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남대학

검색결과 488건 처리시간 0.031초

중증 근무력증 환자에서 폐구 인상법을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 수복 증례 (Implant overdenture with closed impression technique for patient with Myasthenia Gravis: A case report)

  • 박루디아;박민혁;박상원;임현필;장우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459-468
    • /
    • 2021
  • 중증 근무력증을 가지고 있는 환자의 경우 구강 내 근육 및 신경계가 적절히 조정되지 않아 의치 제작 및 유지가 어렵다. 또한 과도하게 확장되거나 두꺼운 의치는 근육에 자극을 주어 근무력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의치 제작을 해야 한다. 본 증례에서는 개구 제한을 가진 중증 근무력증을 가진 환자에서 폐구 인상법을 이용하여 의치를 제작하였다. 폐구인상법을 이용하여 환자가 가지고 있는 저작압 및 근육의 움직임을 재현하고 이를 통해 구강 기능 운동시 구강 내 근육에 자극이 적고 적절한 유지와 안정을 갖는 임플란트 유지 피개의치를 제작하였다.

구강작열감 증후군에 대한 논문 고찰 (A literature review on burning mouth syndrome)

  • 최성현;이빈나;임회순;오원만;김재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5권3호
    • /
    • pp.123-131
    • /
    • 2019
  • 구강작열감 증후군은 점막 이상 등의 임상소견이 없는 상태에서 혀 및 구강점막의 작열감과 구강건조감, 미각이상 등의 불편감을 호소하는 증상으로, 남녀 모두에서 나타날 수 있으나 중년의 폐경기 여성에서 빈발한다. 임상에서 진단이 쉽지 않고 명확한 원인을 밝히기 어려워 증상 경감을 치료목표로 해왔다. 병인은 국소적, 전신적 및 심리적 요인으로 나뉘고 치료는 ${\alpha}$-lipoic acid, clonazepam, 영양보충 등의 약물요법과 인지행동치료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단일 치료법보다는 복합요법의 높은 효과에 대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다각적인 면에서 원인요소를 고려하여 약물적 접근과 인지행동요법을 포함한 심리치료 병행으로 환자들의 증상을 경감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농업적 활용을 위한 산란일사와 직달일사 관측 자료: 나주에서 2019년 5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Direct and Diffuse Radiation Data in Naju During May 2019 to November 2020)

  • 김현기;문현동;조유나;신서호;김종현;이양원;조재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4-140
    • /
    • 2021
  • 농업용 유리온실 또는 플라스틱하우스의 투과율을 산정하거나 영농형 태양광 하부 작물의 수광량을 평가할 때, 그리고 작물 군락 광합성량을 모의하거나 분석할 때에 직달과 산란 일사량을 구분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산란과 직달 일사량 자료의 농업적 활용 촉진을 위해 나주에서 2019년 5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측정한 자료를 공개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9개의 산란계수 추정식을 본 자료로 검증하였다. 추정식들 대부분은 결정계수(R2)가 0.79~0.80, RMSE가 0.13~0.15의 범위를 가졌다. 직달·산란 일사량의 농업적 활용을 높이기 위해 본 데이터뿐만 아니라 다양한 자료가 관측되고 공개되어야 할 것이고, 그에 따른 추정식도 정교화될 필요가 있다.

고해상도 농경지 데이터를 이용한 비료사용 농경지의 암모니아 배출량의 시공간적 변화 분석 (Spatio-temporal Change Analysis of Ammonia Emission Estimation for Fertilizer Application Cropland using High-resolution Farmland Data)

  • 박진선;이세연;홍세운;나라;오윤경
    • 농촌계획
    • /
    • 제27권4호
    • /
    • pp.33-41
    • /
    • 2021
  • Ammonia emission from the agricultural sector contributes almost 78% of total ammonia emission in Korea. The current ammonia emission estimation method from fertilizer application has high uncertainty and needs to be improved. In this study, we propose an improvement method for estimating the amount of ammonia emission from agricultural land with improved spatiotemporal resolution using Farm Manager Registration Information System and criteria for the fertilizer. We calculated ammonia emissions by utilizing the 2020 cultivation area provided by Farm Manager Registration Information System for 55 kinds of upland crops cultivated in the field area of the farmland. As a result, soybeans were the most cultivated field crop in 2020, and the area of cultivated land was surveyed at about 77,021 ha, followed by sweet potatoes 22,057 ha, garlic 20004 ha, potatoes 17,512 ha, and corn 16,636 ha. The month with the highest ammonia emissions throughout the year was calculated by emitting 590.01 ton yr-1 in May, followed by 486.55 ton yr-1 in March. Hallim-eup in Jeju showed the highest ammonia emission at 117.50 ton yr-1.

