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공 강화

검색결과 435건 처리시간 0.033초

심층강화학습에 은닉 상태 정보 활용을 통한 학습 성능 개선에 대한 고찰 (A Study on Learning Performance Improvement by Using Hidden States in Deep Reinforcement Learning)

  • 최요한;석영준;김주봉;한연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28-530
    • /
    • 2022
  • 심층강화학습에 완전 연결 신경망과 합성곱 신경망은 잘 활용되는 것에 반해 순환 신경망은 잘 활용되지 않는다. 이는 강화학습이 마르코프 속성을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의 강화학습은 환경이 마르코프 속성을 만족하도록 사전 작업이 필요했다, 본 논문에서는 마르코프 속성을 따르지 않는 환경에서 이러한 사전 작업 없이도 순환 신경망의 은닉 상태를 통해 마르코프 속성을 학습함으로써 학습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소개한다.

산업용 로봇 팔 최적 경로 계획을 위한 심층강화학습 프레임워크 (A Deep Reinforcement Learning Framework for Optimal Path Planning of Industrial Robotic Arm)

  • 권준형;조든솔;김원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5-76
    • /
    • 2022
  • 현재 산업용 로봇 팔의 경로 계획을 생성할 때, 로봇 팔 경로 계획은 로봇 엔지니어가 수동으로 로봇을 제어하며 최적 경로 계획을 탐색한다. 미래에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 공정을 유연하게 변경하는 대량 맞춤 시대에는 기존의 경로 계획 수립 방식은 부적합하다. 심층강화학습 프레임워크는 가상 환경에서 로봇 팔 경로 계획 수립을 학습해 새로운 공정으로 변경될 때, 최적 경로 계획을 자동으로 수립해 로봇 팔에 전달하여 빠르고 유연한 공정 변경을 지원한다. 본 논문에서는 심층강화학습 에이전트를 위한 학습 환경 구축과 인공지능 모델과 학습 환경의 연동을 중심으로, 로봇 팔 경로 계획 수립을 위한 심층강화학습 프레임워크 구조를 설계한다.

영어교육전공의 핵심역량중심 학습 프레임워크와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Learning Framework and Curriculum of Core Competency-Based Learning in English Education Major)

  • 김지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459-468
    • /
    • 2021
  • 본 연구는 역량에 대한 영어교육과 학생들의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고 분석하여 좀 더 효과적으로 영어교육관련 교과역량과 핵심역량강화를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핵심역량에 대한 영어교육과 학생들의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고 분석하였으며, 이 결과와 Education 2030 프로젝트,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영어교육과의 핵심역량 중심 교육방법을 연구하였다. 주요 결과를 보면, 영어교육과 학생들은 본인의 역량에 대한 관심이 많으나 어떠한 역량을 강화해야하는지 또는 전공과 연계하여 어떻게 강화해야 할지는 모르겠다는 학생들이 많았다. 또한 학생들은 핵심역량 중심의 전공 커리큘럼을 통한, 전공과 연계된 핵심역량 강화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의 국가적 요구를 반영한 영어교육전공의 커리큘럼 개발 방향과 커리큘럼, 교수법, 평가 방법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필요한 역량을 보다 효과적으로 배양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소포물 분류 시스템의 다중 에이전트 강화 학습 기반 행동 제어 (Multi-Agent Reinforcement Learning-based Behavior Control of Parcel Sortation System)

  • 최호빈;김주봉;황규영;한연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034-1035
    • /
    • 2020
  • 인공지능은 스스로 학습하며 기존 통계 분석보다 탁월한 분석 역량을 지니고 있어 스마트팩토리 혁신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증명하듯 스마트팩토리의 주요 분야인 공정 간 연계 제어, 전문가 공정 제어, 로봇 자동화 등에서 활발한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포물 분류 시스템에 전통적인 룰 기반의 제어 방식 대신 다중 에이전트 강화 학습 제어 방식을 설계 및 적용하여 효과적인 행동 제어가 가능함을 입증한다.

무용지도자의 유형에 따른 지도자 신뢰도에 관한 논의 (A Discussion on Trust in Leaders by Types of Leaders in Dance Major)

  • 강지혜;안병순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9-290
    • /
    • 2018
  • 본 연구는 강지혜의 '고등학교 무용전공 지도자의 지도유형과 지도자 신뢰 및 만족의 관계 연구'를 바탕으로 한 무용지도유형과 지도자 신뢰도의 관계에 대한 논의이다. 기존의 연구는 2010년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무용전공생과 무용지도자의 관계를 논의를 통해 탐색하고 분석함으로써 실기 수업에 있어 무용수행 효율성을 높이고 무용지도자 역할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논의에 따르면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융복합 사회 속에서 교육을 받는 학생들에게 무용지도자의 신뢰를 높이며 교육이 획일적인 지도자 중심의 지도보다는 학생들의 의견을 수용하여야 하는 무용지도자야하며, 학생들에 대한 세심한 배려와 상호작용하는 것은 무용전공생에게 지도자에 대한 신뢰와 무용지도자의 지도효율성과 무용수행도 높아질 수 있음과 동시에 무용지도자의 역할이 강화될 것이다.

