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탄소 도시개발

Search Result 29,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기획특집 - 미래형 도시, 꿈꾸는 탄소 제로도시 개발

  • 환경보전협회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s.389
    • /
    • pp.8-24
    • /
    • 2010
  • 도시생활과 관련된 교통 주택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43%를 차지하고 있어 도시에서의 온실가스 저감대책 마련이 시급하며, 저탄소 녹색성장의 시대적 요구에 따라 기후변화 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이 필요한 실정이다. '저탄소 녹색도시'는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의 주요 원인인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획기적으로 감축하고, 지속가능한 도시기능을 확충하면서 자연과 공생하는 도시를 말한다. 최근의 '저탄소 녹색도시'는 기존의 녹색도시와 또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자원순환과 신재생에너지원의 도입을 주장하고, 탄소상쇄를 위한 에너지 및 자원절감 전략을 중요시 하고 있다. 선진국에서는 이미 주거단지내 소비되는 난방과 전력은 단지내에서 생산되는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하고 있으며, 모든 주택의 지붕위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고 단지 내 열병합 자가발전소에서 산업폐기물을 소각하여 에너지를 생산함으로써 제로 에너지(Zero Energy)를 실현하고 있다. 선진국 뿐 아니라 전 세계의 이목이 '저탄소 녹색도시'에 집중되고 있으며 저탄소 녹색도시를 조성해야 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의무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20년 그린홈 100만호 보급을 목표로 주택분야 보급가능 신재생 에너지원을 태양열, 지열, 소형풍력, 연료전지 등으로 다양화하여 안정적 보급 기반을 확보해 가고 있다. 녹색도시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저탄소 주택, 저탄소 에너지, 녹색교통, 생태녹지, 물 및 자원순환등 핵심요소들의 적용방안이 검토되어져야 한다. 이에 본지에서는 "저탄소 녹색도시의 해외사례와 국내 적용방향", "그린홈 100만호 보급사업 그간 성과와 발전방향", "온라인 전지자동차의 기술 개발 동향" 내용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PDF

Urban Planning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and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in Korea (기후변화대응 도시계획과 전략환경평가)

  • Lee, Jong Ho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0 no.6
    • /
    • pp.937-952
    • /
    • 2011
  • 정부는 지구온난화로 인해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세계적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2010년 1월)을 제정하여 저탄소 녹색성장을 추진하고 있다. 저탄소 녹색성장은 신재생에너지, 탄소배출권 거래제도, 5+2 광역권개발정책, 저탄소 녹색도시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저탄소 녹색도시계획 및 이에 대한 전략환경평가의 동향을 고찰하고, 저탄소 녹색도시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 관련 연구를 고찰한 후, 환경부의 사전환경성검토 업무매뉴얼의 도시계획의 환경성제고 방안과 국토해양부의 전략환경평가 업무처리규정, 도시계획수립지침,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을 위한 도시계획수립지침(2009), 저탄소 녹색도시계획 표준모델(2010), 녹색도시개발계획 등을 포함하면서 개정된 도시개발업무지침(2011)이 도시계획에 제대로 반영되는지를 검토하고, 외국의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전략환경평가를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후변화 대응 도시계획의 내용은 저감방안과 적응방안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 데, 저감방안은 경제적 및 기술적으로 한계가 있으므로, 향후 전략환경평가는 저감방안과 함께 적응방안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둘째, 기후변화 대응(저감과 적응)을 위해 전략환경평가의 목표와 지표를 설정한다. 셋째, 국토해양부의 상위계획(광역도시계획과 도시기본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와 환경부의 하위계획(도시관리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의 긴밀한 연계가 필수적이다. 넷째, 전략환경평가는 도시기본계획 수립 후에 이뤄지는 독립된 과정이라기보다는 도시기본계획 수립과정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장기적으로는 도시기본계획과 도시환경계획을 연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A study on Integrating Strategy of Low-carbon Urban Planning System (탄소저감 도시계획 시스템의 통합화 방안 도출 연구)

  • Park, Chan Ho;Kim, Bum Seok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1 no.2
    • /
    • pp.99-106
    • /
    • 2013
  • Through the rapid economic growth, modern society have achieved the industrialization but needed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and low-carbon green growth on a scale of urban area. Many studies about the low-carbon city and the green city are on going, but most of them are not integrated but go along in each area(construction, transportation, energy, etc) In this paper, we surveyed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es about information system to design low-carbon city or green city, and define the method to integrate the outcomes from the each area. As a result integrated model of 'Low-carbon Urban Planning integrated System' in the paper, Individual system is developed by way of C/S form because web system raised problems for data load in analysis. The integrated system was decided to develop by way of Web form, and integrated system was developed by can use the analysed DB in the individual system. We expect this study can help future researches to develop more economical and efficient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model to design the low-carbon city and the green city.