자료 과소 유역 유출 모의을 위한 머신러닝 기법 적용 (Application of machine learning technique for runoff prediction in watershed with limited data)

  • 정민혁;범진아;박민경;정지연;윤광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254-254
    • /
    • 2021
  •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는 해마다 크게 증가하고있으며, 홍수 및 가뭄의 강도와 빈도 증가, 지구온난화로 인한 하천 건천화 등 많은 문제들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물 순환과정의 핵심요소로 설명되는 유출량의 변동은 용수 공급과 홍수 대응 및 관리, 하천생태계 유지를 위한 환경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갈수량, 풍수량 등을 산정하여 하천별 유황특성을 결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와같은 지표는 계측자료가 과소한 경우 하천의 유황특성을 세부적으로 이해하고 정량적으로 제시하는데에 한계가있다. 따라서, 미계측 유역에서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과 같은 수리해석모델이 광범위하게 이용되고있으며, SWAT 모델은 유역의 수치표고모형, 토양 특성, 토지이용 현황, 기상 현황, 유역의 매개변수 등을 반영하여 모델이 구동되고 있다. 하지만,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적용성이 입증된 모델임에도 불구하고 입력자료의 불확실성 및 조사되지 않은 영농활동 등으로 인해 결과에 불확실성이 내포되어있으며,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해 실측된 하천의 유량 자료를 이용하여 검정 및 보정작업을 거치고 있다. 모델의 보정 방법으로는 SWAT-CUP과 같은 프로그램 이용되고 있지만, 모델에서 이용되는 매개변수로는 보정할수 있는 범위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모델의 정확성을 높이는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암천 유역을 대상으로 모델의 매개변수를 보정하지 않고도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모델의 결과를 향상시켰다. 보정 결과, 유량의 경우 R2가 0.42에서 0.91으로 향상되었으며, 특히 고유량 구간에서의 정확성이 매우 향상되었다. 본 연구에서 평가된 SWAT+머신러닝 결합 모형은 향후 모델 구동에 필요한 입력자료가 부족한 경우와 빠른 검정 및 보정 작업이 필요할 경우 활용될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 PDF

통합수질지수를 이용한 영산강 보건설 전·후의 수질 경향분석 (Analysis of water quality trends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Yeongsan River Low Dam using RTWQI)

  • 강지은;박수호;이가영;박성천;이우범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480-480
    • /
    • 2022
  • 4대강 살리기 사업 중 영산강 살리기 사업의 일환으로 건설된 보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질에 대해 통계분석과 통합수질지수를 이용한 수질변화 분석 및 경향성을 파악하여 합리적인 수질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영산강 본류의 3개 지점, 20년간 자료를 이용하여 보 건설 전·후로 구분하여 수질변화와 통합수질지수를 산정하고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통합수질지수 경년별 평가는 3개 지점 모두 보 건설 후에 수질이 다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광산지점의 수질등급은 대부분 불량으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영산포지점의 수질등급은 보 건설 전 주의~불량에서 보 건설 후 대부분 주의로 개선되었다. 무안2지점의 수질등급은 보 건설전 양호~주의에서 보 건설 후에는 양호로 개선되었다. 통합수질지수 월별평가는 3개 지점 모두 보 건설 후 전반적으로 수질이 개선되었으며, 광산지점의 수질등급은 보 건설 전보다 악화되었다. 영산포지점의 수질등급은 전반적으로 개선되었다. 무안 2지점의 수질등급은 대부분 보통 및 주의에서 보 건설 후에 우수 및 양호로 변화되었다. 통합수질지수 경향성 분석은 보 건설 후 영산포 지점을 제외하고 모두 증가 경향을 나타냈고, 전반적으로 수질이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영산강 4대강 사업의 일환으로 건설 된 보로 인한 수질변화를 수질항목에 대하여 분석하고 통합수질지수를 산정하여 평가하였다. 전반적으로 BOD, T-N, T-P는 수질이 개선되었고, COD 및 Chl-a는 수질이 악화되었으나, 총인고도처리시설 설치와 총질소 처리효율 개선등의 영향으로 보의 영향을 정확히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었으나, 영산강 수질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것이라 기대된다.

  • PDF

순측으로 식립된 상악 우측 측절치 임플란트의 즉시 수복 증례 (Immediate restoration through gingiva conditioning of maxillary anterior implant installed labially: A case report)

  • 공성지;송지은;윤귀덕;박찬;장우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2권3호
    • /
    • pp.234-242
    • /
    • 2024
  • 즉시 임플란트 식립과 수복은 치료 기간을 단축하고, 최종 수복 시까지 심미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악 전치부에서의 단일 임플란트 수복은 심미적인 부분에서 어려움이 있을 수 있는데, 임플란트 식립 중 연조직과 경조직에 전달된 수술적 외상은 향후 심미적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전치부 임플란트 식립 및 수복 시 예측 가능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치간골의 높이, 치은의 특성, 환자 치아의 형태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수술 및 수복 계획을 세워야 한다. 본 증례에서는 경제적 문제로 PFM (Porcelain Fused-Metal) 수복을 원하는 환자의 계획보다 순측으로 식립된 상악 전치부 임플란트를 치은 형성과 디지털 인상을 통해 emergence profile 과 안정화된 연조직 형태를 재현하고자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