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통 자수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33초

한국전통자수기법의 현대적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dern Applicability of Traditional Korean Embroidery Technique)

  • 이미석;김정호
    • 복식
    • /
    • 제64권7호
    • /
    • pp.45-56
    • /
    • 2014
  • Embroidery is called 'Ja-Su'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method that utilizes the technology of traditional Korean embroidery to get a genuine feeling of tradi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manner: first, Previous researches and references were used survey traditional embroidery techniques. Second, by using traditional embroidery techniques, the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design of embroidery household Items with modern sense and practic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is study has developed and produced embroidery household items that can be used in modern life by using traditional embroidery techniques. A total of 10 kinds of miscellaneous everyday life utensils and interior pieces were produced. Materials used in the embroidery production were made out of natural fabrics, such as cotton (Kwang-Mok, Mu-Myung), linen, cotton thread were used for a practical reason for practical reasons (i.e. being easily washable). Embroidery techniques used in this study were straight stitch, outline stitch, satin stitch, separate stitch, french knot stitch, long&short stitch, brick stitch, chain stitch, couching stitch, Pad stitch, and pine-leaf stitch. In order to further develop traditional embroidery, a technique passed down from the ancestors, it needs to change to become more suitable for modern life while maintaining the tradition.

조선시대 전통보와 자수를 활용한 셔츠와 액세서리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esigns for the Shirts and Accessories Using the Traditional Kerchiefs and Embroideries in the Era of Joseon Dynasty)

  • 조성란;박선경;윤을요
    • 복식
    • /
    • 제61권4호
    • /
    • pp.76-91
    • /
    • 2011
  • During the era of Joseon Dynasty when the Confucian ideas were prevailing all over the manners of living, most women were usually living separated in the boudoirs, the isolated living quarters exclusively for women, where they used to do much troublesome needleworks for the traditional kerchiefs and embroideries for which they poured out their souls and hand skills. And therefore, nowadays, such works are deemed much valuable for either formative or artistic point of view, and their legitimate cultural designs are receiving much publicity from a number of mass communications as one of the national competitive powers. Thus, I, the researcher for the subject study, have completed 1-year researching lessons on the traditional kerchief and embroidery of Ms. Hyeon-Hee Kim, the Mater-hand, at Korea Traditional Handicrafts Institute of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and then engaged myself in the creative works relevant to the subject by cultivating the power of understanding to such field, restoring the techniques of the traditional handicrafts, reconstructing them into the modern sensual descriptions, and also trying to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modifications to them.

부르디외 문화이론으로 살펴본 인도 지역별 전통자수 (Traditional Embroidery in India based on Bourdieu's Cultural Theory)

  • 김이랑;권미정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58-769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aditional embroidery in India by region based on Bourdieu's cultural theory. As the research methods for this study, literature and case studie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dia's regions could be divided into four distinct regions based on language and religion. The main concepts of Bourdieu's cultural theory, namely the sub-dimensions of field and habitus, were the field of social system, the field of goods & economy, the field of environment/region, culture, and ethnicity. Second, Eastern India's embroidery was influenced by Hinduism and traditional art. The embroidery used various fabrics such as the Applique work, and vivid colors and patterns were mainly used in the Hindu myths, animals, and flower patterns of the embroidery. Third, embroidery in Western India was influenced by exotic cultures like Persian due to geographical conditions, and embroidery via the use of gold threads and various ornaments was developed. Symbolized flower patterns and geometric patterns were used a lot in the respective embroidery. Fourth, embroidery in southern India was influenced by the Dravidian culture and their architectural style, which saw the emergence of an embroidery that used simple colored cross-stitch. Most of the patterns in this embroidery are geometricized. Fifth, Northern Indian embroidery has historically served as the center of power, resulting in an embroidery that uses various forms and materials. In this embroidery, flower patterns are mainly used. Final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embroidery of India's each region is based on Bourdieu's cultural theory, which could be summarized as ethnic religiosity, exotic splendor, structural formality, and symbolic power.

컴퓨터 자수기를 활용한 일렉트로닉스 커스터마이즈 스마트 가방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abric Electronics' Customized Smart Bag Using Computer Embroidery)

  • 이은규;김윤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105-112
    • /
    • 2020
  • 본 연구는 2029세대의 페스티벌 사용자를 위한 패브릭 일렉트로닉스 기반의 스마트 가방 개발 연구로 한국전통 문양과 도깨비 문양을 전자회로로 응용한 테크 플랩(음악 미디어 제어 기능/ LED 반응 기능)을 커스터마이즈 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사용자의 기호와 상황에 따라 맞춤형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기능적·디자인적 전략으로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컴퓨터 자수기를 활용한 탈부착 모듈형의 커스터마이즈 스마트 가방 플랫폼을 제시하였다. 이는 기존에 출시한 하드한 형태의 PCB 스마트 제품과의 차별성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인도의 전통자수 MIRROR WORK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dia's Traditional Embroidery, Mirror Work)

