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문직자아개념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4초

임상초음파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nographers' Professional Self-Concept on Job Satisfaction)

  • 양성희;최정미;이진수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0권3호
    • /
    • pp.485-491
    • /
    • 2017
  • 본 연구는 전문직 자아개념 및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임상초음파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수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일개지역 임상초음파사 14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회수된 자료의 분석은 SPSS를 사용하였으며,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무만족도의 차이검정은 독립표본 t 검정(independent t-test)과 일원배치분산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고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검증된 경우 Sheffe를 이용하여 사후검증 하였다. 그 결과 전문직 자아개념 및 직무만족도는 기혼일수록, 실무경력에 따른 급여가 적절한 경우와 전문자격증을 취득한 경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직무만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문직 자아개념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임상초음파사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업무능력 개발을 위한 전문자격 제도의 정착과 실무 경력에 따른 적절한 보상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다문화인식, 문화적 역량 및 전문직 자아개념의 경로분석 (The Path Analysis of Multicultural perception, Cultural competence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ing students)

  • 임정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393-402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다문화인식, 문화적 역량과 전문직 자아개념 간의 인관관계와 경로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대상은 일 대학 간호학과 학생 245명이었다. 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고, PASW 18.0, AMO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적합하였다($x^2/df=1.170$, GFI=.992, AGFI=.970, RMSEA=.027, CFI=.995, NFI=.967). 전문직 자아개념에 문화적 역량은 직접효과, 다문화 인식과 전공만족도, 대인관계는 간접효과를 나타내었고, 문화적 역량에 다문화 인식과 전공만족도는 직접효과, 대인관계는 간접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다문화인식에 전공만족도와 대인관계는 직접효과가 있었다. 즉,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대인관계를 향상시키면 다문화인식이 높아지고, 문화적 역량이 높아지며, 전문직 자아개념도 향상되므로, 전문직 자아개념 향상을 위해서는 다문화인식, 문화적 역량을 높이는 교육프로그램이 선행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전문직 자아개념이 병원간호사의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Professional Self-Concept on th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Hospital Nurses)

  • 오수희;송영신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7호
    • /
    • pp.93-102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돌봄지각과 전문직 자아개념이 간호사의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언구대상자는 C지역과 D지역 대학병원과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93명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7월부터 8월까지이고, IBM SPSS 2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력과 전문직 자아개념이 조직사회화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대 졸업자가 대학교 이상 졸업한 자보다 조직사회화가 높았고,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을수록 조직사회화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각 학력 수준의 간호사가 조직 내에서 빠르게 사회화될 수 있도록 병원 차원에서의 효율적인 인력관리와 학력 수준에 따른 차별화된 지원과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하다. 또한, 간호사들의 전문직 자아개념을 향상시키고 업무 정체성 확립을 확립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간호사의 대인관계문제, 감정노동이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Interpersonal Problems, Emotional Labor on Professional Self-Concept among Clinical Nurses)

  • 염은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356-36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대인관계문제, 감정노동, 전문직 자아개념의 정도와 관계를 확인하고 이들 변수가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충청도 소재 1개 병원에 재직 중인 간호사 150명을 대상으로, 2016년 8월 2일부터 8월 30일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조사로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대인관계문제 평균점수는 2.57점으로 사람들에게 향함의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감정노동은 3.50점으로 감정노동 빈도가 가장 높았다. 전문직 자아개념의 평균점수는 2.54점으로 의사소통의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인관계문제는 감정노동(r=.392,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전문직 자아개념은 대인관계문제(r=-.452, p<.001)와 감정노동(r=-.376,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대인관계문제(${\beta}=-0.377$, p<.001)가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내는 변수였으며, 연령(40세 이상)(${\beta}=0.435$ p<.001), 연령(30세 이상 40세 미만)(${\beta}=0.278$ p<.001), 학력(${\beta}=0.157$ p=.012), 감정노동(${\beta}=-0.153$ p=.025) 순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전체 변수는 전문직 자아개념에 대해 약 44%의 설명력을 나타냈다(F=24.38, p<.001). 그러므로 대인관계문제 및 감정노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략이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향상을 위해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작업치료사의 소진과 전문직 자아개념 및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Occupational Therapists' Burn-out,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 황상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728-1738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사의 소진과 전문직 자아개념 및 자기효능감 정도를 파악하고,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전문직 자아개념, 자기효능감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작업치료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작업치료사 138명이었고, 2011년 10월 13일부터 11월 2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치료사의 소진은 평균 2.12(범위: 0-6), 전문직 자아개념은 평균 2.64(범위: 1-4)이었고, 자기효능감은 평균 3.56(범위: 1-5)이었다. 둘째, 작업치료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은 1일 치료시간, 토요근무, 적성, 종교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전문직 자아개념은 자기효능감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전문직 자아개념과 자기효능감은 소진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작업치료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는 전문직 자아개념과 종교였다. 따라서 전문직 자아개념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작업치료사의 소진을 감소시키고, 작업치료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fessional self-concept, self efficacy on the job satisfaction in general hospital nurses)

