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서환경

Search Result 60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Effect of Sand Extraction on Meiobenthic Community of Jangbong-do in the Eastern Yellow Sea of Korea (서해 주문도 연안 사질 조하대에서의 해사채취가 중형저서동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 연구)

  • Kang, Teawook;Min, Won-Gi;Hong, Jae-Sang;Kim, Dongsu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2 no.2
    • /
    • pp.138-152
    • /
    • 2014
  • The objective of the study surve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marine sand extraction on community composition and rate of recolonization of the meiobenthos following cessation of mining activities. Because of meiobenthic distribution in nature, high abundance, intimate association with sediments, fast reproduction, benthic larva period, sensitivity to pollution and rapid life histories, meiobenthos are widely regarded as ideal organisms to study the potential ecological indicator of natural and anthropogenic stresses. The community structure of meiobenthos was studied at seven stations within sandy tidal and sub tidal zones in Jangbongdo in the Yellow Sea, Korea from Aug. 2006 to Dec. 2007. Meiobenthic samples were collected by three core samples, with a 3.6 cm in diameter, from each sediment sample taken with a Smith-McIntyre Grab. It was found that sand mining often causes complete removal of the sediment and the damage to the habitats of meiobenthos. This study in the effect showed that sand mining resulted in a reduction in total abundance and biomass of meiobenthos in mining area. The finding of this study further showed that initial restoration of abundance and biomass within one year of the cessation of sand mining.

Community Structure and Health Assessment of Macrobenthic Assemblages at Spring and Summer in Garorim Bay, West Coast of Korea (가로림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춘계와 하계의 군집구조 및 건강도 평가)

  • Jung, Rae-Hong;Seo, In-Soo;Lee, Won-Chan;Kim, Hyung-Chul;Kim, Jeong-Bae;Choi, Byoung-Mi;Yun, Jae-Seong;Na, Jong-H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0 no.5
    • /
    • pp.491-503
    • /
    • 201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mmunity structure and health assessment of macrobenthic assemblages in Garorim Bay, West Coast of Korea. Macrobenthos were collected by van Veen grab sampler at May(spring) and July(summer) 2012. A total of 247 species occurred and mean density was $1,625\;ind.\;m^{-2}$, both of which were dominated by annelid polychaetes(120 species and $1,241m^{-2}$). Dominant species were the polychaetes Ampharete arctica, Lumbrineris longifolia, Mediomastus californiensis and Euclymene oerstedi, with a density of 445(${\pm}1,837\;ind.\;m^{-2}$), 103(${\pm}148\;ind.\;m^{-2}$), 55(${\pm}83\;ind.\;m^{-2}$) and 50(${\pm}104\;ind.\;m^{-2}$), respectively. The study area was divided into 3 station group based on the cluster analysis and nMDS ordination. These assemblage were : 1)the group 1 and 2 were associated with coarse sediment dominated stations and 2)the group 3 was connected with a mixed and fine sediment dominated stations group. The BPI and AMBI index were applied to assess the benthic ecological status. The ecological status of the Garorim Bay was "good status(slightly polluted)" to "high status(normal)" at most sampling stations during spring and summer. In conclusion, the two marine biotic index calculated shown that the Garorim Bay had a good ecological status.

풍수지리 이야기 5

  • Kim, Ho-Nyeon
    • 공원문화
    • /
    • s.76
    • /
    • pp.89-99
    • /
    • 1999
  • 인간은 그동안 자연의 위협을 많이 정복했기 때문에 자연환경에 예민할 필요가 없어져 전통적인 지혜에 무관심하게 되었다. 그러나 풍수지리는 우리 선대들이 남긴 생활의 고급지혜다. 우리 조상들은 풍수지리설을 삶의 지혜로서 지금의 과학만큼 믿고 신봉해왔다. 우리의 전통문화, 특히 민중의 생활양식은 풍수사상과 얽히지 않은 것이 없을 정도다. 근래에 이르러 한때 토속신앙도 무너지고 풍수설은 미신으로 격하되기도 했으나 최근 들어서는 건축, 역사, 환경, 민속학, 조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풍수지리설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게 사실이다. 풍수지리의 어제 오늘 내일을 이야기 식으로 재미있게 풀이한 저서 "땅을 알고 터를 잡자"(김호년 저)를 몇차례로 나누어 싣는다.

  • PDF

풍수지리 이야기 4

  • Kim, Ho-Nyeon
    • 공원문화
    • /
    • s.75
    • /
    • pp.100-111
    • /
    • 1999
  • 인간은 그동안 자연의 위협을 많이 정복했기 때문에 자연환경에 예민할 필요가 없어져 전통적인 지혜에 무관심하게 되었다. 그러나 풍수지리는 우리 선대들이 남긴 생활의 고급지혜다. 우리 조상들은 풍수지리설을 삶의 지혜로서 지금의 과학만큼 믿고 신봉해왔다. 우리의 전통문화, 특히 민중의 생활양식은 풍수사상과 얽히지 않은 것이 없을 정도다. 근래에 이르러 한때 토속신앙도 무너지고 풍수설은 미신으로 격하되기도 했으나 최근 들어서는 건축, 역사, 환경, 민속학, 조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풍수지리설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게 사실이다. 풍수지리의 어제 오늘 내일을 이야기 식으로 재미있게 풀이한 저서 "땅을 알고 터를 잡자"(김호년 저)를 몇차례로 나누어 싣는다.

