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수심 저수지

Search Result 24,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Development of harmful algae collecting system for agricultural material recycling (농업재료 자원화를 위한 유해조류 포집 시스템 개발)

  • Kim, J.H.;Kim, J.M.;Jeong, Y. W.;Kwack, Y.K.;Sim, S.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50-50
    • /
    • 2022
  • 한국농어촌공사 산하의 농업용저수지 중 3786개소에 대한 수질조사를 '19년도에 실시한 결과, TOC 기준 4등급 초과 저수지 비율은 약 20%로써, 도심 근교 저수지에서 녹조현상 빈발로 인해 수질, 악취, 미관 등의 환경문제 개선 민원이 다수 발생하고 있다. 현재 녹조 발생 사후관리를 위해 주로 사용되고 있는 대형 조류제거선은 저수심 수변부에서의 적용성에 한계가 있고, Al 기반의 응집제를 사용하여 조류를 수거해서 폐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주)이엔이티는 농어촌연구원, (주)코레드, (주)삼호인넷과 함께 호소나 정체하천의 수변지역에 적용될 수 있는 저에너지형 유해조류 포집시스템 개발과, 수거된 조류부산물을 무독화하여 농업재료로 재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저수지나 정체수역의 녹조는 바람, 수면유동 등에 의해 수변에 집적되는 특성이 있어, 인공지능 기술로 녹조현상을 감시하여 조류 밀집구간에 접근할 수 있는 자율이동식 수상이동장치를 개발 중이다. 수상이동장치는 조류포집장치를 탑재하기 위한 부력체, 원격 운전이 가능한 무인항법장치, 수변식생대 및 저수심지역 이동을 고려한 수차방식 추진체, 전체 장치의 전원 공급을 위한 고성능 배터리 등으로 구성하여 상세 도면 설계를 진행하고 있다. 조류포집장치에는 표층에 주로 분포하는 남조류를 선택 흡입하는 포집 부표를 적용하였고, Al계 응집제 사용을 배제한 분리막 실험을 통해 침지형 막분리조 및 가압형 농축조를 설계하였다. 유해조류 포집 및 농축은 수상에서 이동체에 탑재하여 이뤄지고, 육상에서는 자원 회수가 가능하도록 회분식 응집공정으로 구분하였다. 조류 밀집지역에서 수거된 조류의 무독화 및 농업재료 자원화 타당성 평가를 위해 특용 버섯균주를 활용한 시료별 분석항목을 선정하고 실험 매트릭스에 따라 실증실험을 수행하였다. 수거조류를 전처리하여 성분 및 발열량을 분석하고 버섯재배 전후의 마이크로시스틴 독소(LR, RR, LR)를 포함한 성분 분석을 수행하여, 고체연료, 비료 및 사료로 활용방안을 검토하였다. 무인자율이동 조류포집장치는 실증화 규모로 제작하여 기선정된 테스트베드에서 현장적용성 평가를 수행할 예정이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유해조류 포집 시스템은 기존의 녹조제거 방안을 보완하여 정체수역의 생태계 복원 및 친수공간의 환경개선 등에 적용되며, 무독화가 입증된 유해조류의 농업재료 자원화 기술은 고부가 상품 개발 및 환경폐기물 감축에 활용될 것이다.

  • PDF

Deveolopment and Application of a module for simulating instream water of agricultural reservoir (농업용 저수지의 하천유지용수 공급모의 모듈 개발 및 적용)

