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수로 변화

Search Result 51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of Rehabilitated Agricultural Reservoirs Considering Climate Change (기후변화를 고려한 둑 높이기 농업용저수지의 홍수 취약성 평가)

  • Jun, Sang Min;Kang, Moon Seong;Song, Inhong;Park, Jihoon;Choi, Sol A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00-600
    • /
    • 2015
  • 최근 정부에서는 농업용 저수지의 노쇠화를 해결하기 위해, 이수공간 및 홍수조절공간 추가 확보를 목표로 농업용 저수지 둑 높이기 사업을 실시하였다. 둑 높이기 사업을 통해 추가로 확보된 저수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홍수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저수지의 홍수 취약성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한 강우강도 증가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미래 예측 강우량에 대한 농업용 저수지의 홍수 취약성 평가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를 고려하여 둑 높이기 사업에 따른 농업용저수지의 홍수 취약성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기초자료 구축을 위해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RCP 4.5 기반의 미래강수자료를 편의보정 하였으며, 둑 높이기 사업 보고서를 통해 농업용 저수지의 제원들을 수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농업용 저수지 유역의 설계홍수량을 산정하였고, 저수지 모의 운영을 통해 홍수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홍수 취약성은 IPCC (2007)에서 제안한 방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해 기존에 사용되어 왔던 지표들을 선정하였고, 본 연구에서 수행한 저수지 모의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홍수조절율 등 둑 높이기 사업의 효과를 반영할 수 있는 지표들을 추가로 선정하여 홍수 취약성 평가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둑 높이기 사업에 의한 홍수조절효과를 정량화 하고, 둑 높이기 저수지의 최적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nalysis of the Contribution of Baseflow to Streamflow on the Irregular Cross-section of Rivers (불규칙한 형상의 하천단면에서 기저유출수의 기여도 분석)

  • Kim, Tae Beo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71-71
    • /
    • 2016
  • 하천 공학에 있어서 제방 월류에 대한 분석과 예측은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도 치수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를 위해 복단면 수로의 단면을 세분하여 유량과 수위의 관계를 분석하여 왔으며, 최근에는 Lateral Distribution Method라 불리는 수치기법을 이용하여 주수로와 홍수터 사이에서의 난류특성이나 운동량 교환 등을 분석하기도 한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제방을 넘어 월류한 경우의 흐름 특성에만 치중하고 있으며, 주수로 내에서의 흐름특성에 관한 연구는 미진하다. 하천은 표면 유출수와 지하로부터 제공되는 기저유출수로 구성되며, 주변 수리 수문 조건에 따라 그리고 물수지 변화에 따라 유출수와 기저유출수가 하천에 기여하는 바는 변화된다. 기저유출은 지표수의 양과 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기저유출 특성은 수자원 관리를 위한 저수량(low-flow) 특성 평가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저유출수 분리기법을 적용하여 단면관측 유량곡선으로부터 기저유출량을 산정하고, 또한 해당단면에 LDM기법을 적용하여 복잡한 형상을 이루고 있는 자연하천의 횡단면에서의 수위-유량 곡선을 실제 측정치와 비교하여, 기저유출이 하천에 미치는 영향과 정량적인 양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 PDF

Studies on the Preserving Method for Inhibiting Feed Degradation (사료변질 방지를 위한 보존방법에 관한 연구)

