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자향해

검색결과 1,284건 처리시간 0.026초

아로니아즙 첨가에 따른 단감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weet Persimmon Jams added with Aronia Juice)

  • 이지현;박재호;정정순;송달님;김영호;엄현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33-439
    • /
    • 2017
  • 본 연구는 최근 안토시아닌 등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다고 알려지면서 재배면적이 급증가하고 있는 아로니아와 충북남부의 대표작물인 감의 소비촉진을 위하여 아로니아 즙을 혼합하여 단감잼을 제조한 후, 그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100% 단감만 넣은 잼이 가장 높은 pH를 나타냈고, 아로니아즙을 첨가할수록 pH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총산은 반대로 증가하였다. 색도 중 명도는 아로니아 즙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계속 감소하였고, 적색도는 증가하였으며, 황색도는 감소하였다. 생리활성 중 총 폴리페놀과 전자공여능은 아로니아즙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마지막으로 기호도 평가에서 아로니아 즙을 60~80% 첨가한 실험구가 색상, 향 및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따라서 생리활성, 관능적인 면 및 가격을 골고루 고려했을 때 60~80% 아로니아 즙을 첨가한 것이 아로니아와 단감의 이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냉해동 온도에 따른 마쇄 홍고추의 품질특성 변화 (Influences of Freezing and Thawing Temperatur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shed Red Pepper)

  • 황인국;정헌상;이준수;김혜영;유선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691-69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냉동 온도(-20, -30, -40, -50, -60 및 -70)와 해동 온도(4, 10, 20, 30, 40 및 $50^{\circ}C$)에 따른 마쇄 홍고추의 ascorbic acid, capsaicinoids, 유리당 함량과 ASTA 값의 품질 변화를 분석하였다. 냉동 온도에 따른 ascorbic acid 량은 67.08~80.35 mg/100 g 범위로 원료 값에 비해 57.00~64.10% 감소하였으며, 냉동 온도가 낮을수록 감소량은 적었다. 냉동 온도에 따른 capsaicinoids 함량, 유리당 함량 및 STA 값은 냉동 온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원료 값과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해동 온도에 따른 scorbic acid 함량은 70.34~75.90 mg/100 g 범위로 원료 값에 비해 45.12~52.69% 감소하였으며, 해동 온도가 높을수록 감소폭은 큰 경향을 보였다. 해동 온도에 따른 capsaicinoids 함량 및 유리당 함량은 원료 값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ASTA 값은 행동 온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해동 온도에 따른 마쇄 홍고추의 전자코 분석 결과, 향기패턴 변화는 $20^{\circ}C$ 이상의 해동 온도에서부터 원료의 향과는 명확히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마쇄 홍고추 냉동시 냉동 온도는 $-20^{\circ}C$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동 온도는 $10^{\circ}C$ 이하에서 실시하는 것이 품질특성 변화를 최소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발효홍삼 농축액을 이용한 노인용 기능성 간식(양갱)의 항산화성 및 품질특성 (Antioxidative Capac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using Fermented Red Ginseng for the Elderly)

  • 김애정;한명륜;이수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3-8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유산균 혼합물(Lactobacillus casei와 Bifidobacteriumlogum 1:1)을 이용하여 발효홍삼을 제조하여 강화된 기능성 성분을 확인하였다. 유산균 혼합물에 의한 발효로 인해 발효홍삼의 전자공여능(EDA%)는 6.11~3.22 mg/g의 범위로 감소하여 홍삼($16.32{\pm}0.29$ mg/g)에 비해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홍삼 및 발효홍삼의 ginsenosides의 함량 차이를 분석한 결과, ginsenoside$-Rb_1$, $-Rb_2$, -Rc 등의 사포닌 함량은 홍삼이 발효홍삼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발효홍삼에서는 항암활성이 우수한 대사산물인 20(S)$-Rg_3$, 20(R)$-Rg_3$, Compound K 함량이 홍삼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노인 건강증진 식품을 제조하고자 발효홍삼 농축액 첨가비율(0%, 5%, 10%, 15%, 20%)을 달리하여 발효홍삼 양갱을 제조하고 그 품질특성을 평가하였다. 발효홍삼 첨가 수준별 색도 측정 결과, L값과 b값은 발효홍삼 농축액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관능 평가결과, 홍삼농축액 10% 첨가 양갱의 맛, 색, 향, 질감 등이 다른 군들에 비해 우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발효홍삼의 기능성과 기호적인 면을 함께 고려해 볼 때 10% 첨가가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차후 본 자료를 기초로 하여 발효홍삼을 이용하여 제조한 제품에 대한 기능성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후속 연구를 기대한다.

