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수지 댐

Search Result 68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Verification of CE-QUAL-W2 Eutrophication Model in Daecheong Reservoir (대청호에서 CE-QUAL-W2 부영양화 모델의 검증)

  • Cha, Yoon-Cheol;Chung, Se-Woong;Lee, Heung-Soo;Oh, Dong-Geun;Ko, Ick-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698-1702
    • /
    • 2009
  • 효과적인 저수지 수질관리를 위해서는 신뢰도 높은 수리 및 수질모델이 필요하며, 이러한 모델의 성능은 다양한 수문사상에 대하여 적용함으로써 검증할 수 있다. CE-QUAL-W2 모델(이후 W2)은 횡방향 평균 2차원 수리 수질 해석 모델로써 수체의 길이에 비해 폭이 상대적으로 좁고 수심이 깊은 우리나라 대부분의 저수지 지형에 적합한 모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연구에서 가뭄년인 2001년과 평수년인 2004년 수문사상에 대하여 보정한 대청호 W2 부영양화모델을 최근 평수년인 2006년과 가뭄년인 2008년을 대상으로 검증하는데 있다. 모델의 검증은 물수지, 수온성층 구조 변화, 부영양화 해석에 중점을 두었으며, 실측자료와 모의결과의 적합성 비교 평가는 결정계수값$(R^2)$, AME(absolute mean error)와 RMSE(root mean square error)를 이용하였다. 저수지 물수지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모의수위와 실측수위를 비교한 결과, $R^2$값이 2006년과 2008년에 각각 0.9945, 0.9972로 나타나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계절별 성층구조 변화 모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회남수역과 댐 앞 지점에서 수심별 수온의 모의값과 실측값을 비교하였다. 2006년의 경우 모델은 홍수기 동안 안정적으로 수온 성층현상을 모의하였으나, 댐 앞 지점에서 수온 약층이 형성된 구간에서 실측값과 다소 편차를 보였으며, 오차크기는 AME가 $0.561\sim2.088^{\circ}C$, RMSE는 $0.797\sim2.762^{\circ}C$범위였다. 반면, 가뭄년인 2008년에는 전 기간에 걸쳐 모두 안정적으로 저수지 수온 성층현상을 모의하였으며, 오차크기는 AME $0.413\sim1.162^{\circ}C$, RMSE $0.546\sim1.415^{\circ}C$ 범위였다. 조류의 생산성이 높은 표층에서 T-N, T-P 및 Chl-a 농도 모의결과를 장계교, 대정리, 회남대교, 댐 앞, 추동취수탑 및 문의취수탑에서 시계열로 실측값과 비교 검증한 결과, T-N과 T-P는 2006년과 2008년 모두 모든 비교 지점에서 모의값과 실측값의 시계열 변동이 매우 잘 일치하였으며, 홍수기 이외 기간에는 큰 변동 폭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7월 이후부터 T-P 모의값이 실측값을 과대 산정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그 원인은 산소 결핍상태에서 저니층에서 용출되는 철(Fe) 또는 망간(Mn)과 같은 이온 성분이 인과 흡착하여 침전되는 기작이 모의과정에 적절히 반영되지 않은 것이 원인으로 판단된다. 조류(Chl-a)농도의 경우, 2006년과 2008년에 모든 지점에서 모델은 조류의 발생과 시계열 변화를 적절히 모의하였으나, 2008년 1월부터 8월까지 댐 앞과 추동 및 문의취수탑에서는 모의값이 실측값을 과대 산정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해마다 그리고 계절별로 우점하는 조류 종이 상이한 반면, 모델에서는 이에 대한 매개변수를 적절히 고려하지 못한 것이 원인으로 판단된다.

