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지구적 해수면상승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4초

Analysis of Sea Level Rise at the Southwestern Coast (서남해안의 해수면 상승 실태 분석)

  • Kang, Ju Whan;Oh, Nam 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1018-1022
    • /
    • 2004
  • 지구온난화에 의해 전세계적으로 평균해수면이 상승하고 있는데, 이는 지반의 융기 또는 침강 등을 비롯한 여러가지 지역적 차이 때문에 지역적으로 적지 않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서남해안은 $1\~3mm/yr$ 정도의 비슷한 값을 보이고 있으며 제주도의 경우 $3\~5mm/yr$로 서남해안 지역에 비하여 약간 큰 값을 보이는 등 전지구적 상승량인 $1\~2mm/yr$ 보다는 다소 크게 나타나고 있다. 이와 함께 방조제와 같은 해안구조물 건설에 의해서도 평균해수면 뿐 아니라 고조위 및 저조위의 변화가 유발된다. 서남해안에서는 군산항과 목포항에서 특히 방조제 건설후에 각각 조위상승과 조석확폭현상이 발생하여 만조위 상승이 유발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여기에 기인하여 목포 인근해역에서는 침식현상이 초래되고 있을 뿐 아니라 연중 해수면 변화가 심해짐에 따라 고극조위가 더욱 커져 저지대 범람이 특히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 PDF

Frequency Analysis of Extreme High Water Level Considering Tide/Surge Characteristic Changes (조석/해일 환경병화를 감안한 고극조위 빈도분석)

  • Kang, Ju Whan;Moon, Seung Rok;Park, Seon Ju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6권1B호
    • /
    • pp.99-106
    • /
    • 2006
  • Due to both global warming and constructions of seadike/seawalls, continuously or abruptly rising tendencies of extreme high water levels have been detected at Kunsan and Mokpo harbors. This paper deals firstly with the separation of each effect, namely global warming effect and construction effect, on increases of water level quantitatively by a linear regression method. And then, it can be explained why and how the extreme high water levels had been risen just after constructions at both harbors. A numerical simulation of $M_2$ tidal constituent at Mokpo coastal zone shows that the tidal amplification by constructions is mainly due to the extinguishment of TCE at Mokpogu. The tidal flat effect makes the amplification more deepen at spring tide or extreme high tide, which results in the increase of inundation risk at Mokpo harbor. A frequency analysis method is applied, which is shown to be effective at such a site of having non-homogeneous tidal data due to constructions as Mokpo harbor.

A Study on the Eco-Environmental Change of Coastal Area by the Sea Level Rise (해수면 상승에 따른 해안지역 생태환경 변화)

  • Kim, Nam-Shin;Lee, Chang-Se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제13권3호
    • /
    • pp.53-63
    • /
    • 2010
  • The global sea level rise has an effect on eco-environmental change by the inundation and erosion in the coastal area. Forecasting model on the change of morpho-ecological environments by the sea level change will give us information for coastal area management by predicting environmental changes of the up-coming future. This research aimed to foresee eco-environmental changes by the sea level rise in coastal area. Prediction model used SLAMM model developed to forecast coastal changes by IPCC scenario. The model predicted centennial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mouth of Han river and Nakdong river, Suncheon and Hampyeung bay as case areas. To sum up the research findings, in the estuary of the Han river, tidal flat was gradually disappeared from the year 2075, scrubmarsh and saltmarsh belts were developed.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scrubmarsh was decreased from the year 2025, tidal flat was deposited from the year 2050, and also, the Gimhae plain was partially inundated, and wetlands were formed. In the Hampyeung bay, saltmarsh was deposited in the year 2025, tidal flat expanded until 2050 was partially submerged after that time. Tidal flat of Suncheon bay was disappeared by the inundation after 2025, and saltmarsh was developed in the embayment.

