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갱이

Search Result 103,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알칼리 공정으로 회수한 어육 단백질의 동결 안정성 (Frozen Stability of Proteins Recovered from Fish Muscle by Alkaline Processing)

  • 허성익;임형수;김종현;최영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903-907
    • /
    • 2006
  • 전갱이 회수단백질은 동결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잔여지질의 산화생성물도 크게 증가하였으며, 백조기와 전갱이 회수단백질의 갈변도는 저장 90일 이후에 크게 증가하였다. 일반세균의 수는 전갱이 회수단백질이 백조기 회수단백질에 비하여 높았으나, 시판 수리미에서 검출되는 생균수와 거의 일치하였다. 백조기 회수단백질 가열 젤의 파괴강도, 변형 값 및 백색도 값은 저장 120일까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은 반면, 120일동안 동결저장한 전갱이 회수단백질은 가열 젤을 형성하지 못했다. 가열 젤 형성능과 파괴강도 및 변형 값에 미루어 수산가공을 위한 중간소재로서 백조기와 전갱이 회수단백질의 동결저장 한계는 안정성을 고려할 때 각각 90일과 60일이 적당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제주도 연안 정치망 조업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I. 모형어구에 의한 각망과 낙망의 어획성능 비교 -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the Fishing System of Set Net in the Coast of Jeju Island - I. Comparative of Fishing Efficiency of Rectangular Set Net and Pound Net by the Model Net -)

  • 김종범;김석종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7권3호
    • /
    • pp.223-231
    • /
    • 2001
  • 제주도 연안 정치망의 어획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어구구조개량과 조업방식의 생력화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현재 제주도 연안 정치망 어장에 부설하여 조업을 행하고 있는 각망어구와 낙망어구의 어획성능을 비교하기 위해서 이들 실물어구를 1/30로 축소하고 제작한 모형어구를 이용하여 수조실험을 실시하고 고등어어군, 전갱이 어군, 독가시치 어군의 입·출망 행동을 관찰하고 해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어군의 입망율은 경과시간 60초일 때 각망어구에서는 고등어 50%, 전갱이 18%, 독가시치 28%였고, 낙망 어구에서는 고등어 70%, 전갱이 60%, 독가시치 30%였다. 2. 어군의 출망율은 경과시간 60초일 때 각망어구에서는 고등어 70%, 전갱이 40%, 독가시치 24%였고, 낙망어구에서는 고등어, 전갱이가 각각 0%, 독가시치가 3%였다. 3. 어군의 잔존율은 경과시간 60초일 때 각망어구 에서는 고등어 30%, 전갱이 60%, 독가시치 76%였고, 낙망어구에서는 고등어, 전갱이가 각각 100%, 독가시치가 97%였다.

  • PDF

넙치 Moist Pellet용 생사료 대체원으로서 어류가공부산물의 효과 (Availability of Fish Processing By-Procucts Substituted for Frozen Round Fish in Moist Pellet Diets for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강용진;이종윤;이상민;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27-142
    • /
    • 1992
  • 넙치 모이스트펠렛용 생사료 대체원으로서 어류가공부산물의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전갱이 (대조구), 참치자숙부산물, 참치내장, 가자미중골, 먹장어살 및 전갱이($30{\%}$) + 참치내장($20{\%}$)을 분말사료와 1 : 1 비율로 혼합한 모이스트팰렛 6종을 제조한 후, 평균체중 13.4 g의 넘치를 실내 수조에서 51 일(제I기 28 일, 제II기 23 일)간 사육하여 성장, 사료효율, 어체성분 등을 검토하였다. 사육실험 결과, 평균증중량은 전갱이+참치내장구, 먹장어살구 및 가자미중골구가 각각 75.6 g, 74.7 g 및 68.9 g으로 전갱이구의 73.2 g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참치내장구 및 참치자숙 부산물구는 대조구보다 낮았다. 일간성장률도 평균증중량과 같은 경향으로 참치내장구 및 참치 자숙부산물구를 제외한 각 실험구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사료효율은 전갱이+참치내장구, 가자미중골구 및 먹장어살구가 각각 $138.7{\%},\;136.4{\%}$$134.9{\%}$로 전갱이구의 $138.8{\%}$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참치내장구 및 참치자숙부산물구는 대조구보다 낮았다. 단백질과 에너지 효율도 사료효율과 같은 경향으로 참치내장구 및 참치자숙부산물구를 제외한 각 실험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성장 및 사료효율에 있어서 사육초기인 제I기에는 전갱이구가 부산물구보다 다소 높았으나, 사육기간이 경과한 제II기에는 부산물구가 전갱이구와 비슷하거나 다소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사육실험 후 실험어 전어체의 일반성분은 각 실험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간의 조지방 함량은 참치자숙부산물구가 $13.9{\%}$로서 타실험구($19.8\~22.8{\%}$)보다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먹장어살, 가자미중골 및 전갱이+참치내장을 넙치 모이스트펠렛용 생사료원으로 대체한 경우, 성장, 사료효율 및 영양성분 이용률이 전갱이와 비슷한 성적을 얻을 수 있었기 때문에, 사료원의 확보와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면에서 유용하였다.