당화 딸기죽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능 (The Quality Characteristic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Saccharified Strawberry Gruels)

  • 김진숙;김자영;장영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752-75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쌀과 쌀코지를 갖고 당화하여 생성된 쌀당화액(rice mash)을 이용하여 영양과 기능성이 보강될 수 있는 새로운 죽 조리법을 제안하고자 딸기 0~45% 첨가량별로 딸기죽을 제조하여 품질특성 및 항산화능을 조사하였다. 당화 딸기죽의 수분, 조회분, 조지방 및 조섬유는 딸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딸기 첨가량이 증가되는 당화딸기죽의 pH는 6.58~4.19 범위로 감소되고(p<0.05), 산도는 0.03~0.38 범위로 증가하였다(p<0.05). 딸기 0~45% 첨가량별 당화 딸기죽의 당도는 $10.80{\sim}11.40^{\circ}Brix$이었고 점도는 2636.7~1923.3 cP로서 첨가량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딸기 0~30% 첨가구는 45% 첨가구와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5). 딸기 첨가량별 딸기죽의 L값은 75.69~42.40, b값은 9.09~5.77 범위로 유의적 감소를 보인 반면, a값은 0.17~14.02로 유의적 증가를 보였다(p<0.05). 딸기 15~45% 첨가 당화 딸기죽의 유리당 구성은 glucose, fructose, maltose, sucrose로 딸기 첨가량에 따라 총 함량은 증가하였고(p<0.05), 다만 딸기 0% 첨가구에서는 fructose, sucrose는 검출되지 않았다. 딸기 0~35% 첨가구는 딸기 0% 첨가구보다 색, 향, 입안에서 느낌 등 모든 관능적 특성이 좋았고, 특히 딸기 30% 첨가구는 딸기 45% 첨가구보다 색, 전반적인 기호도 특성에서 유의적으로 좋았다(p<0.05). 당화 딸기죽의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함량, DPPH 전자공여능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딸기 첨가량에 따라 증가되는 경향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딸기가 자체 함유한 항산화성 성분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딸기를 첨가한 당화 딸기죽은 맛과 영양, 기능성이 향상되므로 새로운 죽제품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반극성 (11-22)n형 GaN의 실리콘 도핑농도 증가에 따른 결함감소와 이에 따른 반극성(11-22) GaN계 LED소자의 특성향상에 대한 연구

