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 출산율

Search Result 6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Record Linkage를 통해 본 영아 사망 요인 분석

  • Lee, Han-Na;Lee, J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Health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121-125
    • /
    • 2005
  • 우리나라 영아 사망은 계속 감소를 보이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낮은 출산율이 최근 문제시되고 있다. 영아 사망률은 인구의 사회적 건강의 요인으로서 넓게 인식된다. 따라서 영아 사망률의 사인을 밝히는 것은 낮은 출생률에 대비하고 출생아가 건강한 성인으로 자라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서 중요한 연구가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Record linkage를 통해 2000년부터 2003년 까지의 출생 자료와 사망 자료를 통합하여 유아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관련 변수들을 보정한 상태에서 조산아의 유아 사망 위험비는 1.42(95%CI =1.25-1.63)로 나타났다. 그 외에 산모의 연령, 부모의 직업, 거주지역 등이 유의한 위험요인으로 나타났고 본 연구에서 저체중은 영아 사망의 위험 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성역할 고정관념과 일-가정 양립 갈등: 한중일 국제비교

  • Lee, Jeong-Eun;Yu, Hong-Jun
    • Korean Journal of Social Issues
    • /
    • v.18 no.1
    • /
    • pp.9-32
    • /
    • 2017
  • 이 연구는 동아시아 한중일 3개국을 대상으로, 낮은 출산율을 공통의 특징으로 하면서도 서구 선진사회들에 비해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가정 양립 지원 정책이 미비한 이유를 3개국에서 각기 다른 형태를 보이는 젠더레짐(gender regime) 개념을 통해 탐구하려고 하였다. 연구를 위한 분석대상 자료는 2012년 국제 사회조사(ISSP)의 '가족과 변화하는 젠더 역할 모듈(Family and Changing Gender Roles)'이다. 연구결과, 전통적 성역할 고정관념과 노동시간은 3개국 모두에서 일-가정 양립 갈등과 정적인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전통적 성역할 고정 관념과 노동시간, 연령대를 제외한 모든 영향요인은 한국에서만 차이를 보인 것도 특징이다. 한편 임금과 교육수준이 일-가정 갈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은 일-가정 갈등이 전체 사회 구성원들에게 보편적인 문제라는 점을 보여주었다. 연구의 결론에 따라 세 가지 정책 제안을 하였다. 일-가정 양립의 문제가 전통적 성역할 고정관념과 중요하게 연관된다는 점을 확인한 점은 이 연구의 중요한 의의이다. 연구의 역사가 긴 서구사회에 비해 관심의 주변부에 있던 동아시아 국가들 역시 젠더 레짐의 정책적 성격에 따라 분류될 수 있음을 밝힌 것도 의미가 있다.

Gender Preference and Sex Imbalance in the Population and Their Implication in Korea (한국의 성선호와 성비불균형 분석)

