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로

Search Result 48,795, Processing Time 0.062 seconds

The Vegetational History of korea During the Holocene Period (홀로세 중 한국의 식생사)

  • 강우석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8 no.1
    • /
    • pp.9-22
    • /
    • 1994
  • The vegetational and environmental history of Korea during the Holocene period has reconstructed by the use of folral, palaeoclimatogical, archaeological data and written records. From 10,000 to 6,700 yeat B.P. in mid-eastern Korea, deciduous broadieaved trees gradually increased trees, notably at c.8,000 years B.P. From 6,700 to 4,500 years B.P., the vegetation remained dominated by Quercus and pinus(Diploxylon). Vegetational informations suggest the postglacial hypsithermal from c.8,000 to 4,500 years b.p. After 4,500 until 1,400 years B.P., the admixture of cryophilous trees in midland and thermophilous trees in south seems to imply the latitudinal divisions of vegetation and climate. The presence of cultivated rice pollen as well as non-arboreal pollen and spores indicates an increased rate of deforestation. From 1,400 years B.P., there was a sharp decrease in the representation of temperate trees, but the presence of the cryophilous genera Abies and pinus (Haploxylon) is noticea-ble and might be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Little Ice Age. Fossil pollen diagram from western Korea and eastern Korea since 6,250 and 10,000 yeats B.P., respectively have enabled to compare vegetational dis-tribution patterns and changes in the Holocene period. In western Korea, Alnus- dominated vegetation continued from 6,250 to 1,500 years B.P., but pinus took over Alnus from 1,500 years B.P. In eastern Korea, however, Quercus and pinus dominated from 10,000 to 2,000 years B.P., but pinus be-came predominant from 2,000 years B.P. On a time- spatial basis, different vegetational distribution pattern can be recognised between western and east-ern Korea. The use of seven historical records which is unique to Korea also enabled to reconstruct the distributional pattern and temporal change of vegetation from 1425 to 1928.

  • PDF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pokki dduk With Respect to Added Whole Soybean Curd (Chun-Tofu) by Different Storage Time (전두부를 첨가하여 제조한 떡볶이용 떡의 저장시간에 따른 품질특성)

  • Lee, Joon-Kyoung;Jeong, Jie-Hye;Lim, Jae-Kag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28 no.2
    • /
    • pp.111-12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raedduk with regard to the amount of added whole soybean curd (Chun-Tofu). Whole soybean curd was added in amounts of 0, 3, 6 and 9%. Whole soybean curd Topokki dduk was stored at room temperature for 48 hours. The moisture content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increases in the amount of whole soybean curd. The L value and b values of Garaedduk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es in the amount of whole soybean curd. Texture characteristics of Garaedduk measured with a texture analyzer revealed that hardness and cohesiveness decreased significantly for different amounts of whole soybean curd, and hardnes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cohesiveness and chewiness decreased with increase of storage time. As for sensory characteristics, samples with 9% added whole soybean curd rated higher in overall acceptability compared with other samples. In regard to cooking properties, water absorption increased and solid contents decreased with increases in the amount of whole soybean curd. Therefore, Garaedduk containing 9% whole soybean curd was most preferable.

Resistance to Cisplatin Renders High Metastatic Potential in Human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 Line (Cisplatin 내성을 보이는 비소세포폐암 세포주에서의 전이 능력 증가)