  • 박은진;한지영;조나영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1호
    • /
    • pp.191-201
    • /
    • 2016
  • 본 연구는 지방 종합병원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자기효능감 및 직무만족도를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며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을 분석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간호조직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B시 종합병원간호사 15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로 측정하였다.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은 $3.02{\pm}0.23$, 자기효능감은 $2.92{\pm}0.21$, 그리고 직무만족도는 $2.76{\pm}0.26$이었다. 전문직 자아개념, 자기효능감 및 직무만족도 모두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무만족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325, p <.001).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예측요인은 전문직 자아개념 (${\beta}=.403$, t=5.327, p <.001), 자기효능감 (${\beta}=.238$, t=3.309, p=.001) 그리고 임상경력 (${\beta}=-.224$, t=-3.014, p=.003) 이었으며, 24.2%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따라서 지방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관리전략으로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업무체계와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윤리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윤리적 딜레마,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Ethics Education on Nursing Students' Professional Self Concept, Ethical Dilemma and Ethical Decision Making Confidence)

  • 방설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568-576
    • /
    • 2020
  • 본 연구는 CEDA 토론학습을 이용한 윤리교육이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윤리적 딜레마 및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원시실험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K도 C시 소재, 3학년 간호대학생 총 57명이었고, 연구기간은 2019년 3월 4일부터 5월 13일까지였다. CEDA 토론학습을 이용한 윤리교육은 이론교육 3주와 CEDA 토론학습 6주로 총 9주 동안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21.0을 사용하여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윤리적 딜레마,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의 차이는 t-test, one-way ANOVA로 분석하였고, CEDA 토론학습을 이용한 윤리교육에 따른 연구대상자의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윤리적 딜레마,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의 차이는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CEDA 토론학습을 이용한 윤리교육은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 자아개념(t=13.816, p<.001)과 윤리적 딜레마(t=6.205, p<.001) 및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t=11.950, p<.001)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간호전문직 자아개념과 윤리적 딜레마 및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은 순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은 전공 만족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들이 긍정적인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을 형성하고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서 자신있게 윤리적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윤리교육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간호사의 감성지능과 전문직 자아개념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on Retention intention in Nurses)

  • 김남희;박선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157-166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사의 감성지능과 전문직 자아개념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B광역시 소재 종합병원 3곳에 근무하는 간호사 1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5월 7일부터 5월 3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시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와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감성지능 정도는 4.82점(7점만점), 전문직 자아개념 정도는 2.61점(4점만점), 재직의도 정도는 5.47점(8점만점)이었다. 대상자의 재직의도는 감성지능, 전문직 자아개념과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전문직자아개념(β=.456, p<.001), 연령(β=-.228, p<.001), 휴가(β=.197, p=.002)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요인들에 의한 재직의도 설명력은 총 35.9%(F=32.60, p<.001)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재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시 경험한 언어폭력, 학업스트레스 대처 및 우울이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Verbal Violence in Clinical Practice, Academic Stress Coping, and Depression on Professional Self-concepts among Korean Nursing Students)

  • 전해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501-51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실습 시 경험한 언어폭력, 감정반응, 학업스트레스 대처 및 우울이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자료 수집은 C시 소재의 4년제 종합대학에 재학 중인 3-4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2017년 10월 25일부터 11월 1일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조사로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임상실습 시 언어폭력을 경험한 적이 있는 대상자는 41.9%로, 언어폭력 경험 횟수는 1회 16.9%, 2회 15.5%, 3회 4.7% 순이었다. 언어폭력 가해자는 환자 42.9%, 간호사 37.7%, 보호자 15.5% 순이었다. 대상자의 언어폭력 경험 시 감정반응은 언어폭력 경험 횟수 (r=.16, p=.049) 및 우울(r=.39, p<.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학업스트레스 대처는 우울과 음의상관관계가 있고(r=-.19, p=.021), 전문직 자아개념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46, p<.001). 우울은 전문직 자아개념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38, p<.001). 회귀분석 결과, 학업스트레스 대처(${\beta}=.40$, p<.001)와 우울(${\beta}=-.32$, p<.001)이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은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대해 28%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다(F=12.37, p<.001).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 향상을 위해, 학업스트레스 대처 수준을 높이고,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략 마련이 요구된다. 특히 임상실습 시 경험하는 우울을 조절하기 위해 이와 관련있는 언어폭력 후 감정반응에 대한 적절한 치료적 중재 적용이 도움이 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 전문직 자아개념 및 조직몰입 (A Study on Nurse Imag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ing Students)

  • 이종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284-295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 전문직 자아개념 및 조직몰입의 정도를 알아보고, 이들 변수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J시의 간호대학생 238명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자료수집은 2016년 9월 7일에서 9월 10일 사이에 실시되었다. 자료분석은 평균, 표준 편차, t-검정, ANOVA, Scheffe's test, Pearson 상관 계수, 단계적 다중 회귀 분석을 WIN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간호대학생들은 간호사이미지, 전문직 자아개념 및 조직몰입에 대해 5점 만점에 각각 4.01점, 3.40점 및 3.77점으로 평균값이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는 전문직 자아개념, 조직몰입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전문직 자아개념은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본 연구의 측정변인인 간호사이미지와 전문직 자아개념은 간호대학생의 조직몰입에 대해 56.3%의 설명력을 보였다.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간호사이미지, 전문직 자아개념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에서 간호사이미지가 대상자의 조직몰입에 가장 큰 예측변인임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