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통 건축

검색결과 732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고건축의 양식연원

  • 이정덕
    • 건축사
    • /
    • 제3권7호통권7호
    • /
    • pp.55-66
    • /
    • 1968
  • 세계 각국의 많은 건축가들이 스스로의 전통을 찾는 과정에서 선인들의 업적 중 기능상, 의장상, 절대적 가치가 있는 것을 택하려고 시도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에 따라 건축계에서 양식 EH는 전통의 문제가 논의되고 있는 이때 본 연구는 좋은 자료가 될 것이다.

  • PDF

이달의 과학자-서울대 임산공학과 이전제 교수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31권4호통권347호
    • /
    • pp.82-83
    • /
    • 1998
  • 새로운 목재사용 전통목조건축 재현 연구-우리나라에서 건축 부자재로 사용되는 목재는 거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시멘트 등을 재료로 한 건축이 늘면서 전통적인 우리의 건축양식이 사라져 버렸다. 이런 상황에서 서울대 임산공학과 이전제교수(47세)는 우리의 전통목조건축을 새로운 목질재료를 사용하여 재현할 수 있는 연구를 하고 있다. 서울대 미식축구부 지도교수 겸 감독을 맡고 있는 이교수의 학문세계를 조명해본다,

  • PDF

전통건축 목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게임형식의 교육용 콘텐츠 제작 (Development of an Edutainment Content for Comprehending the Traditional Architectural Structure)

  • 안은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314-315
    • /
    • 2012
  • 최근에 전통건축에 대한 우리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옥마을 조성 등으로 인한 관련 산업의 수요가 활성화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문가 육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설계전문가라 하더라도 전통건축을 처음 접하는 경우에는 부재간의 연결 관계를 명확하게 인지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현재의 발달된 인터넷 환경과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장점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교육용 콘텐츠 개발에 관한 것이다. 부재의 결합규칙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전통건축의 목구조 방식을 이해할 수 있는 교육용 콘텐츠를 개발한다. 디지털화된 전통건축 정보를 활용하여 부재간의 연결과 이음방식을 점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단계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플랫폼에 자유로운 교육용 콘텐츠를 제작한다.

  • PDF

지역건축탐방(3) - 아산ㆍ부여ㆍ공주

  • 정무웅
    • 건축사
    • /
    • 3호통권347호
    • /
    • pp.72-76
    • /
    • 1998
  • 본 특집은 지방시대에 지역건축문화가 어떻게 변화하고 정착되고 있는가? 그 지역만의 갖고 있는 도시+건축문화의 아이덴티티는 무엇이고, 현대화과정에서 그 지역의 고유한 문화경관요소가 개발과 보존이라는 병립된 사회요구속에서 어떻게 적응되고 있는가에 대해 살펴봄을 의도하고 있다. 특히 백제문화권의 중심도시인 아산, 부여, 공주의 도시특성을 이루고 있는 도시공간구조 및 구성요소와 그 속에 내포되어 있는 문화경관요소의 현황을 살펴본다. 본고는 현대화하는 과정 속에서 전통성이 있는 문화요소를 지역성의 개념과 상관적으로 관련시켜 정리하기 위한 것이다. 문화가 지역을 초월하여 국제적으로 교류되면서, 생활의 편익성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은 국가와 민족의 차이를 넘어 동일한 지구문화형성의 과정으로 급속히 진행하고 있다. 현대화는 서구화라는 등식은 서구문화의 간결한 편익성이 낳은 전세계적 현상이다. 따라서 현대화를 생활의 변화로 이해할 때에 전통논의의 여유가 있고, 전통논의에 대한 객관성이 있으며, 편협된 전통관으로부터 자유로와질 수 있다. 시간의 변화에 따라서 생활이 변하고, 특히 생활을 담는 그룻으로서 건축환경이 변한다. 오랜 시간을 통해서 서서히 건축환경이 변하지만, 누적된 변화는 커다란 차이로서 나타나고, 이에 따라 적응과정에서의 여러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현재까지 많이 논의되어온 보전과 보존의 방법론적 세분화에 의한 적극적인 대책이 요구되는 시점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해서 '전통성을 갖춘' 도시ㆍ건축구조물을 단순한 유적, 유물로 보존할 것인가, 실생활과 관련된 생활과 함께 하는 문화현상으로 적응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점이 우리의 과제인 것이다.

  • PDF

전통의 현대적 계승을 위한 한국 전통건축의 이론화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Study on Theorization of Tradition in Korean Architecture)

  • 이상헌
    • 건축역사연구
    • /
    • 제24권6호
    • /
    • pp.35-4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investigate the ways in which scholars and architects in Korea have theorised the tradition in Korean architecture from the early 20th century to the present. After opening the door to foreign powers, the most important issue to be resolved in Korea architecture has been the modernization of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The successful modern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depends on successful theorization of the tradition. However, many attempts to theorise the uniqueness of tradition in Korean architecture had not been instrumental to the modern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The reason why they were not successful lies in the lack of philosophical and methodological reflection upon how to approach the tradition. They were either trapped in ambiguous essentialism without systematic methods and theories, or simply inventing the tradition from the vantage point of the present. This paper argues that in order to theorise the tradition, one need to translate the tradition into contemporary architectural vocabularies. What is important in translating the tradition is not to directly apply contemporary concepts and perceptual frame of architecture to traditional architecture but to find the gap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his will open hermeneutic spaces to translate the tradition into useful principles and vocabularies of comtemporary architecture.

웹기반 전통흙건축재료 정보서비스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based Earth Material Information Service for Korean Traditional Building)

  • 이상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5-2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전통 건축을 위해 사용되었던 흙건축 재료와 관련된 정보를 웹 환경에서 관리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웹 기반 정보서비스의 설계 및 개발에 대하여 기술한다. 전통흙건축재료 정보서비스는 특히 고문헌 자료를 바탕으로 하므로, 일반 사용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전문 한자 용어 중심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보 검색이 수행되는 불편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또한 자료 수집 및 분석이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병행되므로 데이터의 확장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기도 하다. 본 논문에서는 전통흙 건축재료를 위한 정보서비스의 설계 및 개발 과정에서 주요 이슈들을 도출하고 이를 해결하는 여러 방안들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