  • PDF

Climate change impact analysis on water supply reliability and flood risk using combined rainfall-runoff and reservoir operation modeling: Hapcheon-Dam catchment case (강우-유출 및 저수지 운영 연계 모의를 통한 기후변화의 이수안전도 및 홍수위험도 영향 분석: 합천댐 유역 사례)

  • Noh, Seong Jin;Lee, Garim;Kim, Bomi;Jo, Jihyeon;Woo, Dong Koo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6 no.11
    • /
    • pp.765-774
    • /
    • 2023
  • Due to climatechange, precipitation variability has increased, leading to more frequentoccurrences of droughts and floods. To establish measures for managing waterresources in response to the increasing uncertainties of climate conditions, it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variability of natural river discharge and theimpact of reservoir operation modeling considering dam inflow and artificialwater supply. In this study, an integrated rainfall-runoff and reservoiroperation modeling was applied to analyze the water supply reliability andflood risk for a multipurpose dam catchment under climate change conditions. Therainfall-runoff model employed was the modèle du Génie Rural à 4 paramètresJournalier (GR4J) model, and the reservoir operation model used was an R-basedmodel with the structure of HEC-Ressim. Applying the climate change scenariosuntil 2100 to the established integrated model, the changes in water supplyreliability and flood risk of the Happcheon Dam were quantitatively analyzed.The results of the water supply reliability analysis showed that under SSP2-4.5conditions, the water supply reliability was higher than that under SSP5-8.5conditions. Particularly, in the far-future period, the range of flood risk widened,and both SSP2-4.5 and SSP5-8.5 scenarios showed the highest median flood riskvalues. While precipitation and runoff were expected to increase by less than10%, dam-released flood discharge was projected to surge by over 120% comparedto the baseline

Evaluation of Water Supply Capacity of Agriculture Reservoir According to Drought Frequency (가뭄빈도별 농업용저수지의 공급능력평가)

  • Choi, Si-Jung;Moon, Jang-Won;Lee, Dong-Ryul;Kang, Seong-Kyu;Seo, Jae-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49-449
    • /
    • 2011
  • 우리나라의 수자원 총이용량 가운데 농업용수가 차지하는 비율은 1965년 88%에 비해 현저히 줄어들고 있지만 2003년 47%에 해당하고 있다. 또한 그 수요도 점점 복잡하고 다양하게 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공급원으로써 국내에 약 18,000여개의 농업용 저수지가 건설되어 있는 실정이다. 농업용 저수지의 주목적은 갈수시 안정적인 관개용수 공급과 하류의 생활용수를 공급함에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농업용 저수지가 소규모로 건설되어 있어 지속적인 가뭄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저수용량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설계 가뭄빈도도 대략 10년이다. 따라서 수자원 평가 및 계획 수립 시 공급원으로서 농업용 저수지의 역할에 대해 많은 논란이 있어 왔다. 농업용 저수지의 설계 가뭄빈도는 10년이고 이에 반해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는 과거 최대가뭄 년을 대상으로 분석하고 있기 때문에 수요량, 하천유량 및 댐 등을 통해 물 수지 분석을 산정한 후 그 결과에 중권역별로 분포되어 있는 농업용 저수지 유효저수용량을 고려하여 지역별 과부족량을 산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수자원장기종합계획 물 수급 전망 방법과는 달리 중권역에 속해 있는 모든 농업용 저수지를 포함하여 물 수지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농업용 저수지의 용수 공급능력을 평가하였다. 기존의 농업용 저수지 반영 방법은 농업용수의 공급시기인 관개기 초기에 저수지 만수위를 유지하는 실무운영 상황을 반영하여 농업용 저수지의 유효저수용량을 해당 저수지의 공급가능량으로 설정하여 지역공급원으로써 고려 하였다. 이에 반해 본 연구에서는 각 중권역에 존재하는 모든 농업용 저수지의 용량 및 유역면적 등을 총합한 대표저수지를 선정하고 유역별 농업용 수요처로만 물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물 수지 분석에 운영함으로써 모든 농업용 저수지의 영향을 고려하였다. 농업용 저수지를 제외한 나머지 제반 사항은 기존의 수자원장기종합계획과 동일한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통해 연도별 농업용 저수지의 공급능력을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가뭄빈도가 클수록 공급능력은 현저히 낮아지는 것을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유역별 존재하는 농업용 저수지의 가뭄빈도별 공급가능량 평가를 통해 보다 현실적인 저수지 운영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Reservoir Operation Model using Simulation Technique in Flood Season (I) (모의기법에 의한 홍수기 저수지 운영 모형 개발 (I))