  • 김대진;방극승;김영길;최경문;김진성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 /
    • v.8 no.1
    • /
    • pp.7-14
    • /
    • 1981
  • The experiment using Anake broiler strain chicks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ort fungistatic agents on microbial counts, Ins of nutrient, growth rate and feed efficiency of the broiler. Feed was adjusted to 12% and 15% moisture level during hot and high humidity season and sorbic acid at the level of 0.02%, 0.04% and Ca-propionic acid at the level 0.1% 0.2% was add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Addition of fungistatic agents could slightly reduce mold and yeast counts. The highest effect on inhibition of mold and yeast counts was observed for the addition of sorbic acid at 0.04% level to the fled contained 15% moisture. 2, Approximately 14% starch loss of ground corn was observed from the fred contained 15% moisture and the loss could be diminished to 3-7% by the addition of fungistatic agents with the superior effect of sorbic acid to Ca-propionic acid. 3. Approximately 15% fat loss was detected when high moisture fled was und and this was reduced to 7% by the addition of 0.04% sorbic acid to the feed. 4. Significantly higher growth rate (p<0.05) during starter period was observed for low moisture feed added by sorbic acid compared with that for high moisture diet without fungistatic agents or with Ca-propionate at the level of 0.1%. 5. Significantly lower feed efficiency (p<0.05) during starter period of high moisture feed without fungistatic agents was observed; hower no significant different response was detected by either moisturer level of kinds and levels of fungistatic agents used. 6. Significantly higher growth rate (p<0.05) during finisher period of lower moisture feed with 0.04% sorbic acid was observed compared with that of high moisture fled without fungistatic agents or the feed added by 0.1% Ca-propionate level. 7. Significantly higher feed efficiency (p<0.05) during finisher period of low moisture feed added by sorbic acid 0.02% or 0.04% level was found compared with that of high moisture feed without fungistatic agents and low moisture feed added by Ca-propionate at the level of 0.1% or 0.2%. 8. Mort bacteria, mold and yeast were observed in the ceca than in small intestine. The. moisture content of dict had no effect on intestinal microfloral counts. However, numbers of mold and yeast of intestine could slightly be reduced by fungistatic agents administration. 9. Nothing but encephalomalacia to chicks fed feed contained 15% moisture without addition of fungistatic agents was observed. In conclusion, addition of either sorbid acid at 0.04% level and Ca-propionate at 0.2% level to high moisture feed or reduced moisture level to 12% could be con-sidered more effective to enhance growth rate and fled efficiency of broilers during summer period.

  • PDF

Hydraulic Assessment about Correlation of Fluvial Movement and River Bed Form on the Narrow Pass of Channel (하천 협소부에서 하상 이동성과 형태와의 상관성에 관한 하도수리학적 평가)

  • Choi, Ho-Kyun;Kim, Won-Il;Lee, Sam-Hee;Ahn, Won-Si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2 no.2
    • /
    • pp.141-148
    • /
    • 2009
  • Each river in each country has peculiar channel characteristics at every section. Korea consists of mountains at the rate of 70%. Due to this, the sections that display unique channel form are scattered. One of the typical features is the narrow pass of channel section that presents in the process of the generation of alluvial channel and deformation channel. Around as this narrow pass of channel, it often comes to be regular flood disaster section. Regardless of this situation, investigations and plans that reflect channel characteristics at the narrow pass of channel have been wholly wanting until now. In accordance with this, we have investigated and analysed hydraulic significance and channel form of the narrow pass of channel in Seonsan in this study. The study has found real minute classification of sediment phenomenon at river bed of low flow channel on investigation section which is sand-bed river, but it was vaguely difficult to conclude that classification of sediment arises from explicit natural force. We were able to assume that the phenomenon comes from gentle bed slope, supply of river bed materials which is nearly uniformity. However, classification of sediment would come from collecting an aggregate rather than natural force. And we found that compound cross section conversion has been developing dramatically with channel form of movable bed section referring to movement which was active before at drainage district of the narrow pass of channel. With this, we could find the phenomenon that river width of low flow channel diminished largely. This kind of situation implies that it may cause compound section weighting, flood dimension decreasing, revetment at low flow channel or the local scour at bottom of levee when extraordinary flood occurs.

Riparian Vegetation Expansion Due to the Change of Rainfall Pattern and Water Level in the River (강우 발생 패턴변화와 하천 수위 변화가 하천식생 발생에 미치는 영향)

  • Kim, Won;Kim, Sinae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7 no.4
    • /
    • pp.238-247
    • /
    • 2020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auses of the rapid expansion of riparian vegetation in river channels in recent years. Accordingly, the changes in the monthly rainfall were analyzed at 19 locations over the period of 1984 to 2018. Moreover, the changes in the water levels of the target river sections of Seom River, Cheongmi River, and Naeseong River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rainfall increased by 30% in April and decreased by up to 49% in the May-September period since 2012. Between 2012 and 2018, when rainfall decreased, the inundation time of the floodplains of the target rivers decreased considerably. The floodplains of Seom River and Cheongmi River were not inundated since 2012 and 2013, respectively. In the case of Naeseong River, the inundation time of the low-water channel drastically decreased since 2013, and there was no inundation in 2015. Consequently, riparian vegetation settled rapidly on the floodplain without any disturbance and continued to expand. The settling and expansion of riparian vegetation reduce the flood capacity of the river channel and can also lead to the loss of the water ecosystem due to terrestrialization.