A Case Study on Development of Low-Carbon City against to the Climate Change : With a Focus on Pyeongtaek Sosabul-district CDM Project (기후변화에 대응한 저탄소 도시개발 사례분석 : 평택소사벌지구 CDM 사업을 중심으로)

  • Yun, Seong-Ho;Lee, Gyu-Hae;Park, Hojeong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 /
    • v.3 no.2
    • /
    • pp.143-151
    • /
    • 2012
  • This study analyzes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and domestic-foreign support policy for renewable, also confirms the need for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o minimize adverse impacts on the environment. Main source of greenhouse gas emissions leading to global warming needs to be resolve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renewable energy system by developing low-carbon city. Case studies show the directions for practical response to climate change on the basis of introduction of renewable energy. This case studies can be served as the base model that reduces greenhouse gases with the introduction of renewable energy facilities in the new land development project and obtains economic benefits from CDM project.

Analysis of Carbon Emissions and Land Use Change for Low -Carbon Urban Management - Focused on Jinju (저탄소 도시관리를 위한 탄소배출과 토지이용변화 분석 -진주시를 중심으로-)

  • Eo, Jae-Hoon;Kim, Ki-Tae;Jung, Gil-Sub;Yoo, Hwan-Hee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8 no.1
    • /
    • pp.129-134
    • /
    • 2010
  • Low-carbon Green Growth is highlighted as the main political issue from in and outof Korea. Recently Korean government announced the vision for low-carbon green growth. Considering this as a starting point the carbon emission estimation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in the city planning. In order to realize the carbon reduction planning, this research was focused on the trend analyzes between the carbon exhaust estimation as well as the land use change for the past 40 years in Jinju. The image processing data of past aerial photography and the land suitability assessment databases were used to collect the useful information's for the land trend analysis for 40 years. As the results, the land use changes by new residential developments have led to increase the carbon emissions and population concentration rapidly. The urban management planning for low carbon and green growth should consider carbon emissions by population growth derived from land use change. Further research need to estimate the accurate carbon exhaust using relationship model with fuel consumption, carbon estimation, and land use.

The Comparative Analysis on Critical Planning Methods and Application Condition of Low-carbon Green City (저탄소 녹색도시의 주요 계획기법과 적용실태 비교분석)

  • Jeon, Woo-Seon;Lee, Eunghyun;Oh, Deog-Se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4
    • /
    • pp.2491-2502
    • /
    • 2014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ain fields and methods to create a low carbon green city. Through the findings, we hope to figure out the matters that must be focused on in order to realize a low carbon green cit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we organized the main fields and methods of fulfilling this accomplishment by taking a look at recorded documents and past studies related to the creation of low carbon green cities and related concepts. Then a FGI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examine suitability and deduct a planning technique. Also, through professional surveys and AHP analysis, we figured out the importance of planning techniques to understan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planning a low carbon green city. We also selected domestic and foreign cases, analysed the actual conditions of applying the deducted planning techniques, and compared the importance of planning techniques in order to see the difference between our plans and real results. 15 planning techniques were deducted and divided into 5 groups. The importance analysis and case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 to be the main elements in planning the creation of a low carbon green city: compact high-density development, a traffic system revolving around pedestrians, active utilizat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and establishment of a recycling system for waste.

The Urban Water Cycle Planning Elements and Hydrologic Cycle Simulation for Green City (녹색도시 물순환 계획요소 및 수문순환 모의)

  • Lee, Jung-Min;Kim, Jong-Lim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3 no.3
    • /
    • pp.271-278
    • /
    • 2012
  • The climate change and global warming has been a world-wide issue. Also, the green growth has been a widely adopted strategy for national and regional development. In particular, after the Kyoto Protocol to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was declared, the low carbon society was inevitable phenomenon. The hydrologic cycle in urban catchment has been changed due to the expansion of impervious area by rapid urban development. This paper has examined the Water cycle planning elements for green city in the scale of urban planning as well as site planning including housing site. In this study, the SWMM5-LID (Storm Water Management Model5-LID) model was used to simulate the hydrologic cycle of the test catchment as a typical urban catchment. We performed continuous simulation on urban runoff before and after the development of the test catchment and after the installation of Green city planning Elements.

에코피플 - 새로운 녹색바람! 기분좋은 변화! "살기좋은 환경.복지 도시건설에 앞장"

  • 환경보전협회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s.383
    • /
    • pp.2-6
    • /
    • 2009
  • 오산시는 무한성장 잠재력을 지닌 수도권 남부측의 중심도시로서 최근 들어 역동적인 도시로 급속도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본지에서는 지난 8월 6일 환경 복지 도시건설에 앞장서고 있는 이기하 오산시장을 만나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비한 오산시의 주요 환경정책 현황에 대하여 이야기를 들어봤다. 이기하 오산시장은 환경기사(수질) 자격증을 취득했을 만큼 환경에 대하여 많은 관심과 남다른 철학을 지니고 있었으며 전국 최초로 모든 환경기초시설을 집적해 놓은 환경타운을 조성하였다. 이 외에도 택지개발, 산업단지 확장 조성과 일자리창출, 서민생활 안정대책 등을 위해서도 많은 시정을 펼치고 있다.