  • Lee, Jaenam;Noh, Jaek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17-517
    • /
    • 2016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하천 건천화가 빈번히 발생함에 따라 농업용 저수지로부터 하류 하천유량을 얼마나 공급할 수 있으며, 어느 시기에 공급하는 것이 적당한가에 대한 의문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 저수지의 하천유지용수 공급에 대한 관점에서 용수배분을 자유롭게 모의조작 할 수 있는 모듈을 개발하였고, 이를 미호천 중류의 북일 수위관측소 유역 내 위치한 저수량이 100만 $m^3$인 농업용 저수지 9개소를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관개용수량은 작물증발산량, 담수심, 침투량, 손실율 등을 고려하여 산정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하천유지용수 공급량은 기준갈수량을 기본값으로 하였다. 또한 하천유지용수의 공급방식은 무공급, 비관개기 공급, 연중 공급, 운영률에 의한 공급의 4가지로 구분하여 일괄적인 모의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기상청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미래 모의기간에 대한 유역 말단부의 갈수기 하천수량 변화와 유황패턴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천유지용수을 비관개기에 공급하는 저수지 운영으로 하천수량은 하천유지용수를 공급하지 않는 저수지 운영보다 연평균 1.8백만(2.0%) $m^3$ 증가, 연중 공급하는 저수지 운영보다 4.3백만$m^3$(4.7%) 증가, 운영률에 의해 하천유지용수를 공급하는 운영은 연평균 13.1백만(14.6%) $m^3$ 증가하였다. 둘째, 하천유지용수를 비관개기에 공급하는 저수지 운영은 갈수기로 갈수록 유량이 증가하였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천유지용수를 연중으로 공급하는 저수지 운영은 비관개기에 공급하는 저수지 운영보다 갈수량(Q355) 이하의 유량을 더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풍수량(Q95)과 평수량(Q185) 사이의 하천유량이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운영률에 의해 하천유지용수를 공급하는 저수지 운영은 하천유지유량을 공급하지 않는 저수지 운영방식보다 하천유량의 증가와 갈수기 전반에 걸쳐 유황이 안정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 Model for Real-time Reservoir Operations during Flood Period.II : Single Reservoir Operating Rules at Daecheong Dam (홍수기중의 실시간 저수지운영 모형(II) - 대청댑의 단일저수지 운영 방안 -)

  • 심명필;박인보
    • Water for future
    • /
    • v.23 no.4
    • /
    • pp.499-507
    • /
    • 1990
  • Real-time reservoir operation models during flood period require optimization of hourly releases from the input data through on-line system. And predicted values. An algorithm of the simulation model to resolve the problem has already been reported with formulation of objectives to minimize the flood damage in downstream reaches and to conserve water at the end of operation for the later use. This paper presents an application of the model to a single reservoir system at the Daecheong Dam during flood and the results are reviewed. This paper also reviews measured inflows and releases in the past. The model is applied to the flood hydrographs of several return periods assuming different reservoir levels at the beginning of the operation. Also it demonstrates the simulation of test run with inflow forecasts obtained by rainfall-runoff model and compares the results. As a result, the model can use efficiently the flood control capacity with consideration of risk factor for the uncertainties associated with inflow forecasts.

  • PDF

Evalu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teorological Drought and Agricultural Drought of Geum River Basin During 2014~2016 (금강유역 2014~2016년 기상학적 가뭄과 농업가뭄간의 상관성 평가)

  • Lee, Ji Wan;Kim, Kyoung-Ho;Kim, Sehoon;Woo, Soyoung;Kim, Seong Joo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1 no.spc
    • /
    • pp.80-89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meteorological drought and RDI (Reservoir Drought Index) agricultural drought for Geum river basin. Drought Indices was calculated by collecting data of precipitation and agricultural reservoir water storage rate from 2014 to 2016. To evaluated the correlation between meteorological and agricultural drought, the Pearson correlation and the 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 (ROC) analysi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meteorological and agricultural droughts. The SPI-6 and RDI showed the highest relationship with Pearson coefficient 0.606 and ROC hit rates 0.722 respectively, and the spatial occurrence patterns of drought using overlapped SPI-6 and RDI, the big differences between the 2 indices were occurred in the upstream areas of Miho stream and Nonsan stream from August to October 2015. The analysis using reservoirs specifications for areas where reservoir droughts occurred was conducted, and the areas showing severe drought of RDI were the reservoir areas having relatively small value of basin magnifying power (BMP). This means that a reservoir has the reaction capability for agricultural drought mainly depending on the reservoir BMP.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Quality and Needed Discharge during Drought Season (갈수시 하천수질과 필요유량 관계 연구)