  • 차대원;김진국;손동섭;조대윤;양기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4 no.5
    • /
    • pp.377-385
    • /
    • 2001
  • 배경: Cisplain과 같은 세포돗성 약제에 대한 내성은 폐암 치료 실패의 중요한 원인이다. 이러한 항암제에 대한 내성의 발생기전은 복잡하고 아직 완전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불량한 예후의 원인으로 생각된다. 특히 약제 내성이 발생한 환자의 경우 기존의 종양의 급속한 성장뿐 아니라 새로운 전이 병소가 급속히 발생 및 진단됨은 약제 내성을 가진 종양이 전이에의 용이성을 획득하는게 아닌가 의심케한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Cisplatin에 내성을 지닌 비소세포폐암 세포주 H460/CISm이 전이 능력을 Cisplatin에 민감한 비소세포폐암 세로주 H460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약제 내성 세포주를 확보하기 위하여 H460세포에 cisplatin을 점차적으로 증가시켜 처리한 후 배양하였다. H460 세포와 H460/CIS 세로에서의 혈관신생인자와 성장관련인 자의 발현양상, gelatin zymography 분석 그리고 in vivo 실험으로 nude 마우스에서의 자발적 전이 능력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H460 세포를 이식한 마우스에 폐에서는 종양이 형성되지 않았으나 H460/CIS세포를 이식한 마우스 10마리중 8마리에서 종양이 형성되었다. 또한 H460/CIS 세포주에서 전이 관련 유전자로 알려진 angiopoietin-1,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matrix metalloproteinase 2 등이 더 발현되었고, 전이의 침습성을 유발하는 gelatinase의 활성이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여구 결과를 통해 cisplatin에 내성을 가진 비소세포폐암세포에서 전이 능력이 증가될 수 있다고 여겨지며 이러한 사실을 토대로 초기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수술 전 항암약물요법의 타당성에 대해서 이야기 하기 위해서는 많은 임상적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A Study on $Digoxin^{(R)}-like$ Immunoreactivity and Its Nature in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and Neonates (만성 신부전환자 및 신생아 혈청에서 $Digoxin^{(R)}$과 교차 면역반응을 보이는 물질에 관한 연구)

  • Lee, Myung-Shik;Lee, Choong-Ki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 /
    • v.21 no.1
    • /
    • pp.55-60
    • /
    • 1987
  • $Digoxin^{(R)}$을 복용하고 있지 않는 각27명의 만성 신부전 환자 및 신생아의 혈청에서 Gammacoat $Digoxin^{(R)}$ kit와 Amerlex Digoxin $RIA^{(R)}$ kit를 이용하여 digoxin과 교차 면역반응을 보이는 내인성 물질(이하 DLI: Digoxin-like Immunoreactivity)을 측정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Gammacoat $Digoxin^{(R)}$ kit로 측정시 27명의 만성 신부전 환자중 12명에서 신생아의 경우는 27명 전원에서 측정 하한치 이상의 DLI가 검출된 반면, Amerlex Digoxin $RIA^{(R)}$ kit로는 1명을 제외한 양 군의 전원에서 DLI가 관찰되지 않았다.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Gammacoat $Digoxin^{(R)}$ kit로 측정된 DLI와 혈청 BUN/Creatinine 값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 관계가 없었다. 2) 만성 신부전 환자 및 신생아의 pooled sera에 가한 digoxin의 수거율은 각각 49%, 40%였다. 3) 만선 신부전 환자 및 신생아의 pooled sera에서 측정되는 DLI의 희석 curve는 정상 희석 curve와 다르다고 할 수 없었다. 4) 만성 신부전 환자의 pooled sera에서 측정되는 DLI의 16%, 그리고 신생아의 pooled sera 에서 측정되는 DLI의 20%가 trypsin에 sensitive하였다. 5) 만성 신부전 환자의 pooled sera에서 측정되는 DLI의 56%가, 그리고 신생아의 pooled sera에서 측정되는 DLI의 경우는 전체의 20%미만이 methylene chloride로 추출되었다. 이상에서 만성 신부전 환자 및 신생아의 혈청에서는 방사면역 kit의 증류에 따라 DLI가 검출되며 그 실체를 알기 위해서는 더욱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었다.

