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절도

검색결과 6,330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어 내포 머리어 관계절의 통사적 특성과 습득 연구 (A Study of Syntactic Properties and Acquisition of Head-Internal Relative Clauses in Korean)

  • 조수근
    • 인지과학
    • /
    • 제14권2호
    • /
    • pp.49-56
    • /
    • 2003
  • 이 논문은 한국어 내포 머리어 관계절의 통사적인 특징을 살펴보고 이 구문이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아동들에 의해 어떻게 습득되는가를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한국어 내포 머리어 관계절 구문의 통사적인 특징을 살펴보기 위하여 내포 머리어 관계절을 생성문법에 비추어 분석을 하였다. 이 분석을 통해, 한국어의 내포 머리어 관계절은 일반적인 외포 머리어 관계절에 비해 통사적으로 사용이 더 제한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시 말해, 내포 머리어 관계절은 여러 개의 절을 넘어 관계화가 일어날 수 있는 외포 머리어 관계절과 달리 하나 이상의 절을 넘어 관계화가 일어날 수 없다. 또한 내포 머리어 관계절은 주어, 직접목적어, 간접목적어, 전치사의 목적어 등이 관계화될 수 있는 외포 머리어 관계절과 달리 단지 주어와 직접목적어만이 관계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내포 머리어 관계절의 습득 연구를 위해 관찰 방법을 이용한 내포 머리어 관계절의 자료뿐만 아니라 이해도 측정 실험과 산출 실험을 이용한 자료도 같이 분석하였다. 이들 자료의 분석을 통해, 내포 머리어 관계절은 외포 머리어 관계절에 비하여 아동들이 이해하고 말하기가 더 쉽고 따라서 외포 머리어 관계절에 비해 아동들에 의해 더 일찍 습득됨을 알 수 있었다. 보통 내포 머리어 관계절은 성인들에게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는데 아동들에게 특히 언어 발달 과정의 이른 시기에 있는 아동들에게 외포 머리어 관계절의 습득에 앞서 많이 사용되어진다는 습득 연구에서의 결과는 언어발달의 이른 시기에 있는 아동들이 내포 머리어 관계절을 어떻게 이용하는지를 말해준다. 다시 말해, 아동들은 언어 발달의 이른 시기에는 이해하고 말하기 어려운외포 머리어 관계절 대신 쉬운 내포 머리어 관계절을 임시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겠다. 실제, 외포 머리어 관계절은 언어 발달 과정에서 늦게 습득이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 PDF

주관절 관절경의 해부학 및 Portals

  • 신상진
    • 대한관절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관절경학회 2007년도 제17차 추계학술대회 심포지움
    • /
    • pp.66-74
    • /
    • 2007
  • 1931년 Burman은 주관절의 제한된 관절 공간, 관절낭 팽창의 어려움, 삽입구 주변에 근접한 신경-혈관 구조물에 의해 주관절 관절경은 불가능하다고 보고하였다. 비록 1935년 자신이 다시 여러 번 시도 끝에 주관절 전방 관절낭을 관절경으로 관찰한 후 주관절도 관절경적 접근이 가능하다는 점을 처음으로 언급하였지만 1980년대 중반까지도 몇몇의 보고를 제외하고 주관절 관절경에 대한 관심은 매우 적었다. 그 후 주관절 관절경은 관절경 기구들의 발달과 소관절을 위한 소구경 관절경의 발전과 함께 하였다. 1985 Andrew와 Carson이 supine position에서 전외측, 전내측 그리고 후외측 삽입구를 이용하여 주관절을 관찰하였으며 1989년 Poehling은 후방 주관절 접근이 용이하도록 prone position으로 관절경을 시행하였고 최근 새로운 접근 방법 및 확대된 적응증에 대한 보고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주관절 관절경의 합병증은 적지만 주관절 주변의 해부학적 구조물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가지고 있어야 심각한 합병증을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 PDF

주관절의 생역학 (Biomechanics of the Elbow)

  • 문준규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1호
    • /
    • pp.141-145
    • /
    • 2010
  • 목적: 주관절의 생역학은 주관절 손상의 병인을 이해하고 임상적 치료의 과학적 기초를 제공하는 의학이다. 저자는 생역학적인 관점에서 주관절 손상의 진단과 치료의 개념을 요약하였다. 대상 및 방법: 주관절 역학은 크게 운동학, 동역학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 안정성의 분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이는 주관절을 구성하는 수동적 또는 능동적 구조물로 유지된다. 수동적 구조물은 골성 구조와 관절낭 및 측부인대들이 있으며 능동적 구조물은 주관절을 둘러싼 근육들이 해당된다. 이 구조물들이 유기적으로 작용하여 주관절의 안정성, 힘의 전달 그리고 운동을 유지한다. 결과 및 결론: 주관절의 생역학은 주관절 손상에 대한 수술적 치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새로운 주관절 인공대치물에 대한 개선 및 발전을 가져다 주며, 또한 주관절의 기초 연구에 기여 할 수 있는 학문이다.

반음절 단위 HMM을 이용한 연속 숫자 음성인식 (Continuous Digits Speech Recognition using Semisyllable Unit HMM)

  • 윤재선;홍광석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73-78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조음 효과에 대처할 수 있는 새로운 음성인식 단위로 반음절, 반음절 +반음절 단위 HMM을 제안하여 연속 숫자 음성인식을 하였다. 반음절 단위는 무음과 안정 구간으로, 반음절+반음절 단위는 안정, 천이, 안정구간으로 구성되어 있고, 음성인식 단위 분 할시 비교적 스펙트럼의 변화가 안정한 모음구간에서 분할하므로 분할 위치가 약간 변하여 도 인식성능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또한, 제안된 반음절, 반음절+반음절 인식단위 는 그 패턴 안에 다음 숫자열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모든 HMM 패턴들과 비교하 는 것이 아니라, 다음 숫자열의 정보를 포함한 HMM 패턴들과 비교한다. 인식실험결과 제 안된 방법이 효율적임을 확인하였다.

