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층냉수

Search Result 73,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Structure and Dynamics of the Cold Water in the Western Channel of the Korea Strait (대한해협 서수도 냉수의 구조와 역학)

  • Cho, Yang-Ki;Kim, Kuh;Kim, Young-Gy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9 no.3
    • /
    • pp.132-139
    • /
    • 1997
  • CTD and current observation were taken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of the cold water in the Western Channel of the Korea Strait in October 1993. Thickness of the cold water in the deep trough of the strait changes from 20 m to 70 m according to the water depth. Thermocline between the Tsushima Warm Water and the cold water deepens from north to south with 0.00057 in slope. Temporal variation of the thickness appears to be related with the tidal current. The maximum variation is 20 m for 48 hours. Mean velocity of the cold water for 72 hours is 17 cm/sec southward. A simple model was used to understand dynamically the southward flow of the cold water and the return flow at the upper part in the lower layer. Calculated maximum southward flow and eddy viscosity coefficient are 7 cm/sec and 0.038 $m^2$/sec respectively in the model. Southward transport is $0.032$\times$10^6㎥/sec$ at the northern part in the trough and decreases from north to south due to the presence of the return flow. Southward transport increases with the increase in the upper layer transport but is not affected by the density of the upper layer or the interface slope.

  • PDF

Note Sur Les Chaetognathes Indicateurs Planctoniques Dans La Mer Coreenne En Hiver 1967 (동계 한국근해의 수괴지표성 모악류)

  • Park, Joo Suck
    • 한국해양학회지
    • /
    • v.2 no.1_2
    • /
    • pp.34-41
    • /
    • 1967
  • 1. 아한대수의 전형적 지표종인 Sagitta elegans는 동해에서 대마난류축을 제외 하고는 전역에 균등히 분포하고 있으며, 표층 및 수직채집상으로 보아 감포동남방 57리 지점의 다수출현은 잠류남하하는 한류 및 저층냉수의 용승에 기인함을 실증하고 있으며, 한류의 이동은 외양에서는 축산원해에서 표면 이하로 잠류남하하는 것으로 본다. 2. Sagitta bedoti는 전역에 걸쳐, 난류 및 중간수역에서 광범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남해측에는 난류역을 피하고 제주서남방 및 서측에 풍부함으로서 냉수역 및 중간수대의 지표종이 되고 있다. 한편 난류성인 Sagitta enflata, Sagitta minima 와 Sagitta serratodentataa, Pterosagitta drace 등은 서해를 제외하고는 광범한 분포상을 시현하고 있으나 특히 남해에서는 난류주류역에 우세하였다. 생태상으로 보아 Sagatta enflata는 순표층성인데 반하여 Sagatta minima는 중층성으로서 난류의 강약 및 유동을 지표하는 종류로서 가치가 크다고 본다. 3. Sagitta crassa는 서해수의 지표종이며 동해 및 제주서남방에 대량출현하여 저철연안수의 특유한 지표역으 맡고 있다.

  • PDF

진도군 주변해역의 새우조망 어획물의 종 조성과 계절변동

  • 장대수;김영혜;오택윤;고정락;차형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10a
    • /
    • pp.358-359
    • /
    • 2001
  • 우리나라 남해 서부 해역에 위치한 진도군 해역은 동부는 남해, 남부는 제주해협과 인접한 다도해로서 그 수심은 50m내의로 말은 천해역을 이루고 있다. 이 해역은 황해저층냉수, 황해난류수, 한국 남ㆍ서 연안수, 양자강 희석수 등 계절에 따라 이들 수계의 영향을 받고 있어 이들 수계간에 형성되는 조경역의 변동이 어장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한편, 부어류의 호어장을 형성한다(Gong and Cho, 1972). 또한 년도별 계절별 해황의 변동과 황해저층냉수의 소장에 따라 갈치, 삼치, 병어 등 주요 수산자원의 풍흉에 영향을 미치는 해양 환경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중략)

  • PDF

Some Important Summer Oceanogaphic Phenomena in the East China Sea (夏季 東支那海의 重要한 海洋學的 現象들)

  • 박영형
    • 한국해양학회지
    • /
    • v.20 no.1
    • /
    • pp.12-21
    • /
    • 1985
  • In this paper, the most important oceangraphic phenomena of the summer season in the East China Sea are reviewed. The hydrographic conditions in the suface layer above the seasonal thermocline are under great influence from solar heating, fresh water runoff mainly from the Yangtze River, and summer wind fields. In the lower layer below the thermocline, several distinct water masses e.g. the Kuroshio surface water, the Western North Pacific Central Water and the Yellow Sea Bottom Cold Water are intruded in response to the adjustment of the field of mass to the various dynamical processes. The frontal mixing between the intruded Yellow Sea Bottom Cold. Water and the Western North Pacific Central Water takes place in the bottom layer over the continental shelf south off Cheju Is. This mixed water probably has mush influence on the water properties of the intermediate and bottom layer around Cheju Is. and the south coast of Korea.