  • PDF

낙동강 하구해역에서 채집된 전갱이(Trachurus japonic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Jack Mackerel , Trachurus japonicus , Collected from the Nakdong River Estuary)

  • 허성회;차병열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4권3호
    • /
    • pp.320-327
    • /
    • 1998
  • 1987년 2월부터 1988년 1월까지 낙동강 하구해역에서 채집된 전갱이(체장 4~15cm)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전갱이의 주요 먹이생물은 요각류(Copepoda), 단각류(Amphipods), 공쟁이류(Mysidacea)등의 갑각류였다. 특히 요각류가 위 내용물 중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았다. 그 외에 십각류(Decapoda), 난바다공쟁이류(eEuphausiacea), 모악류(Chaetognatha), 갯지렁이류(Polycheata), 어란 및 자어 등이 위내용물 중 소량 발견되었다. 요각류 중에서는 Paracalanus parvus, Acartia clausi 그리고 Calanus sinicus 가 많이 섭이되었는데, 특히 C. sinicus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전갱이가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조성이 점차 변하였다. 작은 전갱이들은 그들의 먹이를 요각류에 거의 전적으로 의존하였으나, 체장이 증가하면서 위내용물 중 요각류가 차지하는 비율은 점차 감소하였으며, 그 대신 비교적 큰 먹이생물인 단각류 및 곤쟁이류의 점유율은 점차 증가하였다.

  • PDF

동지나해의 해황과 선망어장의 분포$\cdot$변동에 관한 연구 1. 고등어$\cdot$전갱이 어장의 분포 (Studies on the Distribution and Fluctuation of the Purse-Seine Fishing Grounds in Relation to Oceanographic Conditions in the East China Sea 1 . The Distribution of Mackerels and Jack Mackerel Fishing Grounds)

  • 조규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39-252
    • /
    • 1981
  • 동지나해에 있어서 전갱이$\cdot$고등어 어장의 분포가 해황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가를 구명한다는 것은, 이들의 어황변동기구를 파악하는 데에 아주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된다. 그렇지만, 이제까지 동지나해에 있어서는 이들에 관하여 특정한 해역 혹은 기간을 대상으로 단편적인 연구는 있었으나, 해황이 어장분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그 실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우선 동지나해 및 일본해 서구에 있어서 대중형 선강무업에 의한 전갱이$\cdot$고등어류의 어획통계자료를 가지고 이들 어획양의 평균적인 분포(1968-1976) 실태를 상세히 검토하였다. 그 결과로서 다음과 같은 것이 명확하였다. 1. 1958율 이후의 '고등어류(주로 참고등어)'의 중요어장은 지나해 총면적의 약 $8\%$에 지나지 않는 일본해 (동해)의 사카이(경) 연안, 대마도 동쪽, 시라세(백광), 체주도 남서해에 이르는 대마난류역에 집중하여 있는 것이 밝혀졌다. 이들 해역의 어획양은 동지나해에 있어서 총어획양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1968율 이후의 '전갱이'의 중요어장은 시라세, 대마도 동쪽, 오도 남서해에 집중하여있었으며, 이들 어장의 어획양은 동지나해의 총어획양의 $54\%$를 차지하고 있다. 한편, 어획중이 매우 적은 해역은 총해, 중국연안, 시마네(도근)현연안, 동지나해 중부 중의 냉수역 및 흑조외측, 동해의200m 이심의 해역이었다. 2. 대마난류역의 각 어장에서는 '전갱이$\cdot$고등어류'의 어획양의 년변동이 비교적 작고 어황이 안정되어 있었으나, 동지나해 중부 및 서부, 구개 남서안, 총해역의 어장에서는 어획전의 변동이 컸다. 3. 조경주변에 있어서 '전갱이$\cdot$고등어'의 분포경형의 상위가 수온의 상달와 잘 대응하고 있는 것이 분명하게 되었다. 즉, '전갱이'는 주로 대마난류의 조경역의 진수용(수온 $15^{\circ}C{\sim}20^{\circ}C$)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고등어류'의 분포 중심은 약간 냉수측(수온 $13^{\circ}C{\sim}16^{\circ}C$)에 위치하고 있었다. 금후는 동지나해 및 일본해 서부에 있어서 선망어업에 의한 전갱이$\cdot$고등어유의 어획양 분포에 대한 계절적 경년적인 변동, 특히 환경조건과의 관련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PDF