  • PDF

심층 강화학습 기반의 대학 전공과목 추천 시스템 (Recommendation System of University Major Subject based on Deep Reinforcement Learning)

  • 임덕선;민연아;임동균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9-15
    • /
    • 2023
  • 기존의 단순 통계 기반 추천 시스템은 학생들의 수강 이력 데이터만을 활용하기 때문에 선호하는 수업을 찾는 것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심층 강화학습 기반의 개인화된 전공과목 추천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학생의 학과, 학년, 수강 이력 등의 정형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생들 간의 유사도를 측정하며, 이를 통해 각 전공과목에 대한 정보와 학생들의 강의 평가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전공과목을 추천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 DRL 기반의 추천 시스템을 통해 대학생들이 전공과목을 선택하는 데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며, 이를 통계 기반 추천 시스템과 비교하였을 때 더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심층 강화학습 기반의 추천 시스템은 통계 기반 추천 시스템에 비해 수강 과목 예측률에서 약 20%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강의 평가를 반영하여 개인화된 과목 추천을 제공하는 새로운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학생들이 자신의 선호와 목표에 맞는 전공과목을 찾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사용자 동작을 인식하기 위한 입력장치 (An Input Device to cognize the Human Motion in Ubiquitous Environment)

  • 김종우;김정래;전수빈;박총명;정인범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39-842
    • /
    • 2008
  • 기존에 사용 중인 컴퓨터 입력기기인 키보드와 마우스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입력기기로서는 휴대성과 직관성의 결여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휴대성과 직관성이 강화된 차별화된 입력기기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에 맞는 입력기기에 사용 가능한 센서에 대해 실험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유비쿼터스 환경에 맞는 입력기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실무형 공학교육에 대한 공학교육 당사자들의 인식 조사 결과 분석 - 홍익대학교 과학기술대학을 중심으로 - (Analysis on the Recognition of the Engineering Education Participators for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College of Science and Technology, Hongik University -)

  • 박진원;황광진;조규남;백현덕
    • 공학교육연구
    • /
    • 제10권1호
    • /
    • pp.20-33
    • /
    • 2007
  • 본 논문은 지방에 소재하고 있는 공과대학에서 교수, 재학생 및 졸업생 등 공학교육 당사자들의 실무형 공학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여러 대학들을 조사하여 실무형 공학교육을 각각 기업 맞춤형, 전공 강화형, 기본소양 강화형 및 기타 등 4가지 형태로 분류하였고 이들에 대한 공학 교육 당사자들의 인식도를 조사한 것이다. 그리고 취업을 위해 어떤 교육 내용이 필요한가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응답자들은 실무형 공학교육을 기업 맞춤형 교육으로 가장 많이 이해하고 있었고 실무 적응을 위한 기본소양 강화 교육으로 인식하는 응답자도 상당수가 있었다. 신입사원 채용 시험에 교수와 졸업생은 인성, 품성 등이 가장 중요하다고 답한 반면 재학생은 전공 실력과 영어에 큰 비중을 두고 있었다. 이공계 학생으로 가장 부족하다고 느끼는 점은 졸업생과 재학생 모두 영어 능력을 들었으나 교수는 전공 실력 부족이라고 응답했다. 본 연구는 실무형 공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이를 위한 공학교육의 발전 방향을 유추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추출했다고 판단되나 실무형 공학교육에 대해 좀 더 세밀하고 광범위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섬유강화 복합재료의 전자파 차폐 기구물에 대한 적용에 관한 연구 (The Application of Fiber-Reinforced Composites to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Enclosures)

  • 박기연;이상의;이원준;김천곤;한재흥
    • Composites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1-6
    • /
    • 2006
  • 최근들어 고성능의 전자 장비들의 구조는 점점 복잡해지고, 이로 인해 발생되는 전자파 간섭(EMI) 및 적합성(EMC) 문제는 상업적으로나 군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자동차, 비행기, 디스플레이 산업 등에서 민감한 전자 장비들과 밀집된 시스템들은 전자기파로부터 보호될 필요성이 있다.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NT)가 첨가된 유리직물 복합재료와 전도성이 우수한 탄소복합재료를 차폐 물질로 제작하고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관심 주파수 영역은 $300MHz{\sim}1GHz$의 영역이다. 전도성 필러가 첨가된 유리직물 복합재료와 이것으로 이루어진 차폐 기구물의 차폐 특성은 3-D 전자기장 해석 툴을 사용하여 예측해 보았다. 탄소복합재료 기구물의 차폐 특성은 전자파 무반향실에서 측정되었다. 설계에 따라 -20 dB 이상의 전자파 차폐 효율을 보이는 기구물을 제작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조선 후기 도서 지역의 봉수 연구 - 강화도와 제주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Bongsu (Beacon Fire Sta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Ganghwado and Jeju Islands -)

  • 오신일;이왕훈;김영재
    • 건축역사연구
    • /
    • 제32권1호
    • /
    • pp.35-45
    • /
    • 2023
  • Bongsu(Beacon Fire Station) is a facility that sends signals with fire and smoke and has been used in Korea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This facility was installed to know the north and south crises. This trend continues until the Joseon Dynasty, and it has been somewhat completed in the 17th century. In previous studies, beacon fire was identified mainly from the border area to Hanyang. Based on this, it was classified into Gyeongbongsu, Yeonbyeonbongsu, and Naejibongsu.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beacon fire in coastal areas only with this classification. In the case of beacon fire in island areas, there was a tendency to value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in the region rather than connection with the capital. As a case analysis for this, an academic review was conducted with the cases of Ganghwa Island and Jeju Islan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role and character of the beacon vary depending on the defense system and the physical distance from the land, even if it has the topographical commonality of the same is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