  • 한연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99-11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India's traditional embroidery method, Mirror Work, and to evaluate the examples of contemporary costumes as well as the applications of art to clothing that have been influenced by this technique, in order to expand its usage for creation of a new fashion image. Research in the literature and application of works related to Mirror Work have demonstrated: First of all, as a traditional embroidery method that represents the folk art of India, Mirror Work displays unique methods used in different regions and the way that various methods and materials were combined by the use of mirrors, beads, and $appliqu{\acute{e}}$.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 presentation of Mirror Work in the $pr{\hat{e}}t$-a-porte collection is based on a traditional embroidery method using both developed materials and adapted methods to express traditional reproducibility, geometric simplicity,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omplex decorations. Thirdly, new plasticity for art to wear clothing can be created through various methods aside from embroidery, for example by a technique of wrapping crochet laces and tapes around the mirror for decorative purposes.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inferred that,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ple forms for decorations, Mirror Work shares multiple forms of personal aesthetic goals through the mirror's unique quality for expression and enhanced images of artistic decorative art. Also, the introduction of traditional materials and methods for today's folk art and traditional costumes can be the subject of unique aesthetic characteristics based on different perspectives of the recreation of tradition. Finally, it can further create a new plasticity within the globalization phenomena.

  • PDF

동아대학교박물관 소장 <초충도수병>의 직물과 자수 연구 (Study on Fabric and Embroidery of Possessed by Dong-A University Museum)

  • 심연옥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6권3호
    • /
    • pp.230-250
    • /
    • 2013
  • 동아대학교박물관에 소장된 <초충도수병(草蟲圖繡屛)>(이하 <수병>)은 보물 제595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초충도 회화작품보다 더 정교하고 섬세한 사실적 표현과 다채한 입체적 구성으로 미술사 분야에서 그 가치가 높이 평가되어 왔다. 그러나 <수병>이 자수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섬유공예적 측면에서의 분석과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수병>의 바탕직물, 자수색사, 자수기법 등을 과학적 기기를 사용하여 조사 분석함으로써 <수병>의 문양소재와 섬유공예적 특징 및 <수병>이 섬유공예사에서 갖는 가치를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수병>은 8폭 병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재와 구도는 일반적인 초충도 회화작품과 유사하다. 각 폭의 주제문양은 제1폭에서부터 순서대로 오이, 맨드라미, 원추리, 여주, 패랭이, 수박, 가지, 들국화로 이루어져 있다. <수병>의 문양 중 여주는 현전하는 초충도 회화작품에서는 볼 수 없는 특별한 소재이다. 제8폭은 곤충, 파충류 등의 문양이 없이 들국화만 단독으로 시문하여 초충도의 전형적인 형식과 차별이 있다. <수병>의 직물은 지금까지 장식용 자수에서는 볼 수 없었던 검은색을 사용하여 다채한 색사를 강조하여 극대로 표현하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바탕직물은 5매 공단[무문단(無紋緞)]을 사용하였다. 자수사는 극히 미약하게 꼬임을 준 반푼사를 사용하였으며 꼬임의 방향은 우연이다. 한 가지 색의 단사를 사용하기도 하고 때로는 두 가지 색을 병사로 사용하거나 합연사한 혼합색을 사용하여 입체적으로 표현하였다. 색상은 열화되고 퇴색이 심하여 원래의 색은 알 수 없지만 가장 많이 사용된 색은 황색계열에서 녹색계열의 색이며 청색, 갈색, 자색 등이 비교적 잘 남아있다. 원추리, 패랭이, 딸기 등의 색은 현재 적황색으로 남아 있는데 초충도와 비교해 볼 때 원래는 주황색 또는 홍색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자수의 기법은 대부분 표면평수를 사용하여 면을 채우고 있다. 이를 통해 색사의 낭비를 줄이고자 했던 옛 여인들의 알뜰한 지혜가 엿보인다. 평수는 면을 장식하는 비교적 간단한 자수법이지만 색사를 다양화하고 면을 분할하여, 수직, 수평, 사선평수를 배합하고 때로는 자릿수와 같이 서로 맞물리게 자수하여 다양한 질감과 양감을 표현하였다. 곤충의 몸통은 가장자리수와 이음수, 평수를 혼합하여 입체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특히 가장자리수의 활용이 주목된다. 그 외 이음수로 잎맥 등을 입체감 있게 나타내고, 제7폭의 쇠뜨기는 표면솔잎수를 층층이 자수하여 사실적으로 표현하였다. 패랭이, 딸기, 오이 등에는 평수 위에 장식수를 더하여 세세한 묘사를 더했다. <수병>은 회화사, 문화사적으로도 가치가 크지만 한국 자수공예사에 있어서도 우수한 한국적 자수기법과 색채를 사용하여 신사임당 초충도의 모습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는 점에서 큰 중요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입지요인이 음식업 업종별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s of Location Factors on Sales by Restaurant Type)