  • 박재빈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17 no.1
    • /
    • pp.87-114
    • /
    • 1994
  • 1950년대부터 많은 개발도상국가들은 가족계획을 위주로 하는 인구제어정책을 추진하여 왔다. 특히 가부장제도를 중심으로하는 동아시아 국가들에 있어서는 남아선호관이 출산력 저하나 피임 실천율이 증대에 지대한 유해요인으로 일관해 왔다. Sheps(1963)는 실증적으로 2명의 아들을 갖기 위해서는 약 3.9명 정도의 자녀를 두어야 한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한바 있다. 이와 같은 남아선호관의 여파에도 불구하고 한국과 홍콩은 1980년대 증반에 이미 1.6명 수준의 저출산율을 이룩하였으며, 1970년대에 인구억제 정책을 시작한 중국도 2명 수준으로 저하되어 가족계획사업의 성공사례로 평가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국가들의 출산율은 지난 20-30년이라는 짧은 기간에 너무나 급진적으로 감소된 반면에 남아선호관의 상존으로 인한 성비(여자 100명당 남자수)의 불균형을 초래하게 되였다. 한 예로 한국의 경우 1960년도만 해도 6명 이상의 자녀를 출산하는 과정에서 1-2명의 아들을 둘 수 있는 확률은 매우 높았으나, 최근에는 출산율이 2명 이하로 저하되어 아들을 둘 수 있는 확률은 과거보다 3-4배 어려워졌기 때문에 인위적인 방법으로 아들을 두는 부모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중국은 1970년대 중반기부터 강력히 추진되어온 소위 "한자녀 갖기 운동"으로 인하여 여아출산인 경우 영아살해 또는 출생의 미신고등 많은 사회적 물의를 야기하였고, 최근에는 초음파검사를통한 선택적 인공임신중절(태아가 여아인 경우)으 경우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우리 나라의 성비는 출산율이 급격히 감소된 1980년대 증반기부터 급격히 증가되었다. 즉 인구전체에 대한 성비는 1980년의 103.9명에서 1985년에 110명으로 증가하였고ㅡ 1990년 116.9명으로 증가되었다. 성비는 자녀의 수가 적을수록 높아지는 추세이다. 1991년 조사에서 출산을 종료한 부인의 경우 1자녀의 성비는 무려 206명이나 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한자녀를 원하는 부인이 아들을 둔 경우 1자녀에서 조산을 결심하기 때문인 것이다.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성비는 무엇보다도 자녀의 출산순위와 밀접하다. 1991년 출생신고자료의 경우 첫아이의 출생시 성비는 106.1명이고, 둘째아이가 112.8명이나, 셋째아이는 184.7명으로 크게 증가하고 넷째 이상의 경우는 212.3명이나 된다. 동일한 출산순위라도 이미 두고 있는 자녀의 성에 따라서 많은 차이를 보인다. 1991년도 3번째 출산의 경우 딸만 2명을 두고 있는 자녀의 성에 아들만 2명 또는 아들과 딸을 각각 1명씩 두고 있는 경우에 비해 높은 성비를 보이고 있다. 자녀를 출산하는데 있어서 처음에는 아들ㅇ르 기다리지만 딸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적극적으로 아들을 낳고자 하는 노력을 지속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즉 임신한 자녀의 성이 딸로 판명되면 인공임신중절을 통해 임신을 종결시키고 있음을 의미한다. 최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수행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이미 출생한 자녀의 성구성은 임신결과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변수로 부각되고 있다. 즉 임신이 인공임신중절로 귀착되는 확률은 부모가 이미 아들을 두고 있는 경우에 일관성 있게 증가되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남아선호관은 임신결과를 결정할뿐 아니라 선택절 인공임신중절에 의한 성비의 불균형을 초래하는 주요 변수로써 할거되었다. 특히 피임실천이 보편화되고 선택적 인공임신중절의 이용이 손쉬운 현대사회에 있어서는 남아선호관이 출산력 저하에 저해요인으로서가 아니라, 인위적이던 자연적이던 간에 아들만 두면 단산하는 현행의 출산풍토하에서는 남아선호관이 오히려 출산력저하에 결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하겠다. 태아의 성 판별을 통한 선택적 인공임신중절의 건수는 1990년 한해에 약 20,000건 정도가 되고, 1986-1990년 사이에 총 80,000건으로 추정된다. 이 수치는 출생한 여아수의 5%에 해당한다. 현재 출생시 성비의 불균형은 연간 총출생수의 10% 미만에 불과한 3번째 이상의 출산에서 발생되고 있기 때문에 인구학적인 측면에서는 큰 문제가 아니다. 그러나 앞으로 출산율의 감소와 더불어 선택적 인공임신중절이 년간 출생수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둘째, 첫째출산순위로 확산된다면 성비의 불균형은 급진적으로 가속화되어 전통적 결혼관습의 재연등 인간의 생태계를 파괴하는 새로운 차원에서의 사회인구학적인 문제가 야기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성비의 불균형을 초래하는 근본적인 원인은 우리 나라으 전통적인 의식구조인 남아선호관의 상종과 최신의 의료기술에 의한 선택적 인공임신중절에 기인된 것이기 때문에 이를 시정하기 위한 제반 사회제도적 극복정책은 지속적으로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되어야 할 것이다.