  • 이재환;한상현;송기룡;이성남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4년도 제46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308.2-308.2
    • /
    • 2014
  • 최근 III-N계 물질 기반의 광 반도체 중 m-면 사파이어 기판을 사용하여 반극성 (11-22) GaN박막을 성장하는 광반도체의 발광효율을 높이려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반극성 (11-22) GaN와 m-면 사파이어 기판과의 큰 격자상수 차이와 결정학적 이방성의 차이에 의해 많은 결정 결함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결정결함들은 반극성 LED소자내에서 누설전류 및 비발광 재결합, 순방향전압 등의 소자특성을 저하시키는 큰 요인이 되기 때문에 고효율 발광소자를 제작함에 있어 어려움을 야기시킨다. 이러한, 반극성 LED 소자의 효율 향상을 위해 결함 분석에 대한 연구를 주를 이루고 있는 상황으로, n-GaN층에 Si도핑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미 극성과 비극성에서는 n-GaN층에 Si이 도핑이 증가될수록 결정질이 향상되고, 양자우물의 계면의 질도 향상 되었다는 보고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반극성 (11-22) GaN 기반의 발광소자를 제작함에 있어 n-GaN 층의 도핑 농도 변화를 통한 반극성 GaN 박막의 결정성 및 전기적 특성 변화에 따른 LED소자의 전계 발광 특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금속유기화학증착법을 이용하여 m-면 사파이어 기판에 $2.0{\mu}m$두께의 반극성 (11-22) GaN 박막을 저온 GaN완충층이 존재하지 않는 고온 1단계 성장법을 기반으로 성장하였다.[3] 이후, $2.0{\mu}m$ 반극성 (11-22) GaN 박막 위에 $3.5{\mu}m$ 두께의 n-GaN 층을 성장시켰다. 이때, n-형 도펀트로 SiH4 가스를 4.9, 9.8, 19.6, 39.2 sccm으로 변화하여 성장하였다. 이 4가지 반극성 (11-22) n-GaN 템플릿을 이용하여 동일 구조의 InGaN/GaN 다중양자우물구조와 p-GaN을 성장하여 LED 구조를 제작하였다. X-선 ${\omega}$-rocking curve를 분석한 결과, 이러한 특성은 반극성 (11-22) n-GaN층의 Si 도핑농도 증가에 따라서 각 (0002), (11-20), (10-10) 면에서 결정 결함이 감소하고, 반극성 (11-22) n형 GaN템플릿을 이용하여 성장된 반극성 GaN계 LED소자는 20mA인가 시 도핑 농도 증가에 따라 9.2 V에서 5.8 V로 전압이 감소하였으며 역방향 전류에서도 누설전류가 감소함이 확인되었다. 또한, 전계 발광세기도 증가하였는데, 이는 반극성 n형 GaN박막의 실리콘 도핑농도 증가에 따라 하부 GaN층의 결정성이 향상과 더불어 광학적 특성이 향상되고, n형 GaN층의 전자 농도 및 이동도의 동시 증가에 따라 전기적 특성이 향상 됨에 따라 LED소자의 전계 발광 특성이 향상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헛개나무 열매 분말을 첨가한 국수의 품질특성 (A Study on the Noodle Quality Made from Hovenia dulcis Composite Flour)

  • 최숙;박금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1586-1592
    • /
    • 2005
  • 숙취해소, 알콜성 간질환예방, 간의 해독작용 기능을 지닌 헛개나무 열매를 첨가한 국수를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17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으며, leucine이 가장 높았다.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헛개나무 열매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았으며 지미성분인 aspartic acid와 glutamic acid는 대조군보다 헛개나무 열매 분말 첨가군의 함량이 더 높았다. 조리국수의 중량(p < .001)과 부피 (p < .01), 수분흡수율(p < .001)은 헛개나무 열매 분말을 첨가할수록 낮았고, 탁도는 높았다(p < .001). 색도는 명도 L값은 대조군이 7.62로 가장 높고, 적색도 a값과 황색도 b값은 5$\%$ 첨가군이 가장 높았다. 기계적 검사의 texture는 경도(p < 0.05), 응집 성 (p < 0.05), 껌성과 파쇄성 (p < 0.001)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탄력성은 1$\%$ 첨가군이 85.03으로 가장 높았다. 전자현미경의 미세구조 관찰은 헛개나무 열매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전분입자들의 조직이 느슨해지고 입자들이 커지면서 형태가 부드러워지는 양상을 보였다. 관능검사의 색상과 허브향은 헛개나무 열매 분말의 함량이 높을수록 진하다고 평가하였으며 표면의 매끄러운 정도는 3$\%$ 첨가군이 가장 매끄럽다고 평가하였다(p < 0.01). 단맛과 구수한 맛은 헛개나무 열매 분말을 첨가할수록 높아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 < 0.05, p < 0.001). 맛의 기호도는 헛개나무 열매 분말 3$\%$ 첨가군이 가장 높고, 대조군이 가장 낮았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헛개나무 열매 분말 3$\%$ 첨가군에서 가장 좋았다(P < 0.01).

