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통풀

Search Result 64,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Bibliographic consideration on the efficacy and the origin of Korean ginseng (고려인삼의 유래 및 효능의 서지학적 고찰)

  • Kwak, Yi-Seong
    • Journal of Ginseng Culture
    • /
    • v.1
    • /
    • pp.43-56
    • /
    • 2019
  •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has been known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special and healthful products originating from Korea for 4500 to 5000 years. The word of ginseng was first mentioned in JiJuZhang(急就章), written by ShiYou during the reign of King Yuah Di of the Chien Han Dynasty, China (33-48 BC). It has been known that wild Korean ginseng grows in Korean peninsula including Manchuria and the ginseng is found only between the $33^{rd}$ and $48^{th}$ parellels of north latitude. Since the times of three kingdom in Korea at 4-7 century, which is Kokuryo, Baekje and Shila, Korea has been the chief ginseng producing country. A large quantity of ginseng was exported from Korea to China for medicinal use at that times. That was written in SamGukSaGi(三國史記) by BuSik Kim of Koryeo Dynasty in Korea in 1145. The cultivation of Korean ginseng was also recorded in Bencaogangmu(本草綱目) written by LiShi Zen during the regin of the Ming Dynasty in 1596, China. The ginseng seedling, which was known as an original method invented by imitating the method of rice transplantation, appeared in the SeungJeongWon Ilgi(the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 承政院日記), 1687 in the regin of King SukJong in Korea. It was suggesting that ginseng cultivation was firstly established in the early 1600s in Korea. On the other hand, red ginseng(written as 熟參) was reported firstly in GoRyeoDoGyeong(高麗圖經)(a record of personal experience in Korea, written in 1123) by SeoGung in Song Dynasty, China. The names of Pansam(written as 板蔘) and Pasam(written as 把蔘), which were the another types of red ginseng products, were came on in the JoSeon Dynasty Annals in 1552 and 1602, respectively. Although the term of red ginseng(Hongsam in Korean) was firstly appeared in the JoSeon Dynasty Annals in 1797, it is believed to have been developed a little earlier periods from the King Jungjong(1506~1545) to the King SeonJo(1567~1608) in Korea. Then, the Korean red ginseng has begun production on a large scale in SamJeong Department of NaeJangWon(內藏院 蔘政課) in the Korean Empire(大韓帝國) in 1899. More detailed records about red ginseng production method were written in the SohoDanag Miscellany(韶濩堂集) by Taekyoung Kim at 1916 year in Korea. On the while, the efficacy of ginseng was first recorded in Shennongbencaojing(神農本草經) written in China(BC 83-96) and the efficacy has been continuously inherited.

Status of Exotic Plant Species with in the Cultural Properties in Seongju-gun, Gyeongsangbuk-do (성주지역 문화재 지정(보호)구역 내 외래식물의 현황)

  • Shin, Hyun Tak;Kim, Yong Shik;Yi, Myung Hoon;Yoon, Jung Wo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4 no.1
    • /
    • pp.162-18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both exotic and naturalized plants in the designated Cultural Preservation Area located in Seongju-gun, Gyeongsangbuk-do in order to identify traditional cultural places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prepare a conservation strategy. The vascular plant species was identified as having 114 taxa: 50 families, 93 genera, 94 species, 16 varieties and 4 forms in King Sejong's Prince Taesil. Among them are 15 taxa of the exotic plant species and 16 taxa of naturalized plant species, which resulted in 14.04% of the Naturalization Rate and 5.90% of the Urbanization Index. The vascular plant species was identified as 68 taxa: 40 families, 64 genus, 57 species, 8 varieties and 4 forms in the Seongju Hyanggyo. Among them, the exotic plants recorded 17 taxa with 30 taxa of naturalized plants. The Naturalization Rate was 44.12% and Urbanization Index was 11.07%. The Seongbaksup, which was a grove outside of the Seongju Fortress recorded 61 taxa: 34 families, 58 genera, 55 species, 5 varieties and 1 form. Among them, the exotic plant species consisted of 10 taxa with 17 taxa of naturalized plants, with a 27.87% Naturalization Rate and a 6.27% Urbanization Index. The vascular plant species was recorded as 230 taxa: 92 families, 183 genus, 182 species, 1 subspecies, 32 varieties and 14 forms in Hangae Village. Among them, exotic plants consist of 28 taxa with 85 naturalized plant species, with a Naturalization Rate of 37.12% and Urbanization Index of 31.37%. The vascular plant species in the Seongsan Ancient Tomb is recorded as having 131 taxa: 55 families, 107 genus, 106 species 19 varieties and 6 forms. Among them, exotic plants consist of 18 classifications, and naturalized plants consist of 22 classifications with a Naturalization Rate of 16.79% and an Urbanization Index of 8.12%. The Seongju Hangyo recorded the highest Naturalization Rate among all surveyed sites in Hangae Village. All five of these surveyed sites will require a management plan to eradicate both exotic and naturalized plant species. Hangae Village especially needs to prepare a management plan. The invasion of ragweed in Seongju Hanggyo and Hangae Village, which is one of the most invasive plant species to disturb the ecosystem, is in need of management to eradicate it.

