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일제 직장여성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15 seconds

The Effect of Negative Experience Related to Work-Family Multiple Roles on Internalizing Problems of Employed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otropy (일-가정 다중역할 부정적 경험이 미취학 자녀를 가진 전일제 직장여성의 내재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사회지향성의 매개효과)

  • Jin Hee Sul ;Soo Hyun Park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25 no.1
    • /
    • pp.55-77
    • /
    • 2019
  • Negative experience related to work-family multiple roles has been associated with internalizing problems in mothers. In particular, employed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report high degree of stress. As such, the need to examine potential factors that may explain and alleviate such difficulties has been emphas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u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otrop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work-family multiple roles and internalizing problems in employed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The Negative Experience of Work-Family Multiple Roles Scale, Adult Self Report (ASR) Scale, and Personal Style Inventory-II (PSI-II), were completed by 208 employed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through an online surve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direct effect of negative experience of work-family multiple roles on internalizing problem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indirect effect of sociotropy in this relationship was significa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ociotropy in employed mothers may indirectly explain internalizing problems related to multiple roles. The implications of sociotropy in negative experience of work-family multiple roles and internalizing problems are discussed.

Living as expatriate wives/mothers: Balancing work and family issues among Korean working women in Singapore (체류자 아내/어머니로 살아가기: 싱가포르 거주 한국인 기혼 직장 여성의 일과 가족 양립 문제에 대한 탐색적 연구)

  • Kim, Jeehun
    • The Southeast Asian review
    • /
    • v.21 no.1
    • /
    • pp.217-248
    • /
    • 2011
  • 이 글은 싱가포르에 거주하는 한국인 기혼 여성을 대상으로 영구 이민이 아닌 체류이주 맥락에서 일과 가족 양립 문제의 어려움과 그 대응전략을 살펴보는 탐색적 질적 연구이다. 지난 십여 년간 꾸준히 증가한 해외 거주 한국인 중장기 체류자(sojourner)의 수는 2007년 기준으로 1백5십만 명을 넘어섰다. 그 중 상당수는 한국계 기업 파견 직원('주재원')이나 비한국계 다국적기업 혹은 현지기업 종사 이주자로 파악된다. 고학력 전문 기술직 이주자(highly educated professional/high skilled migrant)에 대한 연구가 매우 드문 한국의 맥락에서, 전문 기술직 체류자 중심으로 이주 한국인 사회가 구성된 싱가포르는 전문 기술직 이주자의 일과 가족 양립 문제뿐만 아니라, 체류자 사회(expatriate community) 전반적인 연구의 중요한 대상지로서의 장점이 크다.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체류자로서 외국에서 일하며 살아가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특히, 이러한 맥락에서 기혼 여성의 일은 어떠한 의미를 지니며 어떠한 대응전략을 마련하는가? 이 연구는 2006년부터 2007년 사이 수행한 전일제 전문직종 종사자, 파트타임 종사자, 전업주부 등 자녀를 둔 26명의 기혼 여성에 대한 심층면접 자료에 근거하여, 아내이자 어머니로서의 일과 가족 양립에 관한 체험적 경험(lived experience)을 탐색적으로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일제 전문직 종사자의 경우 가정친화적 근무 환경을 갖춘 직장으로의 이직, 남편과의 야간근무 조정 등을 포함한 다양한 전략들을 채택하였다. 파트타임 종사자의 경우 과거 한국에서 전일제 근무를 경험하고 현재 상대적으로 경제적 여유가 있는 경우는 전일제 근무로부터 벗어나는 '일시적 행복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다. 비교적 경제적 여유가 없는 경우, 어머니 역할 부족을 발견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이러한 어머니로서의 역할은 친지를 비롯한 한국어 구사를 할 수 있는 가사 보조 네트워크가 결핍된 체류이주 맥락에서 일하며 살아가는 것에서 있어, 비교적 쉽고 저렴하게 가사노동자를 고용하더라도, 어머니로서의 역할을 보조하는 데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생각을 확인시켜준다.

An Exploratory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Future Work-Family Compatibility, Gender Attitude of Couples, and Reasons for Low Birth Rate (미혼 남녀의 향후 일.가정 양립 방안, 부부 성역할 태도, 저출산 문제에 대한 견해 간 관계 탐색 연구)

  • Um, Myung-Yong;Kim, Hyo-Soon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4 no.3
    • /
    • pp.179-209
    • /
    • 2011
  •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s among such variables as work-family compatibility, gender attitude, reasons for low birth rate, and education level, using a sample of 2,678 from the '2009 National Survey for Marriage and Birth Tre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deas about how to support married couples' work-family balance, and how to change gender attitude to promote childbirth.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type of ideal work-family balance was different by education level, but not by gender. Low level of education was associated with choice of the full time work without a child. Male singles, compared to female singles, preferred the role of a man as a bread winner, and a woman as a house worker. Female singles had the higher level of hope for husband's capability of caring children. This trend was intensified by choice of the full time work with 2 children. Singles who prefer working as a full time worker with 2 children worried more about low birth rate in Korea than singles who prefer working as a part time worker with one or two children. The most frequently cited reason for low birth rate was 'high cost of both child care and education'. The next was 'difficulty in buying a residence, followed by 'increase in the number of career woman'. Female singles who want to work full time with 2 or more children worried more about the burden of child caring and education than male single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provided based on the results.

The Relationship Between Wage Gap and gender Role Specialization the U. S. (미국에 있어서 임금격차와 성역할 전문화의 관계)

  • 나명건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2 no.2
    • /
    • pp.50-59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가사노동분배에 영향을 준다고 믿어지는 결혼여부가 남녀임금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계속해서 직장에 근무하고 있는 기혼남녀와 미혼여성들의 임금수준과 인적자본의 수익들을 비교분석하였다 미국의 NLSY 데이터를 이용하여 Probit 분석과 최소자승법에 의한 회귀분석으로 자교를 분석하였으며 임금격차를 분리하는 과정은 Oaxaca(1973) 등이 사용한 절차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였다 Probit 분석결가 기혼남성의 경 우 많은변수들이 지속적인 전일제 근무자가 될 가능성을 높이거나 낮추는 반면에 단지 소수의 변수들만이 기,미혼여성들에게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회귀분석결과 결혼여부보다는 성별관계가 임금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혼남녀간 임금차액의 38~39%를 기혼남성과 미혼여성간 임금차액의 61~65%가 인적자본의 특성에 의해 설명되었다 본연구결과는 가정내 의 노동분배가 임금격차의 중요한 요소라는 Becker의 가설을 증명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여성의 미래 경제적지위를 염려해야 할 상당한 근거를 제시하며 인적자본의 양을 통제하였 을 때에도 임금격차가 만연하였기 때문에 인적자본의 질적인 면이 포함된 연구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