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류 효율

Search Result 1,855,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GaN based High Switching Frequency Modular Scalable Inverter System with Small Phase Inductor in PMSM Drive (소형 위상 인덕터를 가지는 PMSM 구동용 GaN 기반 고주파수 모듈라 스케일러블 인버터 시스템)

  • Jeong, Young-Woo;Kim, Rae-Youn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9.11a
    • /
    • pp.4-6
    • /
    • 2019
  • 본 논문은 Modular Scalable Inverter System에서 큰 부피를 차지하는 인덕터를 저감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최근 전력분야에서는 모듈형 전력변환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시스템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여 효율을 증가시키고 신뢰성을 높이는 방법들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모듈을 병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모듈 간에 흐르는 순환 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런 순환전류는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지 않기 때문에 시스템 효율을 떨어트리고 전류제어 및 부하 분담을 방해한다. 따라서 병렬형 인버터에는 출력에 순환전류 저감을 위한 인덕터를 사용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모듈형 전력변환 장치에서 큰 크기의 출력 인덕터는 시스템 사이즈를 늘리고 비용을 증가시키고 전력밀도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GaN HEMT (Gallium Nitride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 기반 인버터와 순환전류 저감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고속 스위칭을 함으로써 동일한 순환전류 저감 성능을 확보하지만 출력 인덕터의 크기를 줄이는 방안을 제시한다.

  • PDF

Proposed Control Scheme with simplified Switching Sequence for 3-phase Current Source Converter (3상 전류형 컨버터의 간략화 스위칭시퀀스 제어기법 제안)

  • Kim, Dong-Hyun;Cho, Choon-Ho;Choi, Chang-Young;Byeon, Cheol-Hong;Kim, Seong-Gon;Kim, Tae-Woon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2.07a
    • /
    • pp.532-533
    • /
    • 2012
  • 3상 전류형 인버터는 3상의 전류원을 정류하여 직류로 내보내는 대표적인 전력변환시스템이다. 3상 전류형 컨버터의 효율을 극대화 시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현재 시점에 스위칭시퀀스를 간략화 하여 스위칭횟수를 감소함으로써 스위칭 손실 저감시킴은 전체 시스템 효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에서는 3상 전류형 컨버터의 기존 스위칭시퀀스를 간략화 함을 통해 스위칭 절환을 최소로 하는 3상 전류형 컨버터의 제어기법에 대해 제안을 하며, 그 유효성을 PSIM 시뮬레이터와 실험을 통해서 검증한다.

  • PDF

A New Synchronous Rectifier Control Method for High Efficiency Phase-Shifted Full-Bridge Converter with Coupled Inductor Rectifier (고효율 결합 인덕터 정류단 위상천이 풀브릿지 컨버터를 위한 새로운 동기정류기 제어 기법)

  • Kim, Jae-Sang;Kim, Keon-Woo;Moon, Gun-Wo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20.08a
    • /
    • pp.145-147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결합 인덕터 정류단을 갖는 위상천이 풀브릿지 컨버터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동기정류기 제어 기법을 제안한다. 결합 인덕터 정류단을 활용하면 1차측 환류 전류를 감소 시켜 도통 손실을 줄일 수 있지만, 동시에 줄어든 전류로 인하여 레깅-레그 스위치의 영전압 스위칭을 달성하기 어려워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변압기의 자화 전류를 이용할 수 있지만, 컨버터가 넓은 출력 전압 범위로 설계되는 경우 낮은 시비율을 기준으로 작게 설계된 자화 인덕턴스로 인하여, 높은 시비율로 구동 시 과도한 자화 전류로 인한 불필요한 도통 손실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제안하는 제어 기법은 기존 동기정류기 제어와 달리 동기정류기를 기존보다 먼저 구동시켜 1차측에 환류 전류를 순간적으로 재생성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레깅-레그 스위치의 영전압 스위칭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작은 자화 전류로 영전압 스위칭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1차측의 도통 손실을 줄여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다. 제안하는 동기정류기 제어 기법의 효용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400V 입력, 27-54V/13A 출력에서 실험 검증을 진행하였다.