  • PDF

The Marriage Stewardship and the Role and Status of Social Development Network in Singapore (결혼 책임주의와 싱가포르 Social Development Network의 역할과 위상)

  • Kim, Myung-Hee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1
    • /
    • pp.143-149
    • /
    • 2018
  • This paper focuses on how Singapore has adopted the 'Marriage Promotion Policy' for resolving the low birthrate and how it has been using the Social Development Network (SDN) to cope with the problem of low fertility. Social Development Network is an organization that shows Singapore's national stewardship to marriage, and has developed from the beginning to the social phenomenon of increasing number of highly educated women and decreasing fertility. The predecessor of Social Development Network is 'Social Development Unit' (SDU), absorbed the 'Social Development Service' (SDS) that was launched later, and reborn as Social Development Network in 2009. At its inception, Social Development Network has been recruiting and organizing its own memberships without the help of commercial marriage agencies, and since 2006 has been dedicated to delegating dating and matchmaking services to private companies and supporting projects. The purpose of this paper using literature analysis is to analyze the status and role of Social Development Network from the theoretical point of view of marital stewardship to the present, and to suggest meaningful implications for Korea which has the same social experience.

ART Outcomes in WHO Class I Anovulation: A Case-control Study (저성선자극호르몬 성선저하증 여성에서 보조생식술의 임신율)

  • Han, Ae-Ra;Park, Chan-Woo;Cha, Sun-Wha;Kim, Hye-Ok;Yang, Kwang-Moon;Kim, Jin-Young;Koong, Mi-Kyoung;Kang, Inn-Soo;Song, In-Ok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7 no.1
    • /
    • pp.49-56
    • /
    • 2010
  • Objective: To investigate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 outcomes in women with WHO class I anovulation compared with control group. Design: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Methods: Twenty-three infertile women with hypogonadotropic hypogonadism (H-H) who undertook ART procedure from August 2003 to January 2009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 total of 59 cycles (H-H group) were included; Intra-uterine insemination with super-ovulation (SO-IUI, 32 cycles), in vitro fertilization with fresh embryo transfer (IVF-ET, 18 cycles) and subsequent frozenthawed embryo transfer (FET, 9 cycles). Age and BMI matched 146 cycles of infertile women were collected as control group; 64 cycles of unexplained infertile women for SO-IUI and 54 cycles of IVF-ET and 28 cycles of FET with tubal factor. We compared ART and pregnancy outcomes such as clinical pregnancy rate (CPR), clinical abortion rate (CAR), and live birth rate (LBR)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ean age ($32.7{\pm}3.3$ vs. $32.6{\pm}2.7$ yrs) and BMI ($21.0{\pm}3.1$ vs. $20.8{\pm}3.1kg/m^2$) between two groups. Mean levels of basal LH, FSH, and $E_2$ in H-H group were $0.62{\pm}0.35$ mIU/ml, $2.60{\pm}2.30$ mIU/ml and $10.1{\pm}8.2$ pg/ml, respectively. For ovarian stimulation, H-H group needed higher total amount of gonadotropin injected and longer duration for ovarian stimulation (p<0.001). In SO-IUI cycl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CPR, CAR, and LBR between the two groups. In IVF-ET treatment, H-H group presented higher mean $E_2$ level on hCG day ($3104.8{\pm}1020.2$ pg/ml vs. $1878.3{\pm}1197.7$ pg/ml, p<0.001) with lower CPR (16.7 vs. 37.0%, p=0.11) and LBR (5.6 vs. 33.3%, p=0.02) and higher CAR (66.7 vs. 10.0%, p=0.02)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However, subsequent FET cycl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CPR, CAR, and LBR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H-H patients need higher dosage of gonadotropin and longer duration for ovarian stimula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s. Significantly poor pregnancy outcomes in IVF-ET cycles of H-H group may be due to detrimental endometrial factors caused by higher $E_2$ level and the absence of previous hormonal exposure on endometrium.