  • PDF

SVM을 이용한 절-절 간의 의존관계 설정 (Determining the Dependency among Clauses based on SVM)

  • 김미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4B권2호
    • /
    • pp.141-144
    • /
    • 2007
  • 문장이 길어질수록 구문분석의 정확률이 급격히 떨어지므로, 문장을 분할하여 각각의 분할단위로 구문분석을 수행한 후 각 구문분석결과를 합쳐 완성된 구문트리를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 주로 절 단위로 문장이 분할되고, 각 절의 구문분석결과를 통합하게 되는데, 통합 과정에서 절-절 간의 의존관계 설정에 많은 오류가 생긴다. 이러한 절 간의 의존관계의 애매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기계학습을 이용하여 절-절 간의 의존관계를 분석해 본다. Support Vector Machines(SVM)을 사용하여 성능을 평가하고, 본 논문에서 실험한 방법과 기존의 방법들의 성능을 비교해 본 결과, 절-절 간의 의존관계 설정에 있어서 $8.88{\sim}15.35%$의 성능향상을 보였다.

고관절 및 인공 고관절의 생역학 (Biomechanics of Hip and Hip Replacement Arthroplasty)

  • 이영균;최지혜;원희재;구경회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377-383
    • /
    • 2019
  • 고관절의 생역학은 고관절에서 체중이 관절면을 통해 전달되는 역학적인 원리를 이해하고 탐구하는 학문이다. 이러한 기초 과학 지식은 퇴행성 관절의 병리와 고관절 치환술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고관절의 생역학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인공 고관절 치환물의 재료와 설계 및 고정과 관련된 고관절 치환술 분야의 발전을 이루어 왔으며, 수술 방법의 선택, 치환물의 선택 및 위치 등 다양한 부분에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환자의 보다 나은 임상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고관절의 생역학을 잘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고관절의 생역학을 접근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과 정상 고관절 및 인공 고관절의 생역학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영어 종속접속의 유형과 기능: 극소절을 포함하여 (On the Types and Functions of English Subordination including Smallest Small Clauses)

  • 홍성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134-139
    • /
    • 2021
  • 접속의 개념은 인간의 언어가 가진 속성 중의 하나로, 동물의 소통방식은 접속의 구조가 없다고 알려져 있다. 접속이란 문법단위들의 '연결'(connection, linkage)로 영어의 경우 종속접속절을 전치사구(PP)의 범주로 간주하거나, 보문소구 (CP)의 범주로 분류한다. 또한, 문장의 유형과 복잡성도 접속의 방식에 의해서 결정되는데, 동등접속과 달리 종속접속은 접속되는 문법단위가 대부분 절(clause)의 형태가 된다. 전통문법이나 학교문법에서는 종속접속이 그 기능에 따라 명사성 보충절, 형용성 관계절, 부사성 수식-부가절 3가지로 나뉘어 왔으나, 본 논문은 마치 소절(small clause)이 "절"로 인정되면서,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무주어 무동사 종속절 (Verbless subordinate clause. V-less SC)을 종속절의 한 유형으로 보면서, 이를 극소절(smallest small clause)로 명명하고, 이들이 종속절의 일부라는 제안을 한다. 또한, 구조와 기능을 보다 세분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서, XP라고 특정할 수 없는 절을 포함하여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을 지적한다.

소아 고관절 질환(I):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의 진단 및 초기 치료 (Pediatric Hip Disease (I): Diagnosis and Treatment of Developmental Dysplasia of the Hip)

  • 김휘택;박용건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359-365
    • /
    • 2020
  • 소아 고관절 이형성증은 비구 또는 근위 대퇴골, 혹은 양쪽 모두를 포함하는 고관절의 부적절한 발달을 지칭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초음파적 검사로 영아기의 고관절 탈구 진단이 간과되거나 수술적인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감소하고 있으나 모든 고관절 이형성증을 찾아내지는 못하고 있다. 아탈구가 없는 고관절 이형성증은 우연히 진단되며, 40대 이후 여자에서 퇴행성 관절염과 강한 연관성을 가진다. 아탈구를 동반한 고관절 이형성증은 아탈구의 정도에 따라 증상이 다양한 시기에 걸쳐 나타나며, 특히 여성에서 임신 중 발현되는 경우가 많다. 신생아에 대한 정확한 이학적 검사와 조기 치료는 이 질환의 양호한 결과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진단의 간과를 막고 조기 치료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저자는 고관절 이형성증이 의심스러운 2세 이하 영아 모두에게 고관절 검사를 추천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관절 이형성증의 진단 및 초기 치료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주관절 전치환술로 치료한 주관절 관절 고정술 부위의 골절 - 증례 보고 - (Total Elbow Arthroplasty for the Fracture of Elbow Arthrodesis Site - A Case Report -)

  • 김명호;서중배;황성수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2호
    • /
    • pp.246-250
    • /
    • 2007
  • 주관절 전 치환술은 슬관절이나 고관절의 전 치환술에 비하면 매우 드물게 시행되고 있는 수술이다. 더욱이 주관절의 골성 강직에 대한 주관절 전 치환술은 증례가 비교적 드물며, 아직 그 결과도 좋지 않은 것이 보통이다. 저자들은 주관절 관절 고정술 후 12년 만에 외상에 의해 발생한 골절에 대한 치료로서 주관절 전 치환술을 함으로써 주관절의 가동성을 성공적으로 얻게 된 예가 있어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