Analysis of long-term climate variability by extending hydrologic time series (수문 시계열 확장을 통한 장기 기후 변동성 분석)

  • Kim, Taereem;Kim, Hanbeen;Jung, Younghu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한국수자원학회 2019년도 학술발표회
    • /
    • pp.308-308
    • /
    • 2019
  • 지구상 해양, 대기 및 대륙 상호간의 연속적인 물의 거동을 나타내는 물의 순환의 주요 과정 중 하나인 유량 자료는 경년부터 수십년간의 다양한 기상학적 변동성을 내포하며 해당 지역의 수문기상학적 특성을 반영한다. 이러한 기상학적 변동성 중에서 비교적 긴 시간 주기를 나타내는 저주파 진동은 전지구적 기후변화의 장기적 영향을 나타내며 해수면 상승, 홍수 또는 가뭄과 같은 극한 수문사상을 나타내는 매우 주요한 지표로 활용되고 있지만 관측된 수문 시계열의 짧은 자료길이로 인하여 통계적 분석의 신뢰성에 한계를 보여왔다. 따라서 과거 수문 시계열의 확장으로 인하여 부재의 영역으로 남아있던 자료 기간의 한계가 보완되면 보다 정확하고 신뢰도 있는 분석이 가능할 것이다. 나무나이테를 활용한 고기후 복원 등의 연구가 증가하고 있지만 공학 분야에서 이를 실제로 활용한 연구는 아직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거 기후의 정보를 바탕으로 복원된 수문 시계열을 활용하여 수문 시계열에 내재된 장기 기후 변동성을 통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문헌들을 조사하고, 장기적인 시간 흐름에 내재된 잠재적인 경향 및 변동성을 통계적 분석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주어진 수문 시계열에 내재된 저주파 신호을 추출하기 위한 경험적 모드분해법을 활용하여 수문 자료에 내재된 장기 변동성을 추출하였으며, 산업화 이전부터 연장된 수문 시계열의 공학적 활용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PDF

Late Quaternary Stratigraphy and Depositional Environment of the Yeongsan River Estuary, Southwestern Korea (영산강 하구의 제4기 후기 층서 및 고환경)

  • 남욱현;김주용;양동윤;홍세선;봉필윤;이윤수;유강민;염종권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제36권6호
    • /
    • pp.545-556
    • /
    • 2003
  • Detailed interdisciplinary investigations demonstrate that the Yeongsan River estuarine-filled sediments clearly record important paleoenvironmental changes during the Last Glacial and Holocene. The sediments from 18.9 m(20.5∼l.6m in depth) long core MW-1 are differentiated by changes in sedimentary textures and palynomorph assemblages. Chronology was provided by AMS$^{14}$C dating and regional pollen correlation. Three paleoenvironrnental phases are recognized: (1) The Last Glacial deposits consist mainly of fluvial sediments and paleosols, experienced deposition alternating with pedogenesis. The appearance of the paleosols suggests that the paleoclimate might be cold and humid. (2) The early and middle Holocene phase started abruptly in response to the rapid global climatic warming. and is characterized by abundant marine palynomorphs. (3) The late Holocene is marked by more cool conditions. The paleoenvironmental changes recorded in the sediments coincide not only with local but also with broad-scale, probably global climate changes.

Development of locally customized river level prediction model based on AI for ASEAN countries (ASEAN국가 현지맞춤형 인공지능 하천수위예측 모형 개발)

