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문직 종사 외국인 이주자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14 seconds

Regional Impacts on the Adaptation of Foreign Professional Migrants to the Korean Society (외국인 국내 적응의 지역적 차이에 대한 연구: 전문직 종사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 Park, Bae-Gyoo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3 no.1
    • /
    • pp.89-110
    • /
    • 2010
  • Relying on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space",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ways in which the adaptation of foreign professional migrants to the Korean society has been geographically differentiated. Due to the limits of spatial perspectives, existing studies on the adaptation of foreign migrants to the Korean society tend to ignore the geographical variations in the ways in, and the degrees at, which foreign migrants have been adapted into the Korean society. There are, however, significant regional variations in the living conditions, physical and cultural environments, and economic opportunities that are given to the foreign migrants in Korea, so that the adaptation of foreign migrants to the Korean society is regionally differentiated. In order to prove this, this paper explores whether and how the ways in which foreign professional migrants have adapted to the Korean society have been regionally differentiated on the basis of questionnaire surveys and statistical analyses.

  • PDF

Living as expatriate wives/mothers: Balancing work and family issues among Korean working women in Singapore (체류자 아내/어머니로 살아가기: 싱가포르 거주 한국인 기혼 직장 여성의 일과 가족 양립 문제에 대한 탐색적 연구)

  • Kim, Jeehun
    • The Southeast Asian review
    • /
    • v.21 no.1
    • /
    • pp.217-248
    • /
    • 2011
  • 이 글은 싱가포르에 거주하는 한국인 기혼 여성을 대상으로 영구 이민이 아닌 체류이주 맥락에서 일과 가족 양립 문제의 어려움과 그 대응전략을 살펴보는 탐색적 질적 연구이다. 지난 십여 년간 꾸준히 증가한 해외 거주 한국인 중장기 체류자(sojourner)의 수는 2007년 기준으로 1백5십만 명을 넘어섰다. 그 중 상당수는 한국계 기업 파견 직원('주재원')이나 비한국계 다국적기업 혹은 현지기업 종사 이주자로 파악된다. 고학력 전문 기술직 이주자(highly educated professional/high skilled migrant)에 대한 연구가 매우 드문 한국의 맥락에서, 전문 기술직 체류자 중심으로 이주 한국인 사회가 구성된 싱가포르는 전문 기술직 이주자의 일과 가족 양립 문제뿐만 아니라, 체류자 사회(expatriate community) 전반적인 연구의 중요한 대상지로서의 장점이 크다.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체류자로서 외국에서 일하며 살아가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특히, 이러한 맥락에서 기혼 여성의 일은 어떠한 의미를 지니며 어떠한 대응전략을 마련하는가? 이 연구는 2006년부터 2007년 사이 수행한 전일제 전문직종 종사자, 파트타임 종사자, 전업주부 등 자녀를 둔 26명의 기혼 여성에 대한 심층면접 자료에 근거하여, 아내이자 어머니로서의 일과 가족 양립에 관한 체험적 경험(lived experience)을 탐색적으로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일제 전문직 종사자의 경우 가정친화적 근무 환경을 갖춘 직장으로의 이직, 남편과의 야간근무 조정 등을 포함한 다양한 전략들을 채택하였다. 파트타임 종사자의 경우 과거 한국에서 전일제 근무를 경험하고 현재 상대적으로 경제적 여유가 있는 경우는 전일제 근무로부터 벗어나는 '일시적 행복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다. 비교적 경제적 여유가 없는 경우, 어머니 역할 부족을 발견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이러한 어머니로서의 역할은 친지를 비롯한 한국어 구사를 할 수 있는 가사 보조 네트워크가 결핍된 체류이주 맥락에서 일하며 살아가는 것에서 있어, 비교적 쉽고 저렴하게 가사노동자를 고용하더라도, 어머니로서의 역할을 보조하는 데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생각을 확인시켜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