical drugs for oral mucosal disease is less than that for skin diseases because the environment of oral mucosa prevents activity of medicine. In this paper, research on effects of topical type medication for treating oral mucosal diseases is conducted through investigating currently used medications and their effects. In addition, effects of dissolved oral medications with appropriate solvent are demonstrated if this medication is useful for patients clinically.

Comparing Molecular Weight Dependent Absorption Rates of Collagen in Oral Mucosal and Epidermis/dermis Tissue Models

  • Ji Yoon Hong;Areum Cha;Gi Jung Kim;Yelim Jang;Jung-Yoon Lee;Emmanouil Apostolidis;Tae Yang Kim;Young-In Kwon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39 no.4
    • /
    • pp.299-303
    • /
    • 2024
  • Collagen, as an indicator of skin health, has been developed and used for various purposes. The development of an optimized collagen product suitable for use has become an important research field as the consumption of collagen increases. In particular, various efforts are being made to increase its absorption rate. In this study, the transdermal and oral epithelial cell permeabilities of various molecular weight collagen products sold in Korea were compared using a Franz diffusion cell system. The collagen absorption rate of oral mucosal tissue compared to skin epidermis/dermis tissu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llagen at M.W. 500 and 1,000 (approximately 10 times and 2 times higher, respectively). Additionally, collagen with a molecular weight of 500 Da increased the absorption rates by 2-3 times compared with products with a molecular weight of 1,000. Collagen with a molecular weight of 500 Da showed the highest Cmax and AUCt values, and all parameters in the oral mucosal cell test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skin epidermis/dermis cells. Our findings suggest an increased absorption rate through oral mucosal cells rather than skin absorption, confirming that low molecular weight collagen is a major factor increasing the absorption 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