  • PDF

Distribution of Benthic Molluscs in Soft Bottom of the Southern Sea of Korea (남해 연성저질에 서식하는 연체동물의 분포)

  • Je, Jong-Geel;Chang, Man;Park, Heung-Sik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7 no.1
    • /
    • pp.30-48
    • /
    • 1991
  • 한국해역 종합 해양자원도 작성연구(남해)의 일환으로 저서생물 분포 연구를 위한 조사가 1990년 7월과 8월에 남해에 위치한 83개 조사정점에서 수행되었다. 각 정점에서 van Veen그랩으로 3회씩 채집된 저서 생물 표본 가운데 연체동물만을 선별 그들의 분포 양상을 파악하고자 종 동정과 함께 군집구조 분석을 하였다. 조사에서 채집된 연체동물은 모두 679개로 다섯개 강에 102종으로 동정되었으며, 이매패류가 출현종수(84.3%)에서나 출현개체수(92.3%)에 있어서 절대우점하였다. 전체 연체동물군집에서 우점하는 일곱 종(이매패류 여섯 종, 무판류 한 종)이 전체 출현개체수의 61.0%를 차지하였다. 남해의 연체동물은 종은 다양한 반면에 서식밀도나 생물량은 매우 빈약하였다. 출현종의 서식 유무에 따른 유사도로써 집괴분석한 결과 다섯개의 조사정점군으로 나누어지고, 이 들은 특징적인 분포 특성을 갖는 두 정점군과 혼합된 특성을 나타내는 세정점군으로 대별되었다. 전자의 두 정점군은 Raetellops Pulchella와 Periploma otohimeae로 대표되는 황해의 저층냉수의 영향을 받는 세립퇴적물 군집과 뚜렷한 대표종은 없지만 대마난류의 영향을 받는 이질성의 조립퇴넉물 군집으로 정의할 수 있었다. 대마난류의 영향을 받는 정점군의 군집은 황해저층냉수의 정점군에 비해 종 다양도는 높지만, 서식생물량은 현저히 적었다. 아울러 연체동물의 분포와 남해의 퇴적환경이나 수괴의 조성과 변화를 고려하여 남해에 서식하는 저서생물 군집에 있어서 네 개의 분포구역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여 그 범위와 경계를 제안한다.

  • PDF

Characteristics of Cold Water Appeared in the Southwestern East Sea (동해 남서부해역에 출현하는 냉수 특성)

  • Lee, Moon-Ock;Otake, Shinya;Kim, JongKyu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
    • v.26 no.3
    • /
    • pp.455-473
    • /
    • 2014
  • 하계 동해의 남서부해역에 냉수가 왜 그리고 어떠한 해양환경하에 출현하는가를 밝히기 위하여 현장조사, 위성자료의 분석 및 수치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해역에서 냉수는 비정상년의 경우는 정상년에 비해 보다 더 연안 가까이에서 출현하였고, 수온도 낮았다. 이것은 냉수가 비정상년에는 정상년에 비해 크게 발달하여 연안역으로 확장함을 의미하였다. 흐름장의 계산결과는 지형류적인 관점에서 수온의 관측결과를 잘 재현하였다. 한편, 정상년의 경우는, 북한한류(NKCW)가 쓰시마난류(TC)와 균형을 유지하면서 동해의 북서쪽에 머물고 있었다. 이에 반해, 비정상년의 경우는, 북한한류가 점차 남쪽으로 남하하여 동해 서부역의 대부분이 북한한류의 세력하에 놓였다. 그래서, 하계 동해 서부 연안역에서의 냉수 출현은 남쪽으로의 북한한류의 확장에 의한 부산물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울산 연안역에 대한 유동계산결과는 하계 남풍이 불 경우, 표층과 저층 사이에 흐름의 역전현상이 나타났다. 따라서, 하계 동해의 남서부 연안역, 특히 수심의 변화가 급한 방어진 부근에서 냉수의 용승이 일어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제주도 연안 천해역의 해양환경 특성