  • PDF

Structural study on the Anterior and Posterior suckers of Korean Leech (Erpobdella lineata) (한국산 거머리(Erlsobdell$\alpha$ lineata) 전, 후 흡반의 구조에 관한 연구)

  • 장남섭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7 no.2
    • /
    • pp.281-288
    • /
    • 1994
  • 한국산 거머리(Erpobdella lineate)의 전, 후 흠반을 광학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조직화학적 및 미세구조적 연구를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거머리 전, 후 홍안에서 관찰된 상피세포는 불규칙한 단층원주형 상피로 되어 있으며, 상피세포의 상단에는 큐티를층이 있고 측면원형질 막은 거치상을 이루면서 여러개의 desmosome이 관찰되 었다. 큐티클층은 projection eplcuticularis, amorphorous stratum 및 fibrous stratum 등 3부분으로 구분되었다. 전, 후 출반의 상피조직 사이에서 공히 a형 분비과립과 b혐 분비과립 등이 관찰되었는데, 이 세포에서 분비된 과립들은 중성점액다당류로 확인되었다. 전 흠반의 횡단면 상피조직 밑에서 많은 근육세포들조 형성된 원형의 집단들이 다수 관찰되었는데, 이는 흠반의 흡수기능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비교적 통근형태의 근육세포들은 세포의 원형질막 내측에 많은 근섬유 다발을 지니고 있고 그 중앙에는 cristae가 발달된 많은 수의 사립체들이 모여 있었다. 전, 후 출반의 결합조직 내에서 5종류(A, B, C, D 및 I 등)의 분비과립들이 관찰되었다. 그 중 C, D 과립은 전, 후 흡반에서 공통으로 관찰되고, A, B 과립은 전 흠반에서, E 과립은 후 흠반에서만 각각 관찰되었는데, 이들 역시 모두 중성점액다당류로 확인되었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Precious Slag Ball as Vertical Drains (풍쇄전로슬래그의 연직배수재 활용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Kwon, Jeong-Geun;Im, Jong-Chul;Kim, Woo-Kyoung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2 no.3
    • /
    • pp.37-46
    • /
    • 2011
  •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Precious Slag Ball as the alternative material such as vertical drains,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drainage effect of it in the field construction. In order to attain an successful design it is important to predict problems encountered in field construction.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laboratory tests were execut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before applying of the field. 4 cases including Precious Slag Ball, sand+Precious Slag Ball, pack Precious Slag Ball and sand as vertical drains were conducted, and under the base of the laboratory tests the field test was executed and analyzed. By the upper results it is apposite to use Precious Slag Ball as vertical drains.

Characteristics of ZnO:Al TCO surface etching of microstructural changes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용 ZnO:Al 투명전도막의 미세구조 변화에 따른 표면 식각 특성)

  • Kim, Han-Ung;Cho, Jun-Sik;Park, Sang-Hyun;Yoon, Kyung Hoon;Song, Jinsoo;O, Byung-Sung;Lee, Jeong Chul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100.2-100.2
    • /
    • 2010
  • Superstrate형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에서 전면전극으로 사용되는 투명전도막의 표면형상은 태양전지내로 입사하는 태양광의 표면산란에 영향을 미치며 표면산란 증가를 통한 광 포획 및 단락전류밀도 향상을 통하여 태양전지 효율을 증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존에 실리콘박막 태양전지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상용 Asahi-U형 투명전도막은 수소 플라즈마에 대한 안정성이 낮고 입사광의 장파장 대역에서의 산란특성이 낮아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의 고효율화에 한계점이 있었다. 최근에 Asahi-U형 투명전도막을 대신하여 ZnO계 투명전도막을 전면전극으로 사용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Al을 토핑원소로 사용하는 ZnO:Al 투명전도막은 우수한 전기적, 광학적 특성과 수소플라즈마 안정성 및 저 비용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고 있다. 스퍼터링 방식으로 제조된 ZnO:Al 투명전도막의 표면형상은 일반적으로 증착 후 습식식각을 통하여 조절되며 식각 전 박막의 미세구조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습식 식각 이후의 표면거칠기에 따라 다양한 광학적, 전기적 특성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in-line RF-magnetron sputter 장비를 이용하여 다양한 공정조건하에서 ZnO:Al 투명전도막을 제조하고 증착된 박막의 미세구조 특성에 따른 습식식각 이후의 표면형상 변화 및 전기적 광학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 PDF

