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응집

Search Result 22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전처리공정이 천연유기물질의 움집에 미치는 영향

  • 이주영;이석모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1997.10a
    • /
    • pp.67-67
    • /
    • 1997
  • 정수공정은 "원수 -1 침사지 1 전염소 -1 전오존 -1 침전지 1 여과지 1 후오존 1 GAC 4 후염소 1 가정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처리 공정으로 염 소와 오존을 주입하게 되는데, 여기서 전염소 처리 공정으로 인해 잔류 유리염 소가 수중의 유기물질과 반웅하여 유해성 유기염소 화합물 (i.e.. Trihalomethane, Haloacetonitriles, Chlorophenol 등)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고도 정수처리 공정에서는 강한 산화력을 지닌 대체 산화 제로서 오존을 이용하고 있다. 전오존 처리공정은 OOC와 탁도 제거에 있어 응 집제 주입량을 감소시키는 것과 더불어 전오존 효과 (산화, 생분해 증대, 살균 등)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낙동강과 같이 유기물이 많은 원수에 과다한 오존이 주입되면 수중 의 유기물이 저분자화 또는 응집이 어려운 오존 산화물로 변화하여 응집제의 소비가 많아지게 된다. 실제, 오존을 응집 효과에 대해서 pilot plant로 운전한 결과 전오존에 의해 입자성 물질의 제거 효율은 향상된 반면에 유기물 제거는 뚜렷한 효과를 볼 수 없었다고 보고되었다 (류, 1997). 본 연구에서는 물금 지역의 원수와 응집-침전 공정까지 거치는 각각의 처 리수에 대해서 전처리가 응집에 미치는 영향을 천연유기물질 (NOM)의 조성 변화로 파악하였다. 그 방법으로 천연유기물질 (NOM)을 XAD-1, -4 수지를 이 용하여 소수성 물질 (hydrophobic components)과 친수성 물질 (hydrophilic components)로 분리 및 농축하여 용존 유기물이 처리 과정에서 어떻게 변화하 는지를 조사하여 개선된 상수 처리 시스템을 설계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수질 관리 분야에서도 적용하고자 하였다. 상수원수인 물금 지역의 소수성 물질(hydrophobic components)은 75~80%, 친수성 물질(hydrophilic components)은 30~33%정도의 분포를 보였고, 전염소 및 전오존 공정을 거친 처리수에서는 각각 62.2-62.8%, 43.9~49.0% 및 50~ 55%, 40~57% 정도의 분포를 보였다. 그리고 웅집-침전을 거친 처리수에서는 그 분포가 77~82%, 24-48%였다. 전주리 공정을 통하여 소수성 물질(byoghobic components)의 분포가 감 소하는 것을 볼 때 전염소 및 전오존 처리가 용존유기물의 응집에는 오히려 역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tability of Pre-treated Fillers for High Loaded Printing Paper (고충전 인쇄용지 제조를 위한 중질 탄산칼슘 전처리 기술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

  • Seo, Yung Bum;Choi, Jin Sung;Ji, Sung Gil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5 no.1
    • /
    • pp.1-6
    • /
    • 2017
  • More addition of calcium carbonate in printing paper allows savings of the wood fibers and the drying energy. Pre-flocculation of GCC (ground calcium carbonate) using functional polymers was known as the best available technology to make high loaded paper until now, and it allowed less reduction of the paper essential properties such as tensile strength and smoothness at higher GCC content. However, pre-flocculated GCC became unstable in size under the continued agitation in the mill. Therefore, pre-flocculation method was modified in such a way that the in-situ calcium carbonate was formed between the GCC particles of the pre-flocculated GCC, and the resultant became more stable in size, which we named as HCC (hybrid calcium carbonate). HCC turned out to make high tensile strength and smoothness as much as the pre-flocculated GCC and gave much better size stability against stirring. Furthermore, HCC gave high bulk that pre-flocculation could not make.

Flocculation behavior of PCC filler induced by cationic polymer (양이온성 고분자 첨가에 의한 경질탄산칼슘의 응집 현상)

  • Seo, Dong-Il;Lee, Hak-Rae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Conference
    • /
    • 2010.04a
    • /
    • pp.193-193
    • /
    • 2010
  • 이전의 연구에서 우리는 선응집 기술을 적용한 중질탄산칼슘의 크기에 따른 수초지의 물성을 평가하였다. 이때 선응집 기술이 적용된 충전물의 입도와 분포를 측정하기 위해 light diffraction spectroscopy (LDS) 가 사용되었다. 경질탄산칼슘과 양이온성 고분자의 흡착 현상을 알아보기 위한 이번 연구에도 LDS가 사용되었으며, 일회성으로 입자의 크기와 분포를 측정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응집체의 형성과 파괴, 재성장을 관찰할 수 있는 도구로서 역할 하였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세 가지 경우로 나누어 경질탄산칼슘의 응집 현상을 관찰하였다. 첫째로 경질탄산칼슘에 흡착되는 양이온성 고분자의 특성, 분자량과 전하밀도, 을 달리하여 응집체의 성장과 파괴를 관찰하였다. 둘째, 양이온성 고분자로 중질탄산칼슘을 응집시켜, 경질탄산칼슘 응집체의 경우와 입도와 전단 안정성 등을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나노 크기의 실리카 투입이, 마이크로 크기의 경질탄산칼슘 응집체가 강한 전단에 의해 파괴되었을 때, 응집체의 전단 안정성이나 재성장 측면에 도움을 주는지 관찰하였다. 내첨용 충전물로써 경질탄산칼슘의 사용이 전 세계적으로 늘고 있는 시점에서 양이온성 고분자 첨가에 의한 경질탄산칼슘의 응집 현상을 관찰하는 것은 일반적인 제지 공정에서 경질탄산칼슘의 거동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내첨용 충전물 첨가에 따른 종이의 강도 저하 방지를 위한 선응집 기술의 적용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f Phophorus Removal Condition by PAC Coagulation of Membrane Effluent (MBR공정 유출수의 화학응집에 의한 인 제거 조건 비교 연구)