The Landscape Configuration and Semantic Landscape of Hamheo-pavilion in Gokseong (곡성 함허정(涵虛亭)의 경관짜임과 의미경관)

  • Lee, Hyun-Woo;Sim, Woo-Kyung;Rho, Jae-Hyun;Shin, Sang-Sup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3 no.1
    • /
    • pp.52-64
    • /
    • 2015
  • This research trac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mantic landscape, construction intent, landscape composition, and geomantic conditions of the area subject to the research based on the research methods of 'field investigation, document studies, and interviews,' centering around the entire area of Gokseong Hamheo-pavilion (Jeonnam Tangible Cultural Assets No. 160). The result of the research, specifically revealing the forms and methods by which the reciprocal view of nature and landscape composition appearing in the landscape of the entire area of Hamheo-pavilion, as part of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ver the view-based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and position of the entire area of Gokseong Hamheo-pavil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amheo-pavilion is a pavilion built as a resting area and as a venue for educational activities in 1543 in the nearby areas after Gwang-hyeon Sim founded Gunjichon-jeongsa for educational activities and dwelling purposes at Gunchon at the 30th year of King Jungjong. Gunchon, where Hamheo-pavilion and Gunjichon-jeongsa is located, exhibits the typical form having water in the front, facing Sunja-river(present Seomjin-river), and a mountain in the back side. Dongak-mountain, which is a guardian mountain, is in a snail-type form where cows leisurely ruminate and lie on the riverside, and the Hamheo-pavilion area is said to be an area bordering on one's way of enjoying peace and richness as it is a place with plentiful grass bushes available for cows to ruminate and lie down while sheppards may leisurely play their flutes at the riverside. The back hill of Hamheo-pavilion is a blood vessel that enters the water into the underwater palace of the turtle, and the building sitting on the turtle's back is Hamheo-pavilion, and the Guam-jodae(龜巖釣臺) and lava on the southern side below the cliff can be interpreted to be the underwater fairly land wanted by the turtle.6) Second, Hamheo-pavilion is the scenery viewpoint of Sungang-Cheongpung (3rd Scenery) and Seolsan-Nakjo(雪山落照, 9th Scenery) among the eight sceneries of Gokseong, while also the scenery viewpoint of Hamheo-Sunja(2nd Scenery) and Cheonma-Gwiam(天馬歸岩, 3rd Scenery) among the eight sceneries of Ipmyeon. On the other hand, the pavilion is reproduced through the aesthetics of bends through sensible penetration and transcendental landscape viewed based on the Confucian-topos and ethics as the four bends among the five bends of Sunja-river arranged in the 'Santaegeuk(山太極) and Sutaeguek(水太極, formation of the yin-yang symbol by the mountain and water)' form, which is alike the connection of yin and yang. In particular, when based on the description over Mujinjeong (3rd Bend), Hoyeonjeong(4th Bend), andHapgangjeong(2nd Bend) among