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절골술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22초

무지외반증에서 저상형 금속판 고정을 이용한 근위 개방형 절골술의 임상적 결과: 근위 갈매기형 절골술 후 K-강선 고정술과의 비교 (The Clinical Results of the Proximal Opening Wedge Osteotomy Using a Low Profile Plate in Hallux Valgus: Comparison with Proximal Chevron Osteotomy Fixed with K-wires)

  • 서은석;방태정;전숙하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02-308
    • /
    • 2013
  • Purpose: To present clinical results of proximal first metatarsal opening wedge osteotomy and low profile plate fixation in hallux valgus deformity.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wo patients (39 feet) underwent surgery for hallux valgus deformity. Fourteen patients (18 feet; Group A) underwent proximal first metatarsal opening wedge osteotomy fixed with low profile titanium plate ($Arthrex^{(R)}$), and 18 patients (21 feet; Group B) underwent proximal chevron osteotomy with two K-wires. Improvement in hallux valgus angle (HVA), 1, 2 intermetatarsal angle (IMA), range of motion of 1st metatarsophalangeal joint, VAS score, and the length of first metatarsal on weight-bearing radiograph were evaluated preoperatively and at final follow-up. Results: HVA improved from $36.2{\pm}6.6$ degrees to $11.7{\pm}5.1$ degrees, and 1, 2 IMA improved from $15.7{\pm}2.6$ degrees to $7.2{\pm}1.9$ degrees. VAS score improved from $7.2{\pm}1.2$ to $1.4{\pm}0.9$.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clinically and radiologically. Conclusion: Proximal first metatarsal opening wedge osteotomy with stable fixation using low profile plate may be an effective surgical option for correction of hallux valgus deformity.

수지의 종적 Bracket 골단에 대한 수술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for Longitudinal Epiphyseal Bracket of the Finger)

  • 김성수;김기웅;김정호;이찬수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54-161
    • /
    • 2020
  • 목적: 종적 bracket 골단으로 인한 측만지 변형에서 교정절골술, 골단판 유리술의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에서 임상적 및 방사선적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3월부터 2017년 4월까지 측만지를 주소로 내원하여 종적 bracket 골단을 확인하고 교정절골술 및 골단판 유리술의 수술을 시행한 환아 11명(27예)을 대상으로 의무기록 및 방사선 사진을 통해 수술 전후의 근위 및 원위 지간 관절의 관절 운동 범위와 환자의 외관적, 기능적 만족도, 이환된 수지의 편위된 정도를 평가하여 환자군을 교정절골술을 시행한 군과 골단판 유리술을 시행한 군으로 나누어 임상적 및 방사선적 결과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수술 방법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방법에 따라 교정절골술을 시행한 환자군의 수술을 시행한 평균연령은 10.3세였으며 수술 전 이환된 수지의 편위각은 평균 25.7도에서 수술 후 13.5도로 평균 교정률은 47.4%였다. 골단판 유리술을 시행한 환자군의 수술을 시행한 평균 연령은 6.0세였으며 수술 전 평균 24.5도, 수술 후 10.7도의 평균 편위각을 보였다. 평균 교정률은 59.4%였다. 교정절골술을 시행한 군과 골단판 유리술을 시행한 군 간의 수술 전후 및 교정 각도에 대해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각각의 환자군에서 교정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호전 정도를 보였다. 근위 및 원위 지간 관절의 술 후 최종 추시 시 관절 운동 범위는 수술 전 관절 운동 범위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기능적, 외관적 만족도에서도 만족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종적 bracket 골단으로 인한 측만지 변형을 보이는 환자에서 절대연령 및 골연령, 방사선적 진행 단계에 따라 교정절골술이나 골단판 유리술을 선택적으로 시행할 수 있으며 두 수술 방법 모두 양호한 임상적 결과와 변형 교정을 보였다.

