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장장치-노드

Search Result 8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Performance Improvement of Cluster File System Regarding Usage Frequency of File Resources (파일 자원 사용 빈도를 고려한 클러스터 파일시스템의 성능 향상)

  • Choi, Chang-Yeol;Chung, Ji-Yung;Kim, S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949-952
    • /
    • 2000
  • 공유 저장장치에 접근할 수 있는 경로를 다중화함으로써 클러스터 파일시스템 내 한 노드에서 발생하는 결함을 허용할 수 있다. 공유 저장장치의 다중접근은 파일 이동과 파일 중복으로 이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전역 파일 시스템의 평균 응답 시간을 줄이기 위해 파일 자원의 접근률에 따라 우선 순위를 두어 파일이동과 과일 중복 시 발생할 수 있는 클러스터 파일 시스템의 성능 저하 및 서비스 중단을 막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파일 자원의 접근률은 파일 처리 시에 사용되는 블록, 아이노드(mode), 슈퍼블록과 같은 자원 사용 빈도를 통해 얻어질 수 있다.

  • PDF

DTN Protocol for Transmission Data Flow Control in Underwater Multimedia Communication (수중 다중매체 통신에서 전송 데이터 흐름 제어를 위한 DTN 프로토콜)

  • Lim, Dong-Hyun;Kim, Chang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11a
    • /
    • pp.173-175
    • /
    • 2022
  • 서로 다른 수중 통신 매체 사이의 각기 다른 장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수중 통신 모듈을 함께 운용하는 통신 기술인 다중매체 통신 기술이 등장하였다. 다중매체 통신은 한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통신 매체들을 함께 운용하기 때문에 이들의 전송 속도 차이로 인한 흐름 제어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통신 속도 차이로 인한 전송데이터 손실을 미연에 방지하는 수중 다중매체 통신에서 전송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일종의 DTN (Delay/ Disruption Tolerant Network)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이 전송 속도 제어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수중 다중매체 통신 네트워크에서 전송 속도 차이로 인해 한 노드에 메시지가 쌓여 전송 큐의 전송데이터 손실이 예측되는 경우 보조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큐의 길이를 늘이고, 보조 저장장치 또한 전송데이터 손실이 예측되는 경우 전송 중인 노드에 전송 일시중지를 요청하며 지연상태가 해결된 후 다시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The Effect of the Node Size on the Performance of B+trees on Flash Memory (플래시 메모리 상에서 B+트리 노드 크기 증가에 따른 성능 평가)

  • Choi, Hae-Gi;Park, Dong-Joo;Kang, Won-Seok;Lee, Dong-H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333-336
    • /
    • 2006
  • 플래시 메모리는 휴대폰과 PDA 와 같은 이동 기기에서 저장 장치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기가바이트(GB) 단위의 대용량화로 인해 노트북과 개인용 컴퓨터에서 보조기억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요즘에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다루기 위한 B+트리와 같은 자료구조를 플래시 메모리상에서 저비용의로 구현하려는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플래시 메모리에서 B+트리를 구축할 때 노드 크기를 플래시 메모리의 섹터(sector) 크기로 사용해왔다. 본 논문에서는 노드 크기가 플래시 메모리의 섹터 크기보다 더 커졌을 경우, 플래시 메모리에서 구현되는 B+트리의 구축성능과 검색성능 그리고 저장 공간 사용량을 비교 분석한다. 키 삽입 시 정렬 알고리즘과 비정렬 알고리즘을 각각 사용해 구축비용을 측정하였으며 효율적인 노드 검색을 위해 인덱스 노드 헤드 구조를 사용한다. 그리고 이러한 실험결과는 B+트리 노드 크기를 섹터 크기보다 블록 크기로 할당할 때 B+트리 성능의 우수성을 보인다.