  • PDF

전자주입효율이 향상된 계단형 이중 전자주입층을 사용한 녹색 유기발광소자 효율 증진

  • Hwang, Jeong-Hyeon;Chu, Dong-Cheol;Kim, Tae-Hwan;Seo, Ji-Hyeon;Kim, Yeong-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428-428
    • /
    • 2010
  • 유기 발광 소자내의 전공과 전자의 균형과 효율적인 재결합을 통한 발광소자의 효율 향상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소자의 응용에 매우 큰 영향을 주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전도성 유기물내에서 정공의 이동도 가 전자의 이동도 보다 100 배 정도 빠르기 때문에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전자 주입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주입효율을 향상하기 위하여 강한 전자 받게 역할을 하는 플러렌($C_{60}$)의 장점을 이용한 이중 전자 주입층을 제작하고 녹색 유기 발광 소자에 사용하여 발광효율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유기 발광 소자에서 전자의 이동도를 향상하여 발광 층내로 주입되는 전자의 주입량을 증가하여 엑시톤 형성 확률을 높이기 위하여 전자 주입 층 내에 $C_{60}$을 첨가하였다. $C_{60}$만으로 이루어진 단층 전자 주입 층으로 구성된 유기발광 소자는 Al과 $C_{60}$ 계면사이에 거칠기가 큰 계면으로 인해 발생된 누설전류로 인해 Cesium flouride (CsF) 단층 전자 주입 층에 비해 낮은 발광효율을 나타냈다. 플러렌의 높은 전자전도성을 유지하며 누설전류의 흐름을 방지하기 위하여 매우 얇은 CsF층을 알루미늄 금속과 플러렌사이에 형성함으로써 플러렌과 Al 사이의 공유결합을 없애 누설전류를 줄였으며 Cs의 무거운 원자량으로 인해 전자 수송층으로의 확산되는 량이 적어 발광층에서 엑시톤의 재결합효율이 개선되어 유기발광 소자의 발광효율 향상이 나타남을 관찰하였다.

  • PDF

Efficiency Optimization Control of SynRM Drive using Multi-AFLC (다중 AFLC를 이용한 SynRM 드라이브의 효율 최적화 제어)

  • Choi, Jung-Sik;Ko, Jae-Sub;Jang, Mi-Geum;Chung, Dong-Hwa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4 no.5
    • /
    • pp.44-54
    • /
    • 2010
  • Optimal efficiency control of synchronous reluctance motor(SynRM) is very important in the sense of energy saving and conservation of natural environment because the efficiency of the SynRM is generally lower than that of other types of AC motors. This paper is proposed a novel efficiency optimization control of SynRM considering iron loss using multi adaptive fuzzy learning controller(AFLC). The optimal current ratio between torque current and exciting current is analytically derived to drive SynRM at maximum efficiency. This paper is proposed an efficiency optimization control for the SynRM which minimizes the copper and iron losses. There exists a variety of combinations of d and q-axis current which provide a specific motor torque. The objective of the efficiency optimization control is to seek a combination of d and q-axis current components, which provides minimum losses at a certain operating point in steady state. The control performance of the proposed controller is evaluated by analysis for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Analysis results are presented to show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algorithm.

Comparison of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Pancake Coil and Solenoid Coil using HTS Tape (고온초전도선재를 이용한 팬케이크 코일과 솔레노이드 코일의 전기적 특성 비교)

  • Park Myungjin;Lee Sangsoo;Cha Gueesoo;Lee Jikwa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summer
    • /
    • pp.773-775
    • /
    • 2004
  • 최근 높은 임계전류를 지닌 고온초전도선재를 이용한 초전도 전력기기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고온초전도선재의 임계전류는 자장에 대한 의존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고온초전도선재가 코일의 형태로써 초전도 전력기기의 개발에 이용되는 경우, 권선 방식에 따라 다른 전기적 특성을 지니게 된다. 이러한 특성은 초전도선재의 전력기기의 효율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권선 방식에 따른 코일의 특성을 연구하는 것은 초전도선재를 이용한 전력기기의 효율을 높이는데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권선 방식에 따른 코일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동일한 턴 수와 사용 선재길이를 가진 팬케이크 코일과 솔레노이드 코일을 설계, 제작하고 두 코일의 임계전류를 측정하였다. 또한 인가전류에 대한 두 코일의 전압, 저항특성과 교류손실 특성을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측정결과, 두 코일의 임계전류는 솔레노이드 코일이 109A로 팬케이크 코일에 비해 약 $36\%$ 더 높았다. 코일에 가해준 인가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코일에서 발생하는 전압 중 손실에 관련된 저항성 성분의 전압이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류손실은 인가 전류의 피크값이 팬케이크 코일의 임계전류 이하인 구간에서 팬케이크 코일이 솔레노이드 코일의 교류손실보다 9배 크며, 팬케이크와 솔레노이드의 임계전류 사이에서는 8.3배 컸다.