  • Park, In-Gun;Lee, Kang-Yu;Eom, Tae-Young;Yang, Jin-Ho;Choi, Min-A;Lim, Kyeong-H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a
    • /
    • pp.161-164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MBR 공정 유출수의 화학응집에 따른 특성을 알아보고자 A2O공정 하수처리수를 대상으로 막의 공극 크기와 약품 교반시간 및 응집 침전시간에 따른 인 제거 효율을 조사하였다. 막 여과 전후의 시료에 대한 응집실험결과 막 여과 전후의 응집제 투입에 따른 인 제거효율은 막 여과 전 90%와 비교했을 때 각각 74.5, 71.2, 62.6%로 최고 37.4%까지 큰 차이를 보였으며 이것은 막 여과로 인하여 시료 내 존재하는 콜로이드성 물질들의 입자 크기가 작아져 응집반응을 위한 응집핵 형성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며 막의 공극 크기가 작을수록 인 제거 효율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완속교반과 침전시간을 길게 할수록 인 제거 효율이 증가하였다. 침전시간이 10분일 경우는 인 제거 효율이 막 여과 후의 시료에 대해서 각각 45.3, 35.1, 52.0%로 인 제거가 상당히 불안정하였고 60분일 경우에는 각각 83.4, 85.1, 80.7%로 탁월한 인 제거가 일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Simulation Study on the Effects of Heating Rate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 for the Formation of the Agglomerate During CWM Combustion (CWM 연료의 연소시 입자 가열속도와 입자 크기가 CWM 응집물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전산모사 연구)

  • Kim, Soo-Ho;Kim, Young-Hwan;Hwang, Kap-Sung;Hong, Song-Sun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9 no.3
    • /
    • pp.364-371
    • /
    • 1998
  • A theoretical model of particle agglomeration was developed to investigate the adhesive force between contiguous coal particles in CWM agglomerate. While heating bituminous coal to about $400^{\circ}C$ or above, the transient occurrence of plastic behavior of coal particles can be observed. The adhesive force in the process of agglomeration of coal particles was found to be proportional to the duration of plasticity of the particles. In the research, how the heating rate and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CWM fuel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agglomerate in CWM fuel at the heat-up stage was investigated by the model of particle agglomeration. Simulation program used to this experiment was RKG method and was programmed by Fortran. It was represented that by the model of particle agglomeration, the adhesive force in the process of the particle agglomeration in CWM fuel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heating rate but proportional to particle size.

  • PDF

Removal of Linear Alkylbenzenesulfonate by Fenton's Oxidants and Coagulation

  • Hwan Lee;Yoon Jin Lee;Hea Tae Kim;Sang Ho Nam
    •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Sanitary engineering
    • /
    • v.16 no.2
    • /
    • pp.71-78
    • /
    • 2001
  • 본 연구는 폐수 중 함유된 고농도의 LAS를 제거하기 위해 $FeSO_4$를 이용한 응집, 펜톤산화, 펜톤 공정 전.후에 응집공정을 조합시킨 Coagu-oxidation 및 Renton's Coagulation을 이용하여, 처리 시 최적 조건을 도출하고, 효율적인 화학적 처리방법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로부터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응집공정은 pH 8, 응집제의 주입량 200mg/L인 조건에서, 펜톤산화는 pH 3, $H_2$$O_2$에 대한 ${Fe^2}^{+}$의 비가 1:1인 조건에서 최적효율을 보였다. Fenton's Coagulation 처리 시 LAS의 개환율은 높아졌고, 주입된 LAS농도의 73~96%가 제거되어 4가지 처리 방법 중 가 장 좋은 처리효율을 보였다. 따라서, LAS의 생물학적 처리 시 거품 및 부산물 생성 등에 의해 저해작용을 감안한다면, LAS가 다량으로 함유한 산업 폐수에서 화학적 처리방법의 도 입이 적절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들 중 Fenton's Coagulation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Removal of Algogenic Organic Matter in Drinking Water Treatment Process (정수처리공정에서 조류유래 유기물질의 제거)

  • Park, Se-Jin;Cha, Il-Kwon;Yoon, Tai-I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7 no.4
    • /
    • pp.377-384
    • /
    • 2005
  • Algae causes not only the eutrophication of lake, but also the deterioration of drinking water process. Especially, algogenic organic matters(AOM) are assumed as disinfection by-products(DBPs) precursors like humic and fulvic acids. In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changes of algogenic organic matter(AOM) by prechlorination and coagulation treatment. Evaluation of enhanced coagulation and applicability of UV oxidation process were also evaluated as the drinking water treatment system for the eutrophicated water source. prechlorination was effective process for algae removal but caused releasing of dissolved organic matter(DOC) into water due to the destruction of algae's cell. In coagulation treatment with Fe(III) coagulant, reaction pH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removal of AOM and triholomathanes(THMs). At pH 5, removal efficiency of DOC and THMs were dramatically improved by 50% and 28%, respectively,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coagulation treatment at about pH 7. Photo-Fenton($UV/H_2O_2/Fe^{3+}$) process among the UV oxidations is the most effective system to remove AOM, but its removal efficiency was lower than that of enhanced coagulation treatment at pH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