  • PDF

An Efficient Recovery Management Scheme for NAND Flash Memory-based B+tree (NAND 플래시 메모리 기반 B+트리를 위한 효율적인 고장회복 관리기법)

  • Lee, Hyun-Seob;Kim, Bo-Kyeong;Lee, D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c
    • /
    • pp.88-91
    • /
    • 2011
  • NAND 플래시 메모리는 저전력과 빠른 접근 속도의 특징 때문에 차세대 저장장치로 주목 받고 있다. 특히 플래시 메모리로 만들어진 SSD(solid state disk)는 인터페이스가 기존의 하드디스크와 동일하고 대용량화 되고 있기 때문에 가까운 미래에 다양한 저장시스템의 저장장치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NAND 플래시메모리 기반 저장장치는 쓰기 전 소거 구조와 같은 독특한 하드웨어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특정 지역에 반복적인 쓰기 요청을 발생하는 B트리를 구축하는 것은 심각한 성능저하를 야기 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버퍼를 이용하여 B트리 구축 성능을 개선한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법들은 갑작스러운 전원 차단 시 버퍼에 유지하고 있던 데이터를 모두 유실하기 때문에 고장회복을 위한 추가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버퍼를 이용한 방법 중 IBSF기법을 기반으로 NAND 플래시 메모리 기반 저장장치에서 고성능의B트리 구축 방법뿐만 아니라 전원 차단시 효율적인 고장회복을 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은 B트리 변경시 변경 된 정보를 로그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또한 루트노드가 변경될 때 검사점(checkpoint)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본 논문의 고장회복 성능을 보여준다.

Priority-Based Hybrid File Storage Management System Using Logical Volume Manager (논리 볼륨 매니저를 이용한 파일 우선순위 기반의 하이브리드 저장장치 관리 시스템)

  • Choi, Hoonha;Kim, Hyeunjee;No, Jaechu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3 no.12
    • /
    • pp.94-102
    • /
    • 2016
  • Recently, the I/O performance of a single node is rapidly improving due to the advent of high-performance SSD. As a result, the next-generation storage platform based on SSD has received a great deal of attention and such storage platforms are increasingly adopted to commodity servers or data centers that look for the high-bandwidth computation and I/O. However, building all SSD-based storage platform may not be cost-effective because the price per storage capacity is very high as compared to that of HDD. In this paper. we propose a hybrid file management solution, called HyPLVM(Hybrid Priority Logical Volume Manager), which combines the strength of SSD with the desirable aspects of low-price, high-storage capacity HDD. HyPLVM prioritizes the files and directories to be accessed by users, in order to determine the target storage device (SSD/HDD) in which files are allocated, while mitigating the cost of building storage platforms.

Tmr-Tree : An Efficient Spatial Index Technique in Main Memory Databases (Tmr-트리 : 주기억 데이터베이스에서 효율적인 공간 색인 기법)

  • Yun Suk-Woo;Kim Kyung-Chang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2D no.4 s.100
    • /
    • pp.543-552
    • /
    • 2005
  • As random access memory chip gets cheaper, it becomes affordable to realize main memory-based database systems. The disk-based spatial indexing techniques, however, cannot direct apply to main memory databases, because the main purpose of disk-based techniques is to reduce the number of disk accesses. In main memory-based indexing techniques, the node access time is much faster than that in disk-based indexing techniques, because all index nodes reside in a main memory. Unlike disk-based index techniques, main memory-based spatial indexing techniques must reduce key comparing time as well as node access tim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spatial index structure for main memory-based databases, called Tmr-tree. Tmr-tree integrates the characteristics of R-tree and T-tree. Therefore, Nodes of Tmr-tree consist of several entries for data objects, main memory pointers to left and right child, and three additional fields. First is a MBR of a self node, which tightly encloses all data MBRs (Minimum Bounding Rectangles) in a current node, and second and third are MBRs of left and right sub-tree, respectively. Because Tmr-tree needs not to visit all leaf nodes, in terms of search time, proposed Tmr-tree outperforms R-tree in our experiments. As node size is increased, search time is drastically decreased followed by a gradual increase. However, in terms of insertion time, the performance of Tmr-tree was slightly lower than R-tree.