  • Sin, Yong-No;Maeng, Seung-Jin;Go, Ik-Hwan;Lee, Hwan-Gi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3 no.6
    • /
    • pp.745-755
    • /
    • 2000
  • The dam operation system of KOWACO for flood control doesn't have capability to account for the downstream hydrologic conditions and any feasible index to decide the pre-release from the forecasted rainfall and inflow. In this study, a dam operation model for flood control was developed to account for the flood flow condition of its downstream to give users the dam release schedules. Application test of EV ROM to Keum River showed that EV ROM is superior to the Rigid ROM and Technical ROM which are currently used by KOWACO. EV ROM developed in this study provides a release schedule accounting for the cumulative lateral flow hydrograph at the downstream control points where the discharge does not depend only on the dam operation. but also on lateral inflow from the tributaries. In order to reduce the peak discharge at the control points, it suggests the preliminary release during the early rising phase of the predicted hydrograph, holding the flood flow inside the dam during a peak phase, and afterward resuming the release. Three case studies of flood control by the operation of Daechung Multipurpose Dam in Geum River Basin show that the EV ROM is superior to the Rigid ROM and Technical ROM. This must be due to its nature to account for the downstream flow condition as well as the inflow and water level of the dam. It was also conceived that further case studies of EV ROM and more accurate rainfall prediction would improve the dam operation for flood control.ontrol.

  • PDF

The Construction of 3D Spatial Imagery Information of Dam reservoir using LiDAR and Multi Beam Echo Sounder (LiDAR와 MBES를 이용한 댐 저수지 3차원 공간영상정보 구축)

  • Lee, Geun-Sang;Choi, Yun-Woo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8 no.3
    • /
    • pp.1-11
    • /
    • 2010
  • Recently, the construction of three 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of Dam reservoir area is very important part in Dam management work such as sediment survey, but it is difficult to acquire detailed terrain data because totalstation and single beam echo sounder are applied to terrain survey. This study presented method to construct detailed terrain data of Dam reservoir area using LiDAR and multi beam echo sounder. First, LiDAR survey was carried out in land zone and calibration process was applied by ground control point. And also the DEM of land zone was constructed by using algorithm, which eliminated building and vegetation class. As the result of validation of LiDAR DEM using GPS terrain survey, it was possible to construct three dimensional terrain data that was satisfied with the tolerance error of LiDAR, which was the standard error of LiDAR DEM showed as 0.108m. Also multi beam echo sounder was applied to the survey of water zone and it could construct spatial information that was satisfied with bathymetry surveying tolerance error of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by validation with terrain survey data. And LiDAR and multi beam echo sounder data were integrated and it was possible to construct three dimensional spatial imagery information that can be applied to Dam management work such as the estimation of sediment amounts or the monitoring of terrain change by linking with high resolution orthophoto.

The Comparative Analysis of Reservoir Capacity of Chungju Dam based on Multi 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다차원 공간정보 기반의 충주댐 저수용량 비교분석)

  • Lee, Geun Sa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0 no.5D
    • /
    • pp.533-540
    • /
    • 2010
  • Dam is very important facility in water supply and flood control. Therefore study needs to analyze reservoir capacity accurately to manage Dam efficiently. This study compared time series reservoir capacity using multi-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to Chungju Dam reservoir and major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LiDAR and multi beam echo sounder survey were carried out in land zone and water zone of Dam reservoir area. And calibration process was performed to enhance the accuracy of survey data and it could be constructed that multi 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which was clearly satisfied with the standard of tolerance error by validation with ground control points. Reservoir capacity by water level was calculated using triangle irregular network from detailed topographic data that was constructed by linked with airborne LiDAR and multi beam echo sounder data, and curve equation of reservoir capacity was develop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in 2008. In the comparison of the reservoir capacity of 2008 with those of 1986 and 1996, the higher water level goes, total reservoir capacity of 2008 showed decrease because of the increase of sediment in reservoir. Also, erosion and sediment area could be analyzed through calculating the reservoir capacity by the range of water level. Especially the range of water level as 130.0~135.0 which is the upper part of average water level, showed the highest erosion characteristics during 1986~2008 and 1996~2008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erosion of reservoir slant by heavy rainfall is major reason.

A Model for Real-time Reservoir Operations during Flood Period I : Theory and Modeling (홍수기중의 실시간 저수지운영 모형(I) 이론과 모형화)

  • 심명필;선우중
    • Water for future
    • /
    • v.23 no.3
    • /
    • pp.373-384
    • /
    • 1990
  • The purposes of the reservoir operation during flood period are the reduction of the flood damage in the downstrem reaches and the conservation of flood control for the later use. This paper presents a model of simulation technique to determine the real-time operating rules on an hourly basis. The objective of strategy is to minimize the miximum release through the spillway gates with consideration of the uncertainties associated with the forecasted inflows. In this paper, a general procedure for solving this problem is described for a single and paralle reservoirs.