녹차의 음용을 위한 최적 침출조건 예측 (Prediction of Optimal Leaching Conditions for Green Tea)

  • 장문조;하현정;윤성란;노정은;권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747-753
    • /
    • 2006
  • 차는 우려내는 온도와 시간에 따라 그 맛과 향이 다르게 되므로, 상용되고 있는 녹차 티백의 최적 침출조건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가용성 고형분, 총 페놀성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침출온도가 높고 침출시간이 길수록 그 함량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침출온도 $96.1^{\circ}C$ 및 침출시간 $5.7{\sim}6.8\;min$으로 침출될 때 그 함량이 높은 것으로 예측되었다. 전자공여능은 침출온도가 낮고 침출시간이 길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침출온도 $65.3^{\circ}C$ 및 침출시간 7.2 min일 때 최대값으로 보였다. 관능적 특성으로 전반적 기호도의 경우 침출온도 $70.2^{\circ}C$ 및 침출시간 3.1 min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녹차 티백의 유용성분 및 관능적 기호도를 고려한 최적 침출조건 범위는 $73{\sim}83^{\circ}C$에서 $5.3{\sim}6.3\;min$ 정도인 것으로 예측되었다.

덖음 시간에 따른 감국(Chrysanthemum indicum L.) 차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hrysanthemum indicum L. Flower Tea According to Different Pan-firing Times)

  • 유정식;황인국;우관식;장영득;이철희;정정학;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97-302
    • /
    • 2008
  • 덖음 처리가 감국차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감국 꽃을 $230^{\circ}C$에서 5, 7.5, 10, 12.5 및 15분간 덖음 처리 후 감국 꽃 침출액을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덖음 시간이 길어질수록 L 및 a 값은 감소하고 b 값은 증가하여 차의 색은 점차 황색을 나타내었으며, 총 질소함량은 3.15-3.33%의 범위를 보였고 구성 아미노산은 감칠맛의 주성분인 glutamic acid를 비롯하여 18종이 분석되었으며, 이들 중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Chlorophyll 함량은 덖음 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annin,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덖음 시간에 따라 대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15분 덖음 시 각각 0.63 mg gallic acid equiv./g, 13.85 mg tannic acid equiv./g 및 9.77 mg catechin equiv./g이었다.전자공여능은 15분 덖음 시 9.93%, 총 항산화력은 10분 덖음 시 19.33 mg ascorbic acid equiv./100 g으로 대조구보다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덖음 감국 꽃차의 관능검사 결과 색은 12.5분, 맛과 향 및 종합적 기호도는 10분 덖음 처리된 차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돌산갓 분말 첨가가 튀김반죽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olsan Leaf Mustard Powder on the Quality of Frying Batter)

  • 오선경;최명락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2호
    • /
    • pp.1364-1370
    • /
    • 2019
  • 돌산갓 분말을 첨가한 튀김반죽의 항산화 활성, sinigrin함량 및 관능검사를 측정하였다. 돌산갓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과 돌산갓 분말을 0.03 g (S-1), 0.02 g (S-2), 0.06 g (S-3)과 돌산갓 분말0.3g에 고추 가루의 첨가량을 달리하여(S-4, 5, 6, 7) 튀김반죽을 만들었다. 튀김반죽의 산가와 과산화물가는 S-4와 S-5에서 낮은 값을 나타냈다. 총 폴리페놀함량은 대조군에서 190.97 mg GAE/g, S-4에서 721.17 mg GAE/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S-6에서 67.82 mg QE/g으로 대조군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전자공여능, ABTS 라디컬 소거능과 FRAP로 측정한 항산화 활성은 돌산갓 분말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항산화 활성도 증가함을 나타냈다. 또한 sinigrin 함량은 대조군을 제외하고 S-1, 2, 3보다 S-4, 5, 6, 7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S-4, 5, 6, 7은 서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관능검사는 색, 향, 맛, 촉감과 전반적인 기호도는 S-4와 S-5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나머지 시료들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이로 보아 튀김반죽에 돌산갓 분말의 첨가는 튀김반죽의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제품의 저장성과 품질향상에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Si 함유 다이아몬드상 카본 필름의 환경 변화에 따른 마찰거동 연구