제1 중족골 근위 반월형 절골술과 Ludloff 절골술 후 교정 각도에 따른 절골편간 접촉 면적 비교(예비보고) (A Comparison of the Contact Area between Three Different Correcting Angles after Proximal Crescentic Osteotomy and Ludloff Osteotomy of the First Metatarsal (Preliminary Report))

  • 박용욱;장근종;박상호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10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contact area between three different correcting angles after the proximal crescentic and Ludloff osteotomies of the first metatarsal. Materials and Methods: We used the two sawbone models. Proximal crescentic (PCO) and Ludloff osteotomies (LO) were performed and secured using K-wires under the correcting intermetatarsal angle (IMA) $5^{\circ}$, $10^{\circ}$, and $15^{\circ}$. Then each 6 osteotomized model was scanned five times and measured the contact area using the calculating program. We excluded the highest and lowest values. Results: The mean area of cutting surface was 189 $mm^2$ in PCO, 863 $mm^2$ in LO. The mean contact area (contact ratio; contact area $\times$100/area of cutting surface) of PCO was 149 $mm^2$ (79%) in $5^{\circ}$, 139.5 $mm^2$ (74%) in $10^{\circ}$, 107 $mm^2$ (57%) in $15^{\circ}$ IMA. The mean contact area (contact ratio) of LO was 711 $mm^2$ (82%) in $5^{\circ}$, 535.5 $mm^2$ (62%) in $10^{\circ}$, 330 $mm^2$ (38%) in $15^{\circ}$ IMA. Conclusion: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contact area and contact ratio according to increase in correcting IMA was noticed in LO. We recommend the PCO rather than LO, when the IMA is needed to correct over $15^{\circ}$.

대퇴골두 무혈성괴사의 치료에서 전방 회전 절골술의 조기 추시 결과 (The Early Result of Anterior Rotational Osteotomy in the Treatment of Osteonecrosis of the Femoral Head)

  • 김세동;신덕섭;장우석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1권2호
    • /
    • pp.284-292
    • /
    • 1994
  • 1992년 12월부터 1994년 6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정형외과에 내원한 대퇴골두무혈성 괴사 환자 28명, 31 고관절에 대해 시행한 경전자간 회전 절골술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 환자는 한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남자였으며, 평균 연령은 44.3세로 삼, 사십대가 대부분이었다. 2. 무혈성 괴사의 원인은 과다한 음주에 의한 것이 18례로 가장 많았고, 괴사의 정도는 Ficat와 Arlet의 분류에 의하면 II a가 16례로 가장 많았다. 3. 절골술 후 고정 방법으로는 screw가 15례, DHS가 16례였고, 고정 방법에 따른 대퇴경간각의 변화로는, screw를 사용한 경우는 술전에 비해 내반고 되는 경향을 보였고, DHS를 사용한 경우는 외반고 되는 경향을 보였다. 4. 술전 대퇴골두 측면 방사선 사진에서 측정한 대퇴골두 전체 관절면에 대한 건전한 관절면의 비는 1/3이하가 8례, 1/3 이상이 23례(74%)이었다. 5. 술후 고관절의 전후면 방사선 사진에서 측정한 비구의 체중 부하면에 대한 전위된 건전한 대퇴골두의 관절면 비는 36% 이상이 24례(78%), 21-35%가 6례, 20% 이하가 1례였다.

  • PDF

상완골 근위부 골절의 치료 실패 후 견관절 치환술 (Shoulder Replacement Arthroplasty after Failed Proximal Humerus Fracture)

  • 박진영;서범호;이승준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10-119
    • /
    • 2019
  • 상완골 근위부 골절은 상완골의 외과적 경부 또는 근위부에 발생하는 골절로 정의할 수 있으며, 적절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합병증 및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어 그 치료가 매우 까다롭고 견관절 치환술 등의 수술적 치료를 요하는 경우가 많다. 상완골 근위부 골절 후 후유증은 Boileau가 제시한 분류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며, 2개의 카테고리 및 4가지의 타입으로 분류할 수가 있다. 카테고리 I은 관절 내 감입 골절로 결절들과 상완골 두 사이에 저명한 해부학적 변형이 동반되지 않아 결절 절골술을 시행하지 않고도 해부학적 치환물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로서 결절의 불유합이 거의 없이 두경부의 붕괴(cephalic collapse)나 괴사가 있는 타입 1과 잠김 탈구(locked dislocation) 또는 골절-탈구와 관련이 있는 타입 2로 나눌 수 있다. 카테고리 II는 관절 외 골절이며 결절들과 상완골 두 사이에 육안적인 변형이 있는 경우로서 해부학적 치환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결절 절골술을 시행해야 하며, 외과적 경부의 불유합이 동반된 타입 3와 심각한 결절의 부정유합이 동반된 타입 4로 분류할 수 있다. 각 타입별 치료를 위해서 타입 1의 경우에는 결절 절골술을 시행하지 않고 비구속형 치환술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지만, 타입 1C, 1D와 같이 외반이나 내반 변형이 동반되거나 회전근 개의 지방 변성이 심할 경우에는 역행성 견관절 전치환술 또한 고려해야 한다. 타입 2는 일반적으로 비구속형 치환술로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관절와 골 결손이 없으며 회전근 개의 결손이 동반된 경우 역행성 견관절 전치환술 또한 하나의 치료 방법으로 고려할 수 있다. 타입 3는 견관절 치환술보다는 골쐐기 이식 등을 함께 시행하여 내고정을 시행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이며, 최근 역행성 견관절 전치환술의 결과에 대한 보고 또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마지막으로 타입 4는 역행성 견관절 전치환술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중족지 관절경을 이용한 Freiberg 병의 치료 -1예 보고- (Treatment of Freiberg Disease with Metatarsophalangeal Arthroscopy - A Case Report-)

