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자정부위탁사업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16 seconds

Stakeholder's Valuation of Public PMO System Using Laddering (래더링 기법을 이용한 전자정부사업관리 위탁(공공 PMO)제도의 이해관계자 별 가치체계)

  • Back, Hyung-Chung;Park, Chan-Hyuk;Jang, Seong-Yong;Kim, Ja-Hee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24 no.4
    • /
    • pp.127-136
    • /
    • 2015
  • The e-government project management consignment system to allow the public PMO has been introduced to resolve the quality management issue and the business risk, pointed out by the reorganized Software Industry Promotion Act. The additional regulation improvements are demanded because the public PMO system cannot settle down due to the different opinions among related parties: owner, operator and PMO. Therefore, to make balanced regulation improvements, the in-depth studies are necessary to analyze the fundamental causes of the disagreement between the related parties. This study analyses the each related party's cognitive structure to perform public PMO successfully and the fundamental reasons that cause the different opinions by applying the cognitive psychological Means-end chain theory, the laddering technique and the HVM, Hierarchical Value Map. In addition, this study analyses the regulations required for the related parties to obtain the expected benefits.

The Effect of Public PMO Service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공공 PMO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HYUNG-CHUNG, BACK;JA-HEE, KIM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2
    • /
    • pp.467-474
    • /
    • 2023
  • After the revision of the Software Promotion Ac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with little experience in e-government projects began to participate in public projects. Accordingly, the government introduced the public Project Management Office (PMO) in July 2013 to reduce the risks and secure the quality of informatization business, and the public PMO is still spreading. However, the public PMO service currently experiences sluggish business, such as low-priced orders, due to cut-throat competition, and thus needs improvement plans. In this research, we establish a research model for quality factors of public PMO services that can be considered for the improvement plans, measure and evaluate quality factors based on the model, and then analyze the impact of service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For that, we measure quality factors using the SERVPERF model for those who have used public PMO services, establish a structural equation research model, and empirically analyze and evaluate the impact of quality factors. Lastly, we suggest improvement plans and implications for public PMO services.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Adapt PMO in Public Sectors (공공부문 PMO도입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Suh, Bai-Sun;Hwang, Gee-Hyun;Kim, Sung-K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5
    • /
    • pp.159-169
    • /
    • 2014
  • The purpose of PMO (Project Management Office) systems implementation in public sectors is to prevent the potential risks of IT projects with the project management for the electronic government,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ject. As a leading country in software areas, PMO systems will play an important role to lead the best smart electronic government in the global world. This study suggested an operating model of PMO systems in public sectors in advance to use the PMO systems in public sectors by conducting a research investigating the key organizational role as the major factor which affects the behavioral intention of PMO systems implementation. We tested a hypothesis that Effort Expectancy factors and Facilitating Condition among the interested party groups will influence the Behavioral Intention of PMO systems implementation, and the result have given no difference to the Control Effect among the interested party groups. This study have shown that the interested party groups have common recognition about the Behavioral Intention of PMO systems implementation in the public sectors.

A Present Condition of R&D Supporting Industries: A Search for their Promotion (국내 연구개발 지원산업의 현황분석과 육성방안에 관한 연구)

  • 이장재;박종오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2 no.2
    • /
    • pp.219-232
    • /
    • 1999
  • 연구개발 지원산업은 연구개발 활동을 직·간접적으로 지원하는 산업을 의미한다. 이러한 산업에 대한 개념화는 연구개발 활동의 전문화(professionalization), 분업화(division of labor)가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하는 동시에 연구개발체제의 유연성 제고 및 고도화, 효율화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우리의 경우 (과학기술혁신을 위한 특별법) 제 15조 등을 통하여 연구개발 지원사업에 대한 특별지원제도의 시행을 명시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연구개발 지원사업자를 지정·육성하기 위한 기본현황 파악이나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본고는 이러한 수요를 반영하여 국내에서의 연구개발 지원산업에 대한 수요를 중심으로 실태를 파악 ·분석하는 동시에 산업지원 육성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국내 연구개발 지원산업의 규모를 추정해 보면 97년 현재 약 3,000억원에서 4,000억원의 규모로 나타나며, 이중 기술정보서비스업이 약 27.0%, 연구장비 및 시험 ·평가 ·검색 ·분석업이 약 38.4%, 연구개발 설계·자문업 등 기타사업이 34.6% 로 나타나고 있다. 연구개발지원 기능은 시험·검사 기능과 기술정보제공 기능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전자의 경우는 내부처리의 비중이 높고 후자의 경우 외부의 전문기관을 이용하는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기업이 연구개발활동 수행시에 필요한 지원기능을 외부에 위탁할 경우에 느끼는 애로사항은 첫째, 외부 전문위탁기관의 부족 및 정보 미흡이 가장 크고, 둘째, 전문기관의 해외정보력·경쟁력 부족이 다음이며, 공공기관의 지원기능이 미흡하다는 애로사항에 대한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다. 연구개발 지원산업을 특별지원·육성하기 위한 기본관점은 특별법의 시행령을 구체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시행계획의 수립과 연구개발 지원산업의 육성 시책의 추진 절차의 결정, 사업자 선정, 지원 사항 등으로 제시될 수 있다. 먼저, 기업 연구개발활동의 고도화·효율화를 위해 연구개발 및 기술개량에 필요한 업무 중 기술정보서비스와 연구시험·평가·검사·분석 그리고 중소기업 기술집약화를 지원하는 사업 등을 연구개발 지원산업으로 범위를 정할 필요성이 있다. 다음으로 연구개발 지원사업자를 별도로 선정·인정하는 방식으로 지원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기존의 산업 지원방식으로는 연구개발 지원기능이 주된 활동으로 인정받을 수 없으므로 국내 연구개발 지원기능의 발전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취약한 여건을 감안하여 연구개발 지원산업을 육성하지 않게 되면, 각 분야별로 민간사업자의 참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거나, 참여해도 연구개발 지원 기능의 발전보다는 기존의 사업이 주가 될 가능성이 크다. 연구개발 지원 사업자의 지정 지원방식과는 별도로 이루어질 수 있는 지원활동에 대한 지원은 기업회계처리상의 문제와 일관성이 있는 시책추진 및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전에 동산업의 참여 자격·능력을 갖춘 사업자에 대해서는 제한없이 참여할 수 있도록 Positive System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연구개발 지원사업자에 대한 지원내용을 조세·금융 등 직접적 지원과 타 제도와의 연계지원 그리고 정부구매 등 시장지원 등이 아울러 다양하게 추진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