한국산 전갱이과 어류 1 미기록종, Scomberoides lysan (First Record of the Doublespotted Queenfish, Scomberoides lysan (Perciformes: Carangidae) from Korea)

  • 김맹진;김준상;송춘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42-246
    • /
    • 2018
  • 농어목 전갱이과에 속하는 Scomberoides lysan 2개체(표준체장 334, 354 mm)가 2010년 9월 제주도 서귀포시 대포동의 정치망에서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이 종은 최근 우리나라에 보고된 가시전갱이(S. tol)와 형태적으로 유사하지만 주둥이 뒤쪽 끝이 눈의 말단에 이르며, 체측에 5~8개의 작은 검은색 반점들이 두 줄로 나열되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체측에 두 줄의 작은 반점을 가지는 형태적 특징에 근거해서 이 미기록종의 국명을 "두점줄가시전갱이"로 제안한다.

집어등에 의한 정치망에의 어군유도에 관한 연구 I . 백열등에 의한 어군의 유도효과 (A Study on the Leading Effect of Fish Attracting Lamps on Fish Schools into a Set-net - The Leading Effect of Incandescent Electric Light on Fish Schools -)

  • 박정식;김석종;김문관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3권4호
    • /
    • pp.311-320
    • /
    • 1997
  • 제주도 연안 정치망어장에 다량 내유아여 어획되고 있는 전갱이,고등어, 오징어를 실험어로 하여 백열등에 의한 어군의 유집효과와 어군의 유도 효과에 관한 실험을제주대학교 해양연구소 옥외 수조에서 실시한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백열등에 대한 전갱이, 고등어, 오징어 어군의 행동은 백열등에 잘 유집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백열등에 대해서 유집하는 적정조도와 반은행동은 어종에 따라 조금씩 다른 경향을 보였다. 2. 유도등을 한 등씩 순차적으로 점등후 소등하는 방법에 의한 전갱이, 고등어, 오징어어군의 행동양식은 어종에 따라서 약간 다르지만, 이들 어군을 목적지까지 유도할 수 있었다. 3. 유도등 3개를 모두 점등한 후 1번 등부터 순차적으로 한 등씩 소등하는 방법에 의한 전갱이, 고등어, 오징어 어군의 행동양식은 어종에 따라서 약간 다르지만, 이들 어군을 목적지까지 유도할 수 있었다. 4. 백열등의 이동에 의한 전갱이, 고등어, 오징어 어군의 행동양식은 어종에 따라서 약간 다르지만, 이들 어군을 목적지까지 유도할 수 있었다.

  • PDF

한국산 전갱이과 어류 1 미기록종, Decapterus tabl (A New Record of the Carangid Fish, Decapterus tail (Pisces, Carangid) from Korea)

  • 김용억;고정락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56-160
    • /
    • 1994
  • 1993년 4월 부산시 부산 공동어시장에서 채집된 전갱이과 어류 1개체가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에 1개의 작은 토막지느러미가 있는 점에서 전갱이아과 Caranginae에 속하는 종으로, 가라지속 Decapterus의 한국 미기록종인 홍기가라지(국명신칭) Decapterus tabl로 동정되었기에 이를 기재하였다. 본종은 상대적으로 측선이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측선의 경사 부위에 모비늘이 없으며, 측선 모비늘수가 34-48개이고, 두정부의 비늘은 안구의 중앙 뒤쪽까지 분포하고 있다. 또한 복추골에 2개의 측돌기공 및 꼬리지느러미가 적색인점 등이 동일 속의 다른 종들과 잘 구분된다.

  • PDF

냉풍건조에 의한 전갱이 조미 반건품(半乾品)의 제조 및 빙결점 동결 저장 중 품질안정성 (Preparation of Seasoned and Semi-dried Horse Mackerel by Cold Air Drying and Quality of Its Product during Partially Frozen Storage)

  • 양승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925-931
    • /
    • 1997
  • 전갱이의 조미 반건품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전갱이를 조미 반건조한 후 나일론+폴리에틸렌+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0.015/0.045/0.04\;{\mu}m)$의 적층필름으로 진공포장하여 빙결점 동결$(-3{\pm}0.5^{\circ}C)$ 저장하면서 저장 중의 품질변화를 비교 검토하였다. 전갱이 조미 반건품을 제조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건조온도 및 시간은 상대습도 $50{\pm}5%$, 풍속 2m/sec 조건에서 각각 $20^{\circ}C$ 및 4시간이었으며 진공포장제품의 저장기한은 42일이었고 비포장제품의 경우는 28일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