  • Jung, young Hun;Yi, Choong Sung;Kim, Hung Soo;Shim, Myung P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748-752
    • /
    • 2004
  • 근래 환경의 중요성이 크게 인식되면서 하천의 수질관리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오염된 하천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 중에 배출 오염원을 삭감시키는 환경기초시설이나 댐과 같은 저수구조물에서 양질의 용수를 방류하여 희석시킴으로써 하천의 수질오염을 개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수질을 개선시키는 과정에서 희석을 위한 저수지의 방류량을 필요유량으로 간주하였으며 일정 수질농도를 지속적으로 지니고 있는 자연하천의 유입량과 이때 어느 대상지점의 목표수질등급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저수구조물에서의 인위적 조정이 가능한 필요유량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연구대상 지역은 금강 본류와 본류로 유입하는 갑천유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즉, 갑천의 확률갈수유량을 3등급과 4등급으로 가정하고, 이들 유량이 금강본류로 유입되련, 금강본류와 미호천합류 바로 전의 금강하류지점 목표수질을 2등급이라 하였을 때, 이를 만족할 수 있는 금강본류의 필요유량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이때 갑천유역의 일강우량자료는 기존 Markov 연쇄의 상태모형을 개선해 모의하였고, 강우-유출 모형으로는 NWS-PC모형을 이용하였는데 컴플렉스 혼합 진화기법으로 매개변수들을 보정하여 확률갈수유량을 산정하였다. 다음에 QUAL2E를 이용하여 목표수질을 만족하는 희석 목적의 유랑을 구하여 필요유량으로 간주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유입되는 갑천의 확률갈수유량들에 대하여 대청조정지댐에서 방류량이 목표수질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0.5\~2.5$배정도 더 유입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Preliminary Release Scheme by Flood Forecasting (홍수예측에 의한 예비방유 방안)

  • Sim, Myeong-Pil;Lee, Jae-Hyeong;Gwon, O-Ik
    • Water for future
    • /
    • v.29 no.1
    • /
    • pp.235-248
    • /
    • 1996
  • Apreliminary release scheme (PRS) is suggested for the operating rules during flood period to deal with conflicts between flood control and water conservation purposes. PRS can be used to decide the optimum releases, based on the forecast of an oncoming flood and flow rate at the control point downstream when comparing the variable restricted water level (VRWL) for flood control with the minimum required water level (MRWL) for conservation use. The model is applied to Chungju and Daechung reservoirs through simulations of the technique. This study illustrates the procedure to decide the time and size for preliminary releases. Also, effects of duration and magnitude of preliminary release are reviewed based on historicqal flood records. The simulation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posed PRS is effective for the managers to find optimal operating policies during flood period. The proposed scheme can be used with main release scheme using real-time operation on hour-to-hour basis to decide the release for a flood.

  • PDF

2016 Drought assessment through Drought Information Analysis System (가뭄정보분석시스템에 의한 2016년 생공용수 가뭄 분석)

  • Park, Jae Young;Jeon, Keun Il;Lee, Yong Shin;Nam, Woo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52-352
    • /
    • 2017
  • 2014~2015년에 걸쳐 발생한 가뭄으로 농업용수뿐만 아니라 생공용수 공급 측면에서도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기후변화 등의 요인으로 이러한 상황이 향후에도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가뭄현황 및 전망 정보 생산을 통한 가뭄 대비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6년 기상 및 수문상황을 분석하고, 생공용수 부문 가뭄예경보를 위해 활용중인 K-water 가뭄정보분석시스템을 통해 생산된 2016년 가뭄 정보를 분석하였다. 2016년 전국 강수량은 1966~2015년 평균 대비 92.2%에 해당하는 강수량을 기록하였다. 지역적으로는 중부지방은 대체로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강수량을, 중부이남 지역은 평균 이상의 강수량을 보였다. 경기도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강원도 일부 지역과 충남 서부 지역의 강수량 부족이 심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강수에 의한 2016년 자연유출량을 중권역 단위로 산정한 결과 1967~2015년 평균 대비 91% 수준의 유출량이 발생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평균적으로 강수량이 많은 6월과 8월에 강수가 적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특히 6개 주요 유역 중 유역면적이 가장 넓은 한강 유역은 낙동강 유역보다 약 6억톤 적은 값을 보였다. 생공용수 공급의 주요 수원인 다목적댐의 총저수량은 2014~2015년의 극심한 가뭄으로 2016년 1월 1일에 예년보다 10억톤 가량 적었다. 하지만 봄철에 예년보다 다소 많은 강수가 발생하고, 홍수기 초에도 많은 강수가 발생하여 저수상황이 다소 개선되었다. 8월의 적은 강수량으로 저수량이 지속적으로 하락하였으나 9, 10월에 걸쳐 태풍에 의한 많은 강수로 예년 대비 104.4% 수준의 저수량을 확보하였다. K-water 가뭄정보분석시스템을 통해 매월 초 생공용수 관련 가뭄현황 및 1 3개월 전망을 분석하였다. 매월 초 가뭄예경보를 위해 분석된 가뭄현황에서는 3월초, 9월초, 10월초, 11월초에 보령댐을 수원으로 하는 충남 서부 8개 시 군에서 가뭄상황 '주의'가 발생했고, 6월초 강원도 강릉시 상수원인 오봉저수지 저수량이 평년보다 낮아 가뭄상황 '주의'가 발생하였다. 언론보도를 바탕으로한 가뭄 발생 상황을 가뭄정보분석시스템을 통해 판단한 가뭄 상황과 비교한 결과 가뭄정보분석 시스템에 의한 가뭄인지가 신뢰할 수 있는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가뭄정보분석시스템에 의한 1 3개월 가뭄전망과 1 3개월 후 실제 가뭄 상황을 비교한 결과 전망 정확도가 대체로 높아 가뭄정보분석시스템에 의한 가뭄전망이 신뢰할 만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termination Scheme of Variable Restricted Water Level during Flood Period of Multipurpose Dam (다목적 댐의 홍수기중 가변제한수위 결정 방안)