  • 고준철;김상현;김준택;노홍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10a
    • /
    • pp.200-201
    • /
    • 2001
  • 제주도 연안 천해역 환경은 대마난류수, 한국남해연안수, 중국대륙연안수, 황해 저층냉수 등의 외해에 분포하고 있는 여러 수괴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지만 이외에도 제주도의 강수량, 기온, 북서계절풍 등과 같은 기상상태나 육수유입, 파랑, 조석상태 등에 의해서도 크게 영향을 받아 시ㆍ공간적 차가 생길 것으로 판단된다. (중략)

  • PD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the Origin of Summer Bottom Cold Waters in the Korea Strait (하계 대한해협 저층냉수의 물리.화학적인 특성 및 기원)

  • Kim, Il-Nam;Lee, Tong-Sup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v.26 no.4
    • /
    • pp.595-606
    • /
    • 2004
  • Hydrographic survey in the Korea Strait has long history that has begun in August 1917 at the Busan - Tsushima cross section, still continues to date. However, chemical properties of bottom cold water found exclusively in the western channel of the Korea Strait during summer did not receive much scientific attention. The aim of the study is to decipher the enigmatic origin of the Korea Strait Bottom Cold Water (KSBCW) in terms of chemical properties.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KSBCW are extracted from the CREAHS II hydrographic data. OMP method was applied to analyze origin of the KSBCW quantitatively. The KSBCW is well defined by low temperature below $10^{\circ}C$. The cold waters exhibited the local presence near the coast at about 120m depth with a thickness of 20m to 30m. The cold water was characterized by relatively cold, saline and higher chemical concentrations than adjacent waters. The KSBCW seems to have different origin kom that of the coastal upwelled waters at the Ulgi-Gampo because it is saline, denser and contains considerably less dissolved oxygen than upwelled waters.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re reported to have noticeable annual variations which suggest the complex origin of the KSBCW. OMP analysis show that the KSBCW is a mixture of three water types; TMW (24%), ESIW (36%) and ESPW (40%). Relationship between the KSBCW and the east Sea circulation is traced by mapping the water masses that have similar T, S and DO of KSBCW. The result showed that the KSBCW is most possibly an extension of southward flowing coastal intermediate waters. Front these results, we expect that the monitoring KSBCW will provide us valuable information about the East Sea circulation.

한국 남해안의 성층에 관한 연구

  • 구도형;김동선;조규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127-128
    • /
    • 2000
  • 한국 남해는 대부분 100m 이천의 대륙붕으로 되어 있고, 쓰시마 난류수, 황해 난류수, 한국 남해안 연안수 및 황해 저층 냉수 등이 분포한다. 이러한 수괴들 사이에는 뚜렷한 전선이 형성되고 있다(조와 박, 1990). 해양에서 성층은 여름철에 태양복사로 인한 부력의 공급과 담수의 유입으로 형성된다.(중략)

  • PDF

The Characteristics of Yellow Sea Bottom Cold Water in September, 2006 (2006년 9월 황해저층냉수괴의 분포 특성)

  • Choi, Young-Chan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
    • v.23 no.3
    • /
    • pp.425-432
    • /
    • 2011
  •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tion and the nutrients of the Yellow Sea Bottom Cold Water during summer to fall, temperature, salinity and nutrients have been investigated in the fifteen stations in the Yellow Sea. In september, the Changjiang diluted water with more than $20^{\circ}C$ distributed in the surface and the Yellow Sea Bottom Cold Water distributed in the layer below 30m depth with less than $10^{\circ}C$. Specially, water mass with less than $5^{\circ}C$ in the layer below 50m depth expanded southward down to the north latitude of $35^{\circ}$ with expanding more to the coasts of China than to the coasts of Korea. The salinity of the cold water mass with $8^{\circ}C$ in the deep layer of more than 50m depth was relatively high as 33.5 psu and expanded northward forming front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The concentration of total inorganic nitrogen was two times higher in the cold water mass than in the surface water, which means that resolution and consumption were low due to cold temperature in the bottom layer. In conclusion, the cold water expanded southward down to the north latitude of $35^{\circ}$ by September and had high concentration of nutr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