  • Sooyoung Kim;Jaewon Jung;Seungho Lee;Kwang-Seok 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333-333
    • /
    • 2023
  • 기후변화로 인해 전지구적인 이상기후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지구온도와 해수면상승과 더불어 강우패턴의 변화가 세계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아세안 국가의 경우 태풍 및 집중호우에 대한 침수피해의 빈발로 2,000만명 이상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윈인으로는 자연재해에 의한 인명 및 재산피해관련 대응기술의 개발 및 대응조직의 전문성이 미흡하다는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에 많은 국가 및 기관에서 재난 대응 기술을 ODA사업을 통해 지원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지속적인 ODA사업으로 재난 대응 기술, 그 중에서도 홍수대응 기술을 적극적으로 보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SEAN국가 현지 맞춤형 인공지능 하천수위예측 모형을 개발하여 ASEAN국가의 홍수대응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관측데이터의 수집이 용이하고 양질의 관측자료를 장기간 확보할 수 있는 필리핀의 Montalban 관측소를 대상으로 하였다. Montalban 수위관측소는 마닐라를 관통하는 마리키나 강의 상류에 위치하고 있다. 주변에는 상류쪽에 Mt. Oro 강우관측소가 있으며 해당 관측소의 강우자료와 Montalban 관측소의 수위자료를 입력자료로 활용하여 최대 3시간까지 수위를 예측하였다. 예측수위에 대한 적합도 지표로 NSE(Nash-Sutcliffe model efficiency coefficient)를 사용하였으며 2시간 예측까지는 0.8이상의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 홍수예보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나, 3시간 예측결과는 홍수예보에 활용하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는 Mt. Oro관측소에 내린 강우가 Montalban 관측소에 도달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3시간 이내이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관측소의 수위자료와 상류에 위치한 강우관측소의 장기간 고품질의 관측자료가 존재한다면 높은 정확도의 예측결과를 도출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Revealing the Paleo-ocean Environment of OSM-XX in the Western Pacific Magellan Seamount with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Properties of Ferromanganese Crust (서태평양 마젤란해산군 OSM-XX 해저산 망간각의 광물학적, 지화학적 특성과 고해양 고환경 복원 연구)

  • Jinsub Park;Kiho Yang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제56권1호
    • /
    • pp.55-63
    • /
    • 2023
  • Variations in geochemical and mineralogical properties of the ferromanganese(Fe-Mn) crust reflect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present study, geochemical and mineralogical analyses, including micro X-ray fluorescence and X-ray diffraction, were utilized to reconstruct the paleo-ocean environment of western Pacific Magellan seamount cluster. Samples of the Fe-Mn crust were collected using an epibenthic sledge from the open seamount XX (151° 51.12' 7.2" E and 16° 8.16' 9.6" N, 1557 meters below sea level) in the Western Pacific Magellan Seamount.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phosphating status, the Fe-Mn crust of the OSM-XX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phosphatizated (L4-L5), massive non-phosphatizated (L3), and porous non-phosphatizated (L1-L2) portions. All ferromanganese layers contain vernadite, and owing to the presence of carbonate fluorapatite (CFA), the phosphatizated portion (L4-L5) is rich in Ca and P. The massive non-phosphatizated section (L3) contains high Mn, Ni, and Co, whereas the porous non-phosphatizated portion (L1-L2), which comprises detrital quartz and feldspar, is rich in Fe. Variations in properties of the Fe-Mn crust from the OSM-XX reflect changes in the nearby marine environment. The formation of this crust started at approximately 51.87 Ma, and precipitation of the CFA during the global phosphatization event that occurred at approximately 36-32 Ma highlights an elevated sea level and low temperature during the associated period. The high Mn, Ni, and Co concentrations and elevated Mn/Fe ratios of samples from the massive phosphatizated portion indicate that the oxygen minimum zone (OMZ) was enhanced, and reducing conditions prevailed during the crust formation. The high Fe and low Mn/Fe ratios in the porous portion indicate a weak OMZ and dominantly oxidizing conditions. These data reflect environmental changes following the end of the Mi-1 glacial period in the Miocene-Oligocene boundary. Subsequently, Mn/Fe and Co/Mn ratios increased slightly in the outermost part of Fe-Mn crust because of the enhanced bottom current and OMZ associated with the continued cooling from approximately 9 Ma. However, the reduced carbonate dissolution rate in the Pacific Ocean from approximately 6 Ma decreased the growth rate of the Fe-Mn cru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