  • PDF

A Study on Water Quality Management on Urban Water Circulating System in the New City (신도시 내 물순환시스템 구축 및 수질관리 연구)

  • Ahn, Chang-Hyuk;Joo, Jin-Chul;Kwon, Jae-Hyeong;Song, Ho-Myeon;Ahn, Ho-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43-743
    • /
    • 2012
  • 최근 국내에서는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의 일환으로 도시의 환경오염과 기후변화의 문제의 원인이 되고 있는 탄소 배출을 억제하고 고유가 시대에 에너지저감을 동시에 고려하는 저탄소 도시 조성을 통해 기후변화 시대에 대응을 추진하고 있다(국토해양부, 2009). 이러한 결과로 최근 도시내 물순환시스템(urban water circulating system or blue-network)의 구축이 요구되며 이는 자연의 생태 기능을 복원하고 오염부하를 저감하여 도시 환경의 건강성과 지속성 향상에 기여한다. 이러한 도시물순환시스템은 시민의 휴식 및 문화 공간, 도심열섬현상 완화, 재해방지, 생물서식공간(biotope) 제공 등의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도 탄소배출 감소, 우수 저류공간 확보, 지하수위 유지, 비상용수 확보, 대기오염물질의 집진제거, 습지보전 및 생물종 다양성 확보 등의 주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도심의 재개발 또는 신도시 개발 시 도시 어메니티(amenity) 증진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3; 한국토지공사 2003). 남한산성을 포함하는 청량산 계곡수를 발원지로서, 공간적 범위는 장지천과 창곡천을 따라 약 3.5 km 서쪽으로 흘러 탄천에 이르기까지의 물길축(blue-network)를 기반으로 하며 총면적은 $6.8km^2$ 으로 서울, 성남, 하남의 3개 행정구역에 걸쳐있다. 내용적 범위는 현황조사(개발 컨셉, 하천분포현황, 인접지역 연계, 수질), 수량 및 수질 확보방안(물수지분석, 다중 수원 확보방안, 목표수질 설정, 부영양화 가능성 평가), 물순환시스템 구축(소하천 등과 연계 방안), 유지관리 방안의 순서로 진행하여 기본계획을 도출하였다. 현황조사 결과 본 사업대상지는 장지천, 창곡천, 학암천 등 3개 소하천이 서쪽의 탄천과 연결되어 있으며 동쪽은 산지로 청량산이 인접하기에, 주변 자연지형을 최대한 고려하여 물순환시스템을 계획하였다. 하천 유량은 기존 환경영향평가서, 하천 연계방안, 신도시 조성 관련기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하류에서 각각 장지천 $10,087m^3/d$, 창곡천 $7,103m^3/d$, 복우천 $5,530m^3/d$ 의 유지용수량을 산정하였다. 도시 친수공간 확보와 어메니티 향상을 위해 지구내 수로(휴먼링)을 조성하여 장지천, 창곡천과 연계하였으며 주요 유지용수는 저탄소 녹색도시 건설에 부합하도록 우수을 활용한 함양지 및 계곡수로 조성 계획하였다. 또한, 인접한 장지천 및 창곡천 등 소하천은 지속적인 유량공급 및 양질의 수질을 확보하기 위해서 하상여과수를 검토 후 제안하였다.

  • PDF

The Research about Map Model of 3D Road Network for Low-carbon Freight Transportation (저탄소 화물운송체계 구현을 위한 3차원 도로망도 모델에 관한 연구)

  • Lee, Sang-Hoo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0 no.4
    • /
    • pp.29-36
    • /
    • 2012
  • The low-carbon freight transportation system was introduced due to increase traffic congestion cost and carbon-dioxide for global climate change according to expanding city logistics demands. It is necessary to create 3D-based road network map for representing realistic road geometry with consideration of fuel consumption and carbon emissions. This study propose that 3D road network model expressed to realistic topography and road structure within trunk road for intercity freight through overlaying 2D-based transport-related thematic map and 1m-resolution DEM. The 3D-based road network map for the experimental road sections(Pyeongtaek harbor-Uiwang IC) was verified by GPS/INS survey and fuel consumption simulation. The results corresponded to effectively reflect realistic road geometry (RMSE=0.87m) except some complex structure such as overpass, and also actual fuel consumption. We expect that Green-based freight route planning and navigation system reflected on 3D geometry of complex road structure will be developed for effectively resolving energy and environmental probl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