the five bends of Sunja-river in the records of Bibyeonsainbangan-jido(duringthe 18th century) and Okgwahyeonji(1788), the scenery of the five bends of Sunja-river allow to glimpse into its reputation as an attraction-type connected scenery in the latter period of the Joseon era, instead of only being perceived of its place identity embracing the fairyland world by crossing in and out of the world of this world and nirvana. Third, Hamheo-pavilion, which exhibits exquisite aesthetics of vacancy, is where the 'forest landscape composed of old big trees such as oak trees, oriental oak trees, and pine trees,' 'rock landscape such as Guam-jodae, lava, and layered rocks' and 'cultural landscape of Gunchon village' is spread close by. In the middle, it has a mountain scenery composed of Sunja-river, Masan-peak, and Gori-peak, and it is a place where the scenery by Gori-peak, Masan-peak, Mudeung-mountain, and Seol-mountain is spread and open in $180^{\circ}$ from the east to west. Mangseo-jae, the sarangchae (men's room)of Gunjichon-jeongsa, means a 'house observing Seoseok-mountain,' which has realized the diverse view-oriented intent, such as by allowing to look up Seol-mountain or Mudeung-mountain, which are back mountains behind the front mountain, through landscape configuration. Fourth, the private home, place for educational activities, pavilion, memorial room, and graveyard of Gunji-village, where the existence and ideal is connected, is a semantic connected scenery relating to the life cycle of the gentry linking 'formation - abundance - transcendence - regression.' In particular, based on the fact that the descriptions over reciprocal views of nature regarding an easy and comfortable life and appreciations for a picturesque scene of the areas nearby Sunja-river composes most of the poetic phrases relating to Hamheo-pavilion, it can be known that Hamheo-pavilion is expressed as the key to the idea of 'understanding how to be satisfied while maintaining one's positon with a comfortable mind' and 'returning to nature,' while also being expressed of its pedantic character as a place for reclusion for training one's mind and training others through metaphysical semantic scenery.

홍삼 유래 성분들의 면역조절 효능

  • Jo, Jae-Yeol
    •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 /
    • v.8 no.2
    • /
    • pp.6-12
    • /
    • 2009
  •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원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외부감염원을 제거하고자 하는 주요항상성 유지기전의 하나이다. 이들 반응은 골수에서 생성되고 비장, 흉선 및 임파절 등에서 성숙되는 면역세포들에 의해 매개된다. 보통 태어나면서부터 얻어진 선천성 면역반응을 매개하는 대식세포, 수지상 세포 등과, 오랜기간 동안 감염된 다양한 면역원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얻어진 획득성 면역을 담당하는 T 임파구 등이 대표적인 면역세포로 알려져 있다. 다양한 면역질환이 최근 주요 사망률의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 암, 당뇨 및 뇌혈관질환 등이 생체에서 발생되는 급 만성염증에 의해 발생된다고 보고됨에 따라 면역세포 매개성 염증질환에 대한 치료제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또한 암환자의 급격한 증가는 암발생의 주요 방어기전인 면역력 증강에 대한 요구들을 가중시키고 있다. 예로부터 사용되어 오던 고려인삼과 홍삼은 기를 보호하고 원기를 회복하는 명약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우리나라 천연생약이다. 