A Study of Longitudinal Changes in Mother-Child Interaction and its Effect on Media Device Addiction (모-자녀 상호작용 변화 양상에 따른 자녀의 미디어 기기 중독 차이)

  • Yeon, Eun Mo;Choi, Hyo-Si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12
    • /
    • pp.346-353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ypes of longitudinal changes in interactions between mothers and 4-year-old children in primary school as well as the effects on media device addiction. To explore interaction types between mothers and children, latent class growth modeling (LCGM) and BCH were used in a three-step approach. Data from the 6-10th wave of the Panel Study of Korea Children were used. First, the trajectory of the mother-child interactions was linear and decreased across time. This linear decrease was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three trajectories: high-decreasing, average-deceasing, and low-decreasing. Second, BCH was performed to examine media device addiction in each trajectory, and the findings show that children who had low initial mother-child interactions over time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daily disturbances in adaptive functions such as withdraw or tolerance than other groups of children. The results indicate that maximizing the quality of mother-child interactions in childhood through primary school can lower media device addiction in children.

Assessment of the Contribution of Weather, Vegetation, Land Use Change for Agricultural Reservoir and Stream Watershed using the SLURP model (I) - Preparation of Input Data for the Model - (SLURP 모형을 이용한 기후, 식생, 토지이용변화가 농업용 저수지유역과 하천유역에 미치는 기여도 평가(I) - 모형의 입력자료 구축 -)

  • Park, Geun-Ae;Lee, Yong-Jun;Shin, Hyung-Jin;Kim, Seong-Jo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0 no.2B
    • /
    • pp.107-120
    • /
    • 2010
  • The effect of potential future climate change on the inflow of agricultural reservoir and its impact to downstream streamflow by reservoir operation for paddy irrigation water was assessed using the SLURP (semi-distributed land use-based runoff process), a physically based hydrological model. The fundamental input data (elevation, meteorological data, land use, soil, vegetation) was collected to calibrate and validate of the SLURP model for a 366.5 $km^2$ watershed including two agricultural reservoirs (Geumgwang and Gosam) located in Anseongcheon watershed. Then, the CCCma CGCM2 data by SRES (special report on emissions scenarios) A2 and B2 scenarios of the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was used to assess the future potential climate change. The future weather data for the year, m ms, m5ms and 2amms was downscaled by Change Factor method through bias-correction using 3m years (1977-2006) weather data of 3 meteorological stations of the watershed. In addition, the future land uses were predicted by modified CA (cellular automata)-Markov technique using the time series land use data fromFactosat images. Also the future vegetation cover information was predicted and considered by the linear regression between monthly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from NOAA AVHRR images and monthly mean temperature using eight years (1998-2006) data.

Analsys of Roughness Coefficients Due to Bed Material Size (하상재료 입경크기에 따른 조도계수 변화 분석)

  • Kim, Yong-Jeon;Lee, Chan-Joo;Kim, Ji-Sung;Kim,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053-205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국내하천을 대상으로 하상재료에 따른 조도계수 변화를 분석하였다. 조도계수 분석은 수위, 유량, 하천 단면 등을 직접 측정하여 미지질조사국에서 개발한 ncalc모형을 이용하였고 하상재료 분석은 ISO4364, ISO9195 기준으로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하천은 총 17개 하천으로 거석, 호박돌, 자갈, 모래 등 다양한 하상재료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지점으로 선정하였다. 하상 재료 크기 $D_{50}$을 기준으로 하여 모래 자갈 혼합 하천이라 할 수 있는 2mm${\sim}$32mm 구간, 자갈 하천인 32mm${\sim}$64mm 구간, 호박돌 하천인 64mm${\sim}$128mm, 거석 하천인 128mm 이상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실측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된 조도계수는 유량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고유량에서 0.04이하로 수렴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를 하상재료 크기에 따라 구분 지을 경우 입경이 커질수록 유량에 따른 변화 폭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상재료 입경의 크기가 64mm 이하인 하천의 경우 조도계수 변화 범위가 최대 0.02 로 나타난 반면 입경크기가 64mm이상인 하천에서는 최대 0.20 까지 나타나는 결과를 보였다. 조도계수는 일반적으로 수위 증가에 따라 흐름에 저항을 주는 요인들이 침수되면서 감소한다고 보고되었다. 하천의 하상재료 입경이 클 경우 저수위에서 하상재료에 의한 저항요인이 크게 발생되어 수면경사, 흐름 특성 등 조도계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생기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RAM6 Modeling of Flow and Bed Elevation Change in a Reach including a Weir (RAM6를 이용한 보 상하류의 흐름 및 하상변동 예측)