  • 박세준;이광렬;공호성;양승호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00년도 제18회 학술발표회 논문개요집
    • /
    • pp.126-126
    • /
    • 2000
  • 다이아몬드상 카본(DLC) 필름은 경도가 높고, 마찰계수가 낮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내마모성 코팅이나 윤활성코팅에 응용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하지만 마찰계수가 주변환경에 매우 큰 영향을 받는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은 DLC필름의 응용에 대한 저해 요인이 되며, 이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DLC 필름에 Si을 첨가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r.f-PACVD 법을 이용하여 Si이 첨가된 DLC 필름의 주위 환경 변화에 따른 마찰특성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사용한 반응 가스는 벤젠(C6H)과 희석된 Silane(SiH4 : H2 = 10 : 90)이며, 희석된 Silane과 벤젠의 첨가비율을 조절하여 필름내 Si의 함량을 조절하였고, 증착시 바이아스의 전압은 -400V로 하였다. 마찰테스트는 Ball-on-Disk type의 조건에서 대기, 건조공기, 진공의 세가지 분위기에서 마찰테스트를 실행하였다. 실험결과 마찰계수는 건조공기, 대기, 진공의 순으로 증가하였고, 필름내에 포함되어 있는 Si의 양이 증가할수록 마찰계수는 낮고 안정한 값을 나타내었다. Tribochemiacal 분석과, ball과 track의 전자현미경 사진 분석 결과, 진공에 비해서 건조공기와 대기중에서 마찰계수가 낮은 것은 DLC 필름내에 마모 track 중심부에 Si-C-O 계의 화합물이 형성되어, 이 화합물이 마찰계면에 존재하여 마찰계수를 낮추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대기중에서 실험한 경우, 습기의 존재로 인해 마모입자가 볼의 표면에서 엉김으로써 건조공기의 상태에서 보다 높은 마찰저항을 갖게 됨으로 인하여 마찰계수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a)는 as-deposit 상태이며, 그림 1(b)는 45$0^{\circ}C$, 60min 열처리한 plan-view TEM 사진이다.dical의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oxygen radical의 rf power에 따른 변화는 OES(Optical emission spectroscopy)를 사용하였다. 너무 적은 oxygen ion beam flux나 oxygen radical은 film의 전도도 및 투과도를 저하시켰고 반면 너무 과도한 flux의 증가 시는 전도도는 감소하였고 투과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판에 도달하는 oxygen ion flux는 faraday cup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증착된 ITO film은 XPS, UV-spectrometer, 4-point prob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때문으로 생각되어진다. 또한, 성장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AlGaN의 성장을 저해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성장 온도 변화에 따라 성장된 V의 구조적 특성 및 표면 거칠기 변화를 관찰하여 AlGaN의 성장 거동을 논의하겠다.034, 0.005 정도로 다시 감소하였다. 박막의 유전율은 약 35 정도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X-선 회절 data로부터 분석한 박막의 변형은 증온도에 따라 7.2%에서 0.04%로 감소하였고 이 이경향은 유전손실은 감소경향과 일치하였다.는 현저하게 향상되었다. 그 원인은 SB power의 인가에 의해 활성화된 precursor 분자들이 큰 에너지를 가지고 기판에 유입되어 치밀한 박막이 형성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을수 있었다.보았다.다.다양한 기능을 가진 신소재 제조에 있다. 또한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고부가 가치의 제품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