  • Gwon, O-Ik;Sim, Myeong-Pi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0 no.6
    • /
    • pp.709-720
    • /
    • 1997
  • When flood control storage lacks for the reservoir operation of multipurpose dams during flood period, the additional flood control storage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flexible use of limited storage capacity. Flood period is divided by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and the water levels for water demand and flood control are investigated for the divided flood period. Based on the investigations, we suggest the variable restricted water level(VRWL) from the considerations of water conservation and flood control which can determine dam operating water level during flood period. This paper presents an application of the methodology to determination of the VRWL during flood period at the Taechong Dam and the results are discussed.

  • PDF

Multipurpose Dam Operation Models for Flood Control Using Fuzzy Control Technique ( I ) - Development of Single Dam Operation Models - (퍼지제어모형을 이용한 다목적 댐의 홍수조절모형( I ) - 단일댐의 운영모형 개발 -)

  • Shim, Jae-Hyun;Kim, Ji-Tae;Heo, Jun-Haeng;Kim, Ji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4 no.1 s.12
    • /
    • pp.33-40
    • /
    • 200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ingle dam operation models for flood control using Fuzzy control technique, which can improve flood controllability. We set control rules by water level and inflow, and developed three models Fuzzy I, II, III according to rule to decide outflow. Fuzzy I model consists of six rules considering only flood control and Fuzzy II model considers the effect of water use by increasing water level at the end of flood control period as well as flood control during the same period. Finally, Fuzzy m is an adaptive model designed to perform multipurpose dam operation for both flood control and water use simultaneously based on a control rules.

Modeling the Effect of Intake Depth on the Thermal Stratification and Outflow Water Temperature of Hapcheon Reservoir (취수 수심이 합천호의 수온성층과 방류 수온에 미치는 영향 모델링)

  • Sun-A Chong;Hye-Ji Kim;Hye-Suk Yi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2 no.6
    • /
    • pp.473-487
    • /
    • 2023
  • Korea's multi-purpose dams, which were constructed in the 1970s and 1980s, have a single outlet located near the bottom for hydropower generation. Problems such as freezing damage to crops due to cold water discharge and an increase the foggy days have been raised downstream of some dam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ect of water intake depth on the reservoir's water temperature stratification structure and outflow temperature targeting Hapcheon Reservoir, where hypolimnetic withdrawal is drawn via a fixed depth outlet. Using AEM3D, a three-dimensional hydrodynamic water quality model, the vertical water temperature distribution of Hapcheon Reservoir was reproduced and the seasonal water temperature stratification structure was analyzed. Simulation periods were wet and dry year to compare and analyze changes in water temperature stratification according to hydrological conditions. In addition, by applying the intake depth change scenario, the effect of water intake depth on the thermal structure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it was analyzed that if the hypolimnetic withdrawal is changed to epilimnetic withdrawal, the formation location of the thermocline will decrease by 6.5 m in the wet year and 6.8 m in the dry year, resulting in a shallower water depth. Additionally, the water stability indices, Schmidt Stability Index (SSI) and Buoyancy frequency (N2), were found to increase,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rmal stratification strength. Changing higher withdrawal elevations, the annual average discharge water temperature increases by 3.5℃ in the wet year and by 5.0℃ in the dry year, which reduces the influence of the downstream river. However, the volume of the low-water temperature layer and the strength of the water temperature stratification within the lake increase, so the water intake depth is a major factor in dam operation for future water quality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