Improvement of Water and Fertilizer Use Efficiency by Daily Last Irrigation Time for Tomato Perlite Bag Culture (토마토 펄라이트 자루재배에서의 관수마감시각에 따른 용수이용효율 및 비료이용효율 증진)

  • Sim, Sang-Youn;Kim, Young-Shik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18 no.4
    • /
    • pp.408-412
    • /
    • 2009
  • Daily last time of irrigation in perlite bag culture was investigated to get high water use efficiency (WUE) and fertilizer use efficiency (FUE) and also sustain high productivity for tomato. The water content in the substrate was higher as the last time of irrigation was later from 4 to 1hour before sunset. The growt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treatments. The marketable yield was the highest in treatments of 1 or 2hours before sunset and the lowest in treatment of 4hours. In the result to investigate for 128days WUE and FUE were the lowest in treatment of 1hour before sunset but the highest in treatment of 3hours before sunset. In the conclusion, it looks best to end irrigation 2~3hours before sunset in the aspects of plant growth, yield, WUE, and FUE.

What should we do with pre-instructional conceptual frameworks? : A suggestion for instructional strategy (수업전 개념구조를 고려한 수업방법에 관한 연구)

  • Jung, Hee-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9 no.2
    • /
    • pp.89-97
    • /
    • 1989
  • 어떤 현상에 대한 학생들의 수업전 개념구조가 과학자들의 그것과 다를때 이 수업전개념을 간단한 정성적인 퀴즈를 통하여 학생 스스로 인식하게 하고 실험 또는 관찰을 통하여 학생 자신의 수업전개념 보다는 과학자들의 개념이 실험결과를 더 잘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함으로써 학생들의 수업전 개념구조를 변화시키려는 교수모델을 고안하여 그 효과를 검토하였다. 고등학교 1학년 남학생 115 명(실험집단 58명, 비교집단 57명)과 고등학교 2학년 여학생 120명(실험집단 59명, 비교집단 61명)을 대상으로 뉴우턴 제2법칙에 대한 학습에 적용하고 2주후에 뉴우턴 제2법칙에 관한 시험(13문항)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퀴즈에 사용한 것과 유사한 상황을 다룬 문제에서는 실험집단의 성적이 비교집단의 성적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같은 개념을 다루나 새로운 상황의 문제에서는 그 효과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가지 개념이 여러가지 새로운 상황속에 나타날때 학생들에게 이미 친숙한 상황과 새로운 상황사이의 유사점을 강조하며 위의 교수법을 계속하여 사용한다면 학생들의 뿌리깊이 밝힌 수업전 개념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위의 교수법은 학생들이 자신의 수업전 개념구조를 명확히 인식하고 그 불합리함을 깨달아야 하므로 자신의 수업전 개념구조에 근거하여 어떤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예측논리(Expectation or biconditional Reasoning)가 형성된 이후의 학생들에게만 효과가 있으리라 가정하였으나 교수방법과 예측논리 사이에 유의한 상호작용효과(interaction offect)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여학생의 경우에서만 학생들에게 새로운 상황의 문제에서도 예측논리를 이미 형성한 실험집단의 평균이 이에 상응하는 비교집단의 평균보다 높았다. 이것은 남학생과 여학생을 지도한 교사의 교수경력과 학생들의 수업전 개념구조에 대한 교사의 인식정도에 큰 차이가 있었음을 고려할 때, 위의 수업방법을 사용하는 데 있어 교사가 학생들의 수업전 개념구조가 학생들의 개념획득에 얼마나 커다란 영향을 끼치는가에 대해 인식하는 것이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