  • Lee, Sung-Jin;Kim, Tae-Beom;Choi, Su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54-58
    • /
    • 2012
  • 하천에 설치된 보의 상류는 유사의 퇴적이 발생하며 하류 하도는 보에 의한 유사 차단 효과로 하상하강이 기대된다. 보 상류 퇴적이 진행되면 저수량이 감소하며 심할 경우 보 자체의 안전도 위협할 수 있다. 또한, 하류 하도에 세굴 및 하강현상이 지속되면 흐름 및 하도의 불안정과 하천 시설물의 안전을 위협하게 된다. 따라서 보 건설에 따른 하도의 퇴적 및 침식 현상을 예측하여 장차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예측하는 것은 공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심적분 2차원 모형에 기초하여 유동 및 하상변동을 모의하는 RAM6 모형을 이용하여 금강 세종보에 적용하였다. RAM6는 흐름특성 변화에 따라 하상이 평형상태로 변화되는 과정을 시간에 따라 모의하고, 하상변화에 따른 흐름특성의 변화를 연계하여 모의하는 2차원 유한요소 모형이다. 세종보를 기준으로 상 하류 2 km, 총 4 km 구간에 대해 수치모의를 실시하였다. 세종보 상하류의 2차원 모의를 위하여 보 주위의 지형정보와 흐름정보를 입력하였다. 보의 제원은 높이 4 m이며, 가동보 223 m, 고정보 125 m로 총연장은 348 m 이다. 보 주위의 흐름과 퇴적 및 침식에 대해 모의하고 이 결과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PDF

Analysis of Runoff Change in YeongSan River Watershed on the Dam Operation (영산강 유역의 댐 운영에 따른 유역 유출 변화 분석)

  • Kim, Nam-Won;Shin, Ah-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00-400
    • /
    • 2011
  • 영산강 유역은 한강, 낙동강, 금강과 더불어 우리나라 4대강 유역 중의 하나로 전라 남 북도에 걸쳐 위치하고 있어 우리나라 남서부의 수자원 공급 및 용수이용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유역 특성상 나주평야와 같이 하천을 따라 평야가 발달되어 곡창지대를 이루고 있으며, 타 유역에 비하여 농경지의 비율이 높기 때문에 용수 이용에 있어 농업용수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따라서 영산 본류 및 지천 상류에는 농업용수의 안정적인 공급을 목적으로 제 1단계 영산강수계 대단위 농업종합개발사업에 의하여 4개의 농업전용 댐(장성댐, 나주댐, 담양댐, 광주댐)이 건설되었다. 이들 댐은 농업전용 댐으로 건설되었으나 댐의 규모와 저수 용량을 기준으로 장성댐, 나주댐, 담양댐은 대규모, 광주댐은 중규모의 댐에 속하기 때문에 농업용수의 안정적인 공급뿐만 아니라 시 공간적으로 유역 전체의 유출 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역모형인 SWAT-K 모형을 이용하여 영산강 유역의 댐 운영이 유역 유출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장기간의 유출 분석을 바탕으로 모형의 댐 모의기작에 의하여 댐 모의를 제한하여 유역 내에 댐이 없는 상태를 가상으로 모의하여 유역의 자연유량을 산정하고, 이에 따른 유역의 전체 유출 변화에 댐이 미치는 영향을 시 공간적으로 분석하여 유역의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