The Effects of Maternal HBs antigenemia on the Neonatal Health (산모(産母)의 B형 간염(肝炎) Virus 보유(保有)가 신생아(新生兒) 건강(健康)에 미치는 영향(影響))

  • Park, Jung-Han;Yoon, Sung-Do;Kim, Chang-Youn;Lee, Sung-Kwan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v.17 no.1
    • /
    • pp.47-55
    • /
    • 1984
  • To study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maternal HBsAg carrier and the effects of maternal HBs antigenemia on the neonatal health, sera of 729 pergnant women admitted to the Keimyung University Hospital for delivery during the period of February 1-May 30. 1982 were tested for HBsAg by RPHA method and for anti-HBs by PHA method. Among them 43 women (5.9%) had HBsAg and 246 women (33.7%) had anti-HBs giving an infection rate of 39.6%. The interview data for 43 HBsAg positive mothers and randomly selected 210 HBsAg negative mother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acupuncture history and HBsAg positive rate (p<0.005) which suggest that acupuncture might have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propagation of viral hepatitis in Korea. The living standard of HBsAg positive mothers was generally lower than that of HBsAg negative mothers which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environmental factors are associated with viral hepatitis B infection. None of the 43 neonates born to HBsAg positive mothers had HBsAg in their cord blood. Three months after birth, 35 out of 43 infants were retested and only one infant became HBsAg positive. At six months of age, 32 out of 35 infants were retested and none of them were HBsAg positive except the same infant who was positive at three months. Among 20 control infants of HBsAg negative mothers, all of them were HBsAg negative at three and six months follow-up. These findings are not consistent with the supposition that perinatal infection is a main route of viral hepatitis B transmission in south-east Asia including Korea. HBsAg positive mothers had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premature delivery (27.9%) than HBsAg negative mothers (11.7%) (p<0.05). Also, the low birthweight incidence rate was higher among HBsAg positive mothers (23.3%) than negative mothers (14.1%) but th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16). The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was more frequent among HBsAg positive mothers (25.5%) than negative mothers (11.1%) (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illbirth rate and incidence of congenital anomalies between HBsAg positive and negative groups. It was not clarified in this study due to small sample size whether higher incidence of premature delivery and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among HBsAg positive mothers was due to HBs antigenemia per so or their lower living standard than HBsAg negative mothers.

  • PDF

Individual Values on Childbirth and Social View on Childbirth Encouragement Policy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치관과 출산장려정책에 대한 사회적 인식)

  • Shin, Hyo-Young;Bang, Eun-Ryoung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47 no.10
    • /
    • pp.123-136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childbirth encouragement policy is actually helping those childbirth, and also discuss the possible directions of this policy to unfold in the future, should take. For this, We have surveyed 412 married and 437 unmarried men and wome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dividual values that influence childbirth, From these respondents and we interviewed and surveyed recipients of grants (244people), administrative officers in charge (41people), and experts (34people) to investigate their social view on the Korean government's impa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most of the people (unmarried 70.3%, married 69.1%) surveyed said that important life objectives for them. Secondly, most of the people(male 44.4%, female 73.8%) surveyed said that once married shied away from having babies, (a) due to the finance and childcare burden is heavy of running a family while both parents are fulltime employed (b) because it is difficult to get pregnant due to health problems, and (c) foremost because having several children exacerbates their financial burden. Thirdly, grant recipients(75.4%), administrative officers in charge(65.9%), and experts(53.0%) all said that childbirth encouragement policy currently being implemented has little impact on their childbirth. Finally, it was established that the incentives to encourage childbirth is best suited for individuals that favor having many children.

