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염

Search Result 1,004,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가금티푸스 발생현황과 대책

  • 강경수
    • KOREAN POULTRY JOURNAL
    • /
    • v.33 no.8 s.382
    • /
    • pp.94-97
    • /
    • 2001
  • 1992년 8월 국내 최초로 갈색 산란계에서 발생한 가금티푸스는 1994년 폭염으로 인해 전국적인 발생을 보여많은 양계농장에 고통을 안겨왔으며, 현재까지도 지속적인 발생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작금의 국내 양계산업은 갈수록 태산이라는 말이 적절할 정도로 새로운 질병이 발생되어 있으며, 또한 과거에 발생하였던 질병도 끊임없이 발생하고 반복되고 있다. 뉴켓슬병(ND), 전염성F낭병(IBD),가금티푸스(SG), 가금인플루엔자(AI),전염성기관지염(IB), ORT등이 현재 우리나라 양계장에 만연되어 있는 질병이다. 혹서기에 접어들면서 예외없이 많은 농장이 가금티푸스가 발병되고 있는 바 필자는 가금티푸스의 예방과 대책에 대하여 양축가의 이해를 돕고자 한다.

  • PDF

질병 전염성 후두기관염

  • 김순재
    • KOREAN POULTRY JOURNAL
    • /
    • v.14 s.150
    • /
    • pp.27-34
    • /
    • 1982
  • 최근 일부지역에서 발병된 바 있는 전염성 후두기관염은 호흡곤란을 주특징으로 하는 닭의 급성 호흡기병이다. 피가 섞인 가래가 기관안에 가득차 있기 때문에 골골거리며 호흡이 대단히 답답하고 곤란하여 목을 길게 위로 빼고 입을 벌리고 괴성음을 내며 호흡을 하기도 한다. 기관의 점막이 붓고 염증이 생기며 점막이 탈락되면서 출혈하기도 하고 각혈을 하면서 응고된 혈액이 기관을 메꾸어 호흡이 곤란하게 되어 질식하여 죽는다. 이러한 증상은 동물이기에 그대로 보아 넘기기 쉬우나 숨통이 피와 가래로 메꾸어져 호흡을 하지 못하고 질식사하는 장면은 차마 보기 어려운 비참한 죽음의 질병이다. 이병은 과거에 발생이 없어 다행으로 여겨 왔으나 이제 부터는 이 전염병에 대한 예방대책을 강구하지 않으면 안되겠다.

  • PDF

감보로병 면역체계의 파괴자

  • 대한양계협회
    • KOREAN POULTRY JOURNAL
    • /
    • v.27 no.9 s.311
    • /
    • pp.134-139
    • /
    • 1995
  • 수년간 감보로병은 감보로지방에서 처음 발견된 이래로 여러가지 이름으로 불리어졌다. 이 전염병은 양계산업을 주로 위협하며 특히, 악성 바이러스에 걸렸을 때는 더욱 피해가 심하여 양축가에게 경졔적 손실을 가져다 준다. 다행이도 백신의 사용이 가능하여 이 무서운 전염병으로 부터 피해를 예방할 수 있게 되었다. 감보로병은 1962년 미국 델라웨어주의 작은 도시 감보로에서 처음으로 알려졌으며 전염성F낭병 또는 감보로병으로 불리어진다.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는 생선(전염성췌장 궤사바이러스)연체동물 및 과일 파리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최근에 알려진 비르나버리데군에 속한다.

  • PDF

국내 사람브루셀라병 현황과 브루셀라균의 특성

  • 김종완
    • Feed Journal
    • /
    • v.3 no.6 s.22
    • /
    • pp.113-117
    • /
    • 2005
  • 1884년 David Bruce에 의해 지중해 Malta 지역에서 처음 브루셀라병이 밝혀진 이후 사람 브루셀라증은 (Human brucellosis) 인수공통전염병중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고 또한 경제적 피해가 심각한 인수공통전염병중 하나이다. 년간 50만명이상이 감염되는 것으로 WHO에서는 추정하고 있다. 사람 브루셀라증을 역학적으로 살펴보면 가축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축주, 수의사, 인공수정사, 축산물취급자, 실험실종사자) 사람들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지만, 예전부터 유목생활을 하며 멸균하지 않은 채 유제품을 많이 섭취하는 중동 지역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 생활문화 특히 식습관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