  • PDF

Water Temperature Monitoring Method to Cope with Water Level Change at the Reservoir (수위변화에 대응한 저수지에서의 수온 모니터링 기법)

  • Lee, Hyun-Seok;Chae, Hyo-Sok;Kim, Young-Sung;Lee, Yo-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936-194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갑작스런 호우로 인한 다목적댐 저수지 수위의 급격한 상승에도 유기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우리나라 기후 맞춤형 수위연동 장치를 고안하였다. 현재 기본적인 제작은 완료되었으며, 수위변동으로 인한 장치의 인장 및 수축 시 균등한 측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연동 기능의 확인 및 검증을 위한 현장 실험을 수행하고 있다. 실험결과는 2010 년 1월 1일부터 약 41일간의 수심별 수온 및 수위변화에 따른 장치의 연동특성에 나타내었다. 각 수온 자료의 측정수심은 앵커에 설치한 수위계를 이용하여 확보하였으며, 또한 각 수심별로 설치한 수위계를 이용하여 취득된 수온의 측정 위치를 확인하였다. 본 장치는 현재 약 60 m의 최대 수심을 고려하였으며, 저수지 수위변동 시 수표 면으로부터 동일 수심에서의 수온모니터링 및 부력재를 이용한 수위변동 시 등간격 연동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향후 4 대강 및 저수지에서의 수위변화에 연동한 수온 조사 뿐 만 아니라 유속, 탁도 및 염분 등 수리특성 조사 업무까지 활용범위 확대가 가능하다.

  • PDF

A Study to comparison of 1-D Model on dam break flood analysis (댐 붕괴 홍수류해석을 위한 1차원 모형의 비교 연구)

  • Choi, Byung-Kyu;Kang, Tae-Ho;Jung, Yo-Han;Koh, Jae-Hyoung;Kim, Kang-M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765-1769
    • /
    • 2008
  • '96년, '98년 임진강 유역과 경기북부 지역 집중호우를 시작으로 '02년 태풍 "루사", '03년 "매미", '04년 "메기" 등의 영향으로 대규모 수공 구조물의 설계빈도를 초과하는 폭우를 동반하여 전국적으로 사상 유례없는 막대한 홍수피해를 발생시켰다. 이러한 과정에서 "연천댐", "장현, 동막저수지" 붕괴 등 댐 붕괴로 인하여 댐 하류지역의 홍수피해가 크게 발생하여 이에 대한 대처계획 수립 필요성 및 이를 위한 댐 붕괴로 인한 홍수류 해석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비상대처계획(Emergency Action Plan, EAP)수립 대상 국가시설물 중 하나인 양양양수발전소 하부댐에 대한 댐 붕괴 해석을 실시하였다. DAMBRK를 통하여 댐 지점의 붕괴유출수문곡선을 산정하였으며, 댐 하류하천 수위분석은 1차원 DAMBRK와 HEC-RAS모형을 이용비교 분석하였고 이를 통하여 댐붕괴로 인한 하류하천 홍수류 해석시 HEC-RAS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HEC-RAS모형 계산치가 DAMBRK 모형에 의한 결과 보다 과대하게 산정 되었다. 향후 댐 붕괴로 인한 홍수류 해석을 위한 HEC-RAS모형 모의시 주변지형의 홍수터화 등의 기법을 첨가하여 홍수위 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Flood Routing Analysis Considering the Effects of Dams in Han River (한강수계에서의 댐의 영향을 고려한 홍수추적)

  • Han, Kun-Yeun;Choi, Kyu-Hyun;Kim, Won;Kim, Dong-Hy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8 no.9 s.158
    • /
    • pp.747-760
    • /
    • 2005
  • This study has performed flood routing computations considering the upstream and intermediate dams in Han River using DAMBRK. Hypothetical reservoirs with variable dimensions are used to compare the validity of the reservoir routing methods, that are storage routing and dynamic routing. The flood events in September, 1990 and August, 1995 are used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The model performs the flood analysis more accurately considering multiple dam effects in Han River. The methodologies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give a good contribution for basin-wide flood forecasting in Han River bas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