  • PDF

Voltage-Current-Luminance Efficiency Characteristics of Organic Lighting-Emitting Diodes with the Variation of Hole-Injection Buffer Layer(PTFE) Thickness (정공 버퍼층(PTFE) 두께에 변화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전압-전류-휘도효율 특성)

  • Kim, Weon-Jong;Yang, Jae-Hoon;Kim, Tae-Wan;Hong, Jin-Wo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11a
    • /
    • pp.86-88
    • /
    • 2004
  • 정공주입 버퍼층(PTFE)두께에 변화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전압-전류-휘도 효율을 측정한 결과 ITO/PTFE/Al 구조에서 두께가 증가하면 전류 밀도 및 전압이 증가하며, 두께가 0.7 (nm)일 때 부성 저항 영역이 나타났었고, ITO/PTFE/NPB/$Alq_3$/Al 구조에서 두께가 1.0 [nm]에서는 가장 좋은 휘도와 효율을 나타났었다. 두께가 증가하면 이것은 PTFE 내의 정공의 이동을 어렵게 하기 때문에 효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래서 적당한 PTFE 두께만이 가장 좋은 휘도와 효율을 얻을 수가 있다.

  • PDF

Power extraction efficiency and lasing wavelength distribution of index-coupled DEB lasers above-threshold for various facet reflectivity combinations (문턱 전류 이상에서 양 단면 반사율 조합에 따른 index-coupled DFB 레이저의 파워 추출 효율과 발진 파장 분포)

  • 김상택;김부균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14 no.4
    • /
    • pp.413-422
    • /
    • 2003
  • We have calculated the power extraction efficiency and the lasing wavelength distribution of index-coupled DFB lasers at threshold for various kL and facet reflectivity combinations, and compared with those above-threshold. The power extraction efficiency increases as the asymmetry of the facet reflectivities increases. The power extraction efficiency above-threshold is slightly larger than that at threshold. Since the relative photon density around the center region increases as kL increases, the power extraction efficiency decreases. The uniformity of the distribution of lasing wavelength over the stop band increases due to the relief of mode degeneracy as the asymmetry of the facet reflectivities increases. In the case of AR-HR combination, the lasing wavelength distributions at threshold are similar to those above-threshold. However, in the case of AR-AR combination, the lasing wavelength at threshold is concentrated on both edges of the stop band, while it is concentrated only on the longer wavelength edge above-threshold. As kL increases, the range of the lasing wavelength distribution increases due to the increase of the stop band. The effect of AR reflectivity on the power extraction and the lasing wavelength distribution is very weak.

High Efficiency Triple Mode Boost DC-DC Converter Using Pulse-Width Modulation (펄스폭 변조를 이용한 고효율 삼중 모드 부스트 변환기)

  • Lee, Seunghyeong;Han, Sangwoo;Kim, Jongsu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2 no.2
    • /
    • pp.89-96
    • /
    • 2015
  • This paper presents a high efficiency, PSM/DCM/CCM triple mode boost DC-DC converter for mobile application. This device operates at Pulse-Skipping Mode(PSM) when it enters light load, and otherwise operate the operating frequency of 1.4MHz with Pulse-Width Modulation(PWM) mode. Especially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during the Discontinuous-Conduction Mode(DCM) operation period, the reverse current prevention circuit and oscillations caused by the inductor and the parasitic capacitor to prevent the Ringing killer circuit is added. The input voltage of the boost converter ranges from 2.5V ~ 4.2V and it generates the output of 4.8V. The measurement results show that the boost converter provides a peak efficiency of 92% on CCM and 87% on DCM. And an efficiency-improving PWM operation raises the efficiency drop because of transition from PWM to PFM. The converter has been fabricated with a 0.18um Dongbu BCDMOS technology.

A novel energy-efficient bridgeless boost AC to DC converter (효율을 고려한 새로운 AC/DC 컨버터)

  • Yoon, Kyoung-Kuk;Kim, Seong-Hwan;Kim, Deok-Ki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40 no.3
    • /
    • pp.223-227
    • /
    • 2016
  • Power supplies make the load compatible with its power source. DC power supplies are extensively used with most electrical and electronic appliances such as computers, television, and audio sets. The presence of non-linear loads results in a low power factor and higher harmonics in the power system. Several techniques for power-factor correction and harmonic reduction have been reported in the literature. This paper proposes a bridgeless boost converter that improves the power factor and reduces the harmonic content in input line currents as compared to full-bridge rectifiers. This bridgeless boost converter eliminates the need of a line-voltage bridge rectifier in conventional boost converter and thereby reduces conduction losse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scheme is verified by computer simulations by using the PSIM softw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