  • 안재훈;이승훈;이광원;최원식;감병섭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9-62
    • /
    • 2007
  • Freiberg 병은 비교적 드문 골연골증으로 주로 사춘기 여자의 제2 중족골 두에서 발생한다. 그 치료는 다양하여 관절내 유리체 제거술, 골두 절골술 또는 골두 절제술 등의 수술이 시도되고 있다. 관절경을 이용한 치료는 회복 기간을 단축시키는 동시에 술후 발생하는 강직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저자들은 초기의 Freiberg 병에 대해 중족지 관절경을 이용하여 유리체 제거술 및 변연절제술을 시행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

골육종으로 악성 전환된 섬유성 골 이형성증 - 1예 보고 - (Malignant Transformation of Fibrous Dysplasiainto Osteosarcoma - A Case Report -)

  • 김태승;이진규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87-91
    • /
    • 2009
  • 섬유성 골 이형성증(fibrous dysplasia)은 한 개 또는 수개의 골조직이 섬유성 조직으로 대치되는 양성 골 질환으로 발생학적 장애로 일어나는 양성 골 질환으로 분류된다. 악성 전환(malignant transformation)은 매우 드문 경우로 다발성 섬유성 골 이형성증에서 단발성 섬유성 골 이형성증보다 더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57세 남자 환자에서 대퇴골 근위부에 병적 골절 및 내반고 변형을 동반한 다발성 섬유성 골 이형증에 대하여 소파술, 절골술, 내고정술 및 골 이식술을 시행 후, 2년 5개월 만에 골육종(osteosarcoma)으로 악성 전환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내측 활주 종골 절골술과 거골하 관절 제동술로 치료한 성인의 특발성 유연성 편평족 -1예 보고- (Adult Idiopathic Flexible Flat Foot Treated with Medial Sliding Calcaneal Osteotomy and Subtalar Arthroereisis -Report of 1 Case-)

  • 정홍근;변우섭;유문집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08-212
    • /
    • 2004
  • There have been many reports about surgical treatments of flexible flatfoot in children and acquired adult flatfoot deformity due to posterior tibial tendon dysfunction common in the 5th and 6th decades. However there has been a controversy for surgical treatment guideline for painful idiopathic flexible flatfoot deformities in young adults. Therefore, we present a 27-year-old female with severe painful idiopathic flexible flatfoot who was treated with medial sliding calcaneal osteotomy and subtalar arthroereisis using $Kalix^{(R)}$ (Newdeal SA, Vienne, France) endoprosthesis and had good clinical outcome with high patient satisfaction at 10 months follow-up postoperatively.

  • PDF

외측벽 절제술과 교정 절골술을 이용한 종골 부정유합의 치료: 3예 보고 (Treatment of Calcaneal Fracture Malunion Using Lateral Exostectomy and Corrective Osteotomy: A Report of Three Cases)

  • 노영민;김유미;김상열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22-127
    • /
    • 2015
  • Inappropriate treatment for calcaneus fracture may result in malunion causing long-lasting pain and functional deficits. When such complications occur, the ideal principle of management is preserving congruence and motion of adjacent joints. For three patients with calcaneus fracture malunion, subtalar joint-preserving surgery using exostectomy and corrective osteotomy was performed, and satisfactory outcomes were achieved postopera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