High Power Energy Harvesting Systems for IoT Sensor Nodes Systems (IoT 센서노드 시스템을 위한 고출력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 Kim, Yongseok;Park, Yong Su;Baek, Donkyu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7 no.4
    • /
    • pp.29-36
    • /
    • 2022
  • Existing IoT sensor nodes operate by receiving energy from a battery. Bu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ensor nodes that are widely distributed for collecting various informa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battery needs to be periodically replaced. In order to overcome this disadvantage, energy can be harvested from sunlight or high-temperature steam through an energy harvesting system. However, since the harvested power is quite limited, it is difficult to use applications that require instantaneous high power such as communication. We propose the design of the high-power energy harvesting system where a switch control unit compensates for the limited harvested energy with the energy storage device such as a capacitor. To verify the proposed system, an energy harvesting system based on sunlight was implemented, and we confirmed the maximum supply power to the application and the maximum supply time according to capacity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A Multistriped Checkpointing Scheme for the Fault-tolerant Cluster Computers (다중 분할된 구조를 가지는 클러스터 검사점 저장 기법)

  • Chang, Yun-Seok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13A no.7 s.104
    • /
    • pp.607-614
    • /
    • 2006
  • The checkpointing schemes should reduce the process delay through managing the checkpoints of each node to fit the network load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the process running on the cluster system that write the checkpoints into its global stable storage. For this reason, a cluster system with single IO space on a distributed RAID chooses a suitable checkpointng scheme to get the maximum IO performance and the best rollback recovery efficiency. In this paper, we improved the striped checkpointing scheme with dynamic stripe group size by adapting to the network bandwidth variation at the point of checkpointing.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multi striped checkpointing scheme, we applied Linpack HPC benchmark with MPI on our own cluster system with maximum 512 virtual nodes. The benchmark results showed that the multistriped checkpointing scheme has better performance than the striped checkpointing scheme on the checkpoint writing efficiency and rollback recovery at heavy system load.

Splitting policies based on clustering trajectories for indexing positions of moving objects (이동체의 위치 색인을 위한 궤적 클러스터링 기반의 분할 정책)

  • 김진곤;전봉기;홍봉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773-775
    • /
    • 2003
  • 이동성을 갖는 장치들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하여 이동체 데이터베이스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동체 색인의 검색에서 영역 질의와 궤적 질의는 공간 근접성과 궤적 연결성과 같이 상반된 특징으로 인하여 함께 고려되지 않았다. 이동체 색인에서 영역 질의의 성능개선을 위해서는 노드간의 심한 중복과 사장 공간(Dead space)을 줄여야 하고, 궤적 질의의 성능 개선을 위해서는 이동체의 궤적 보전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요구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R-tree를 기반의 색인 구조에서 새로운 분할 정책을 제안한다. 제시하는 색인 구조에서 단말 노드의 엔트리는 궤적이며, 비단말 노드의 엔트리는 자식 노드이다. 단말 노드 분할 정책에서 동일 궤적을 그룹화해서 분할 하는 공간 축 분할 정책과 공간 활용도를 높이는 시간 축 분할 정책을 제안한다. 시간 축 분할 후 사장영역이 클 경우에는 다중 분할을 수행하여 사장 공간을 줄이고 노드간의 중복을 최소화한다. 비 단말 노드 분할 정책에서는 같은 궤적을 저장하는 노드들을 연결 노드(Connected Node)라고 정의하고, 엔트리의 궤적 연결성을 기준으로 분할한다.

  • PDF

MFIU : An Efficient Index Buffer Management Scheme for a B+tree on NAND Flash Memory (MFIU : NAND 플래시 메모리상에 B+트리를 위한 효율적인 색인 버퍼 관리 기법)

  • Joo, Dong-Soo;Joo, Young-Do;Lee, D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c
    • /
    • pp.92-97
    • /
    • 2007
  • 차세대 저장매체로 떠오르고 있는 플래시 메모리는 가벼운 무게, 작은 부피 그리고 온도 및및 충격에 강한 내구성, 적은 전력소모, 빠른 자료 접근성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어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PDA, 핸드폰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저장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플래시 메모리가 가지는 하드웨어적 특성 때문에 디스크 기반의 저장장치와는 다른 접근 기법이 필요하다. 특히 B+트리가 구축될 때 레코드의 삽입, 삭제연산 및 노드 분할 연산은 많은 중첩쓰기 연산을 발생하기 때문에 플래시 메모리의 성능을 심각하게 저하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B+트리의 연산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플래시 메모리로 예약버퍼의 색인단위를 반출해야 할 때, 이를 효과적으로 처리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