특별히, 홍삼은 단백질과 핵산의 합성을 촉진시키고, 조혈작용, 간기능 회복, 혈당강하, 운동수행 능력증대, 기억력 개선, 항피로작용 및 면역력 증대에 매우 효과가 좋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홍삼에 관한 많은 연구에 비해, 현재까지 홍삼이 면역력 증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분자적 수준에서의 연구는 매우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어져 있다. 홍삼의 투여는 NK 세포나 대식세포의 활성이 증가하고 항암제의 암세포 사멸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어졌다. 현재까지 알려진 주요 면역증강 성분은 산성다당류로 보고되었다. 또 한편으로 일부 진세노사이드류에서 항염증 효능이 확인되어졌으며, 이를 통해 피부염증 반응과 관절염에 대한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본 연구는 KT&G 연구출연금 (2009-2010) 지원을 받아 이루어졌기에 이에 감사드린다].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물질의 침입으로 유도된 질병환경을 제거하고 수복하는 중요한 생체적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이들 과정은 체내로 유입된 미생물이나 미세화학물질들과 같은 독성물질을 소거하거나 파괴하는 것을 주요 역할로 한다. 외부로 부터 인체에 들어온 이물질에 대한 방어기전은 현재 두 가지 종류의 면역반응으로 구분해서 설명한다. 즉, 선천성 면역 반응 (innate immunity)과 후천성 면역 반응 (adaptive immunity)이 그것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은 1) 피부나 점막의 표면과 같은 해부학적인 보호벽 구조와 2) 체온과 낮은 pH 및 chemical mediator (리소자임, collectin류) 등과 같은 생리적 방어구조, 3) phagocyte류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및 호중구 등)에 의한 phagocytic/endocytic 방어, 그리고 4) 마지막으로 염증반응을 통한 감염에 저항하는 면역반응 등으로 구분된다. 후천성 면역반응은 획득성면역이라고도 불리고 특이성, 다양성, 기억 및 자기/비자기의 인식이라는 네 가지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외부 유입물질을 제거하는 반응에 따라 체액성 면역 반응 (humoral immune response)과 세포성 면역반응 (cell-mediated immune response)으로 구분된다. 체액성 면역은 침입한 항원의 구조 특이적으로 생성된 B cell 유래 항체와의 반응과 간이나 대식세포 등에서 합성되어 분비된 혈청내 보체 등에 의해 매개되는 반응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성 면역반응은 T helper cell (CD4+), cytotoxic T cell (CD8+), B cell 및antigen presenting cell 중개를 통한 세포간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면역반응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의 하나인 염증은 우리 몸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되고 있는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예를 들면 감기에 걸렸을 경우, 환자의 편도선내 대식세포나 수지상세포류는 감염된 바이러스 단독 혹은 동시에 감염된 박테리아를 상대로 다양한 염증성 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상처가 생겼을 경우에도 감염원을 통해 유입된 병원성 세균과 주위조직내 선천성 면역담당 세포들 간의 면역학적 전투가 발생되게 된다. 이들 과정을 통해, 주위 세포나 조직이 손상되면, 즉각적으로 이들 면역세포들 (주로 phagocytes류)은 신속하게 손상을 극소화하고 더 나가서 손상된 부위를 원상으로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염증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이들 반응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발적 (redness), 부종 (swelling), 발열 (heat), 통증 (pain)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즉, 손상된 부위 주변에 존재하는 모세혈관에 흐르는 혈류의 양이 증가하면서 혈관의 직경이 늘어나게 되고, 이로 인한 조직의 홍반과, 부어 오른 혈관에 의해 발열과 부종이 초래되는 것이다. 확장된 모세혈관의 투과성 증가는 체액과 세포들이 혈관에서 조직으로 이동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고, 이를 통해 축적된 삼출물들은 단백질의 농도를 높여, 최종적으로 혈관에 존재하는 체액들이 조직으로 더 많이 이동되도록 유도하여 부종을 형성시킨다. 마지막으로 혈관 내 존재하는 면역세포들은 혈판 내벽에 점착되고 (margination), 혈관벽의 간극을 넓히는 역할을 하는 히스타민 (histamine)이나 일산화질소(nitric oxide : NO), 프로스타그린딘 (prostagladins : PGE2) 및 류코트리엔 (leukotriens) 등과 같은 chemical mediator의 도움으로 인해 혈관벽 사이로 삼출하게 되어 (extravasation), 손상된 부위로 이동하여 직접적인 외부 침입 물질의 파괴나 다른 면역세포들을 모으기 위한 cytokine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 [IL]-1, IL-6 등) 혹은 chemokine (MIP-l, IL-8, MCP-l등)의 분비 등을 수행함으로써 염증반응을 매개하게 된다. 