Women's Workplace Type Impact on Second Birth (여성의 직장유형이 둘째 자녀 출산에 미치는 영향)

  • Jeong, Daegyu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3
    • /
    • pp.1-8
    • /
    • 2022
  • In Korea,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from a rural society to an industrial society, the opportunities for women's economic participation increased relatively. As a result, the marriage age of women increased, and it was recognized that the economic opportunity cost of married women and their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lead to low birthrates. In particular, it is time for an empirical analysis to determine whether workplace types affect the fertility rate. To this end, we analyzed the effect of workplace type on fertility using the labor panel data from 2003 to 2018. The results are as foll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as drawn when unemployed women were compared with women employed in the private sector.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when comparing unemployed women with women working in the public sector.

A Study on the Adjustment of School Life for Youth of Multicultural Families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 Son, Myoung-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145-146
    • /
    • 2020
  • 최근 급증하고 있는 다문화사회에서 다문화 가정의 가족 구성원의 안정적인 상태로의 정착과 특히 그 자녀들이 '건강하고 행복한 한국인'으로 동반 성장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현재 주요 과제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한국의 저출산율은 사회를 구성하는 문제와 인구 노동력 감소로 이어져 국력까지 약화시킨다. 이를 해소할 방안 중 하나로 외국인들을 부족한 한국사회의 인구로 보충하는 것이다. 다문화 가정을 통한 자녀 출산과 그 자녀들로 하여금 성인인구를 늘리는가 하면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올바른 성장과 건강하고 행복한 한국인이 될 수 있도록 돕는 일이 우리 한국의 심각한 사회적 상황을 안정적으로 잘 지탱할 수 있는 길이다. 무엇보다도 감정의 기복이 심한 청소년기를 겪고 있는 다문화 가정의 청소년들의 학교생활적응과 관련된 연구의 필요성은 매우 중요한 역역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생활적응에 중요한 작용을 하고 도움을 줄 수 있는 연구들의 필요성에 관한 방안들을 모색하고 향후 연구에 적용함으로써 학교생활에 대한 적응력을 높일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 PDF

GnRH Antagonist Versus Agonist Flare-up Protocol in Ovarian Stimulation of Poor Responder Patients (저 반응군의 체외수정시술을 위한 과배란유도에 있어 GnRH Antagonist 요법과 GnRH Agonist Flare Up 요법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

  • Ahn, Young-Sun;Yeun, Myung-Jin;Cho, Yun-Jin;Kim, Min-Ji;Kang, Inn-Soo;Koong, Mi-Kyoung;Kim, Jin-Yeong;Yang, Kwang-Moon;Park, Chan-Woo;Kim, Hye-Ok;Cha, Sun-Hwa;Song, In-Ok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4 no.2
    • /
    • pp.125-131
    • /
    • 2007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GnRH antagonist and agonist flare-up treatment in the management of poor responder patients. Methods: One hundred forty-four patients from Jan. 1, 2002 to Aug. 31, 2005 undergoing IVF/ICSI treatment who responded poorly to the previous cycle (No. of oocyte retrieved$\leq$5) and had high early follicular phase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12 mIU/ml were selected. Seventy-five patients received agonist flare-up protocol and 71 patients received antagonist protocol. We analyzed the number of oocytes retrieved, number of good embryos (GI, GI-1), total dose of hMG administered, implantation rate, cycle cancellation rate, pregnancy rate, live birth rate. Results: The cancellation rate was high in antagonist protocol (53.5% vs. 30.1%). The number of oocyte retrieved, the number of good embyos were high in agonist flare-up group.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GnRH agonist flare up protocol and GnRH antagonist protocol in implantation rate (14.5%, 10.1%), clinical pregnancy rate per transfer (29.4%, 21.2%) and live birth rate per transfer (21.6%, 18.2%). Although the resul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GnRH agonist flare up group showed a nearly doubled pregnancy rate and live birth rate per initial cycle than GnRH antagonist group. Conclusions: The agonist flare-up protocol appears to be slightly more effective than the GnRH antagonist protocol in implantation rate, pregnancy rate, live birth rate but shows statistically no significance. Agonist flare-up protocol improved the ovarian response in poor responders. However, based of the result of the study, we can expect improved ovarian response in poor responders by GnRH agonist flare up protoc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