  • 노은빈;이상경
    • 부동산연구
    • /
    • 제28권4호
    • /
    • pp.37-51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서울시 6개구(종로구, 중구, 영등포구,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의 14개 세부 음식업종의 집계구 매출액을 대상으로 공간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입지요인의 영향을 분석한다. 세부 음식업종 매출액의 유동인구 탄력성과 주변 사업체 종사자수 탄력성을 측정하고 자치구별 매출액 차이와 공간승수효과를 비교한다. 세부 음식업종 중 4개 업종(분식전문, 찌개/찜/탕, 회 전문, 제과/떡/한과)에서는 공간자기상관이 검정되지 않아 OLS 회귀분석이 적용되며, 해산물 전문 업종은 공간래그모형(SLM)이, 나머지 9개 업종들에서는 공간오차모형(SEM)이 적용된다. 유동인구와 주변 사업체 종사자수는 세부 음식업종의 매출액에 대체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액의 유동인구 탄력성은 동양식 전문, 주점, 서양식 전문, 전통음식 순으로 나타났으며 주변 사업체 종사자수 탄력성은 제과/떡/한과, 동양식 전문, 서양식 전문 순으로 나타났다. 공간자기상관에 따른 공간승수효과는 동양식 전문, 주점, 서양식 전문, 전통음식 순으로 나타났다. 전통음식, 찌개/찜/탕, 해산물 전문 등의 업종은 강남구와 다른 자치구들 간에 매출액 차이가 거의 없는 반면에 육류구이, 주점, 제과/떡/한과 등은 매출액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음식업종의 업종별 입지 적합도를 평가함으로써 음식점 입지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안경디자인에 있어서 전통문양의 문화적 의미 연구 (Cultural Value of Traditional Pattern in the Eyewear Design)

  • 김대년;장준영;이경숙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3-17
    • /
    • 2008
  • 목적: 안경의 기능이 점차 문화적, 심리적, 사회학적 측면으로 확대 되는 점에 주목하고, 그러한 요구에 맞는 디자인을 위해 전통문양을 접목하는 방법 연구. 방법: 전통문양의 상징성을 이해하고, 그 중에서 세계적인 보편성을 지닌 팔메트 문양 넝쿨장식문양 등의 문양연구와 전통재료기법의 하나인 자수기법, 조각보 기법 등을 안경의 템플과 안경 클리너 등에 현대적으로 재구성하여 응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결과: 세계화는 문화의 교차적 소비현상을 빠르게 촉진시키고 있다. 그러므로 세계적인 보편성위에 그 민족의 미적 특질이 잘 드러난 전통문양을 활용한 안경디자인은 오히려 세계 시장의 이러한 속성에 적응하여 성장할 수 있는 새로운 자원이 된다. 이 논문에서는 전통문양 및 전통기법을 활용하여 현대화함으로써 안경 디자인의 문화적 가치를 발견하고, 현대 소비자의 문화적 욕구와 접목할 수 있는 새로운 시각을 제안하였다. 결론: 안경은 소비자의 사회적 지위를 표상하고, 현재의 심리적 언어로써 하나의 스타일을 표현해내는 도구가 되었다. 그러므로 전통문양을 활용한 안경디자인은 소비자의 문화적 소비욕구를 충족시켜주는 계기를 마련해주며, 기존의 안경디자인이 지니고 있는 서구 문화중심의 디자인 개념을 동양적인 미감으로 전환시키는 계기를 마련한다.

  • PDF

가상 커뮤니티 설계: 사용성을 넘어서 (Virtual Community Building : Beyond Usability)

  • 김창민;김희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541-545
    • /
    • 2003
  • 인터넷 사용자수의 폭발적인 증가로 가상공간 내에서의 커뮤니티 또한 새로운 생활공간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그런데 사용자들이 자주 찾을 수 있는 가상 커뮤니티 설계를 위해서는 전통적인 전산학 연구 방법들의 목표라 할 수 있는 효율성 측면이나, 초기 HCI 연구의 주류를 이룬 사용성, 편리성의 차원을 넘어서서, 사회적 정서적 측면 등 더욱 복잡한 내용들이 고려되어져야 한다. 본 논문은 인제 대학교 컴퓨터광학부 학생들의 telnet기반 BBS ('라이크')와 학부 홈페이지 사용에 관련하여 실시한 인터뷰 연구 결과를 소개한다. 이를 통해 사용성을 넘어서 가상 커뮤니티 설계에 요구되어지는 다양한 측면들을 논의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생각해 보고자 한다.

  • PDF

나라별 천문학자수로 본 한국 천문학의 위상 (Current Status of Korean Astronomincal Communities Derived from the Number of Astronomers)

  • Ahn, Sang-Hyeon
    • 천문학회보
    • /
    • 제44권1호
    • /
    • pp.45.4-45.4
    • /
    • 2019
  • 각국의 인구와 국민총생산 등에 대한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관련 박사 연구자수의 상관관계를 구하였다. 그 결과, 국가별 상황에 따라 몇 개의 그룹으로 나뉨을 발견하였고, 신흥 선진국과 전통적 선진국 사이의 상관관계가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국의 과학이나 경제 정책 등과의 관련성을 논의할 것이며, 특히 한국 천문학의 현주소에 대해 정량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한국은 후발국과 선진국 사이의 중간자적인 입장임을 밝혔고, 한국 천문학을 선진국 수준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투자 규모를 정량적 수치로 제공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