염증과정시 발생되는 여러 mediator 중 PGE2나 NO 및 TNF-$\alpha$ 등은 실험적 평가가 용이하여 이들 mediator 자체나 생성관련효소 (cyclooxygenase [COX] 및 nitric oxide synthase [NOS] 등)들은 현재항염증 치료제의 개발 연구시 주요 표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염증 반응은 지속기간에 따라 크게 급성염증과 만성염증으로 나뉘며, 삼출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장액성, 섬유소성, 화농성 및 출혈성 염증 등으로 구분된다. 급성 염증 (acute inflammation)반응은 수일 내지 수주간 지속되는 일반적인 염증반응이라고 볼 수 있다. 국소반응은 기본징후인 발열과 발적, 부종, 통증 및 기능 상실이 특징적이며, 현미경적 소견으로는 혈관성 변화와 삼출물 형성이 주 작용이므로 일명 삼출성 염증이라고 한다. 만성 염증 (chronic inflammation)은, 급성 염증으로부터 이행되거나 만성으로 시작된다. 염증지속 기간은 보통 4주 이상 장기화 된다. 보통 염증의 경우에는 염증 생성 cytokine인 Th1 cytokine (IL-2, interferone [IFN]-$\gamma$ 및 TNF-$\alpha$ 등)의 생성 후, 거의 즉각적으로 항 염증성 cytokine인 Th2 cytokine(IL-4, IL-6, IL-10 및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eta$ 등)이 생성되어 정상반응으로 회복된다. 그러나, 어떤 원인에서든 면역세포에 의한 염증원 제거 반응이 문제가 되면, 만성염증으로 진행된다. 이 반응에 주로 작용을 하는 염증세포로는 단핵구와 대식세포, 림프구, 형질세포 등이 있다. 암은 전세계적으로 사망률 1위의 원인이 되는 면역질환의 하나이다. 산화적 스트레스나 자외선 조사 혹은 암유발 물질들에 의해 염색체내 protooncogene, tumor-suppressor gene 혹은 DNA repairing gene의 일부 DNA의 돌연변이 혹은 결손 등이 발행되면 정상세포는 암화과정을 시작하게 된다. 양성세포 수준에서 약 5에서 10여년 후 악성수준의 암세포가 생성되게 되면 이들 세포는 새로운 환경을 찾아 전이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암환자들은 다양한 장기에 동인 오리진의 암세포들이 생성한 종양들을 가지게 된다. 이들 종양세포는 정상 장기의 기능을 손상시켜며 결국 생명을 잃게 만든다. 이들 염색체 수준에서의 돌연변이 유래 암세포는 거의 대부분이 체내 면역시스템에 의해 사멸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계속되는 스트레스나 암유발 물질의 노출은 체내 면역체계를 파괴하면서 최후의 방어선을 무너뜨리면서 암발생에 무방비 상태를 만들게 된다. 이런 이유로 체내 면역시스템의 정상적 가동 및 증강을 유도하게 하는 전략이 암예방시 매우 중요한 표적으로 인식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면역증강 물질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인삼은 두릅나무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써, 오랜동안 한방 및 민간에서 원기를 회복시키고, 각종 질병을 치료할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전통생약이다. 예로부터 불로(不老), 장생(長生), 익기(益氣), 경신(經身)의 명약으로 구전되어졌는데, 이는 약 2천년 전 중국의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서 "인삼은 오장(五腸)을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키고, 혼백을 고정하며 경계를 멈추게 하고,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병사를 제거하여주며, 눈을 밝게 하고 마음을 열어 더욱 지혜롭게 하고 오랫동안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장수한다" 라고 기술되어있는 데에서 유래한 것이다. 다양한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고려인삼 (Panax ginseng)이 효능 면에서 가장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별이 고려인삼으로부터 제조된 고려홍삼은 전세계적으로도 그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대부분의 홍삼 약효는 dammarane계열의 triterpenoid인 ginsenosides라고 불리는 인삼 saponin에 의해 기인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화합물군의 기본 골격에 따라, protopanaxadiol (PD)계 (22종) 및 protopanaxatriol (PT)계 (10종)으로 구분되고 있다 (표 1). 실험적 접근을 통해 인삼의 약리작용 이해를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경주되고 있으나, 여전히 많은 부분에서 충분히 이해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현재까지 연구된 인삼의 약리작용 관련 연구들은 심혈관, 당뇨, 항암 및 항스트레스 등과 같은 분야에서 인삼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면역조절 및 염증현상과 관련된 최근 연구결과들은 많지 않으나, 향후 다양하게 연구될 효능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