  • PDF

풍수지리 이야기 3

  • Kim, Ho-Nyeon
    • 공원문화
    • /
    • s.74
    • /
    • pp.101-116
    • /
    • 1998
  • 인간은 그동안 자연의 위협을 많이 정복했기 때문에 자연환경에 예민할 필요가 없어져 전통적인 지혜에 무관심하게 되었다. 그러나 풍수지리는 우리 선대들이 남긴 생활의 고급지혜다. 우리 조상들은 풍수지리설을 삶의 지혜로서 지금의 과학만큼 믿고 신봉해왔다. 우리의 전통문화, 특히 민중의 생활양식은 풍수사상과 얽히지 않은 것이 없을 정도다. 근래에 이르러 한때 토속신앙도 무너지고 풍수설은 미신으로 격하되기도 했으나 최근 들어서는 건축, 역사, 환경, 민속학, 조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풍수지리설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게 사실이다. 풍수지리의 어제 오늘 내일을 이야기 식으로 재미있게 풀이한 저서 "땅을 알고 터를 잡자"(김호년 저)를 몇차례로 나누어 싣는다.

  • PDF

문치가자미 (Lymanda yokohamae) 피부계의 지지세포 및 선세포 미세구조

  • 박정준;김재원;강주찬;이정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389-390
    • /
    • 2000
  • 어류의 피부계는 크게 상피층과 진피층으로 구성되고, 상피층을 구성하는 세포들의 종류와 발달정도는 종, 연령, 생활환경 그리고 이들의 생리적 상태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변화한다 (Henrikson and Natoltsy, 1968; Burton and Everard, 1991; Eastman and Hikida, 1991; Hertwig et al., 1992: Park et al., 1995; Lee and Kim, 1999). 본 연구는 저서 정착성 어류인 문치가자미의 피부 상피층 구성 세포들의 미세구조를 기재함으로서 추후 이들 어류의 생활환경 및 생리적 변화에 따른 피부계의 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풍수지리 이야기 6

  • Kim, Ho-Nyeon
    • 공원문화
    • /
    • s.77
    • /
    • pp.83-109
    • /
    • 1999
  • 인간은 그동안 자연의 위협을 많이 정복했기 때문에 자연환경에 예민할 필요가 없어져 전통적인 지혜에 무관심하게 되었다. 그러나 풍수지리는 우리 선대들이 남긴 생활의 고급지혜다. 우리 조상들은 풍수지리설을 삶의 지혜로서 지금의 과학만큼 믿고 신봉해왔다. 우리의 전통문화, 특히 민중의 생활양식은 풍수사상과 얽히지 않은 것이 없을 정도다. 근래에 이르러 한때 토속신앙도 무너지고 풍수설은 미신으로 격하되기도 했으나 최근 들어서는 건축, 역사, 환경, 민속학, 조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풍수지리설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게 사실이다. 풍수지리의 어제 오늘 내일을 이야기 식으로 재미있게 풀이한 저서 "땅을 알고 터를 잡자"(김호년 저)를 몇차례로 나누어 싣는다.

  • PDF

풍수지리 이야기 1

  • Kim, Ho-Nyeon
    • 공원문화
    • /
    • s.72
    • /
    • pp.62-71
    • /
    • 1998
  • 인간은 그동안 자연의 위협을 많이 정복했기 때문에 자연환경에 예민할 필요가 없어져 전통적인 지혜에 무관심하게 되었다. 그러나 풍수지리는 우리 선대들이 남긴 생활의 고급지혜다. 우리 조상들은 풍수지리설을 삶의 지혜로서 지금의 과학만큼 믿고 신봉해왔다. 우리의 전통문화, 특히 민중의 생활양식은 풍수사상과 얽히지 않은 것이 없을 정도다. 근래에 이르러 한때 토속신앙도 무너지고 풍수설은 미신으로 격하되기도 했으나 최근 들어서는 건축, 역사, 환경, 민속학, 조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풍수지리설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게 사실이다. 풍수지리의 어제 오늘 내일을 이야기 식으로 재미있게 풀이한 저서 "땅을 알고 터를 잡자"(김호년 저)를 몇차례로 나누어 싣는다.

  • PDF

풍수지리 이야기 2

  • Kim, Ho-Nyeon
    • 공원문화
    • /
    • s.73
    • /
    • pp.66-74
    • /
    • 1998
  • 인간은 그동안 자연의 위협을 많이 정복했기 때문에 자연환경에 예민할 필요가 없어져 전통적인 지혜에 무관심하게 되었다. 그러나 풍수지리는 우리 선대들이 남긴 생활의 고급지혜다. 우리 조상들은 풍수지리설을 삶의 지혜로서 지금의 과학만큼 믿고 신봉해왔다. 우리의 전통문화, 특히 민중의 생활양식은 풍수사상과 얽히지 않은 것이 없을 정도다. 근래에 이르러 한때 토속신앙도 무너지고 풍수설은 미신으로 격하되기도 했으나 최근 들어서는 건축, 역사, 환경, 민속학, 조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풍수지리설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게 사실이다. 풍수지리의 어제 오늘 내일을 이야기 식으로 재미있게 풀이한 저서 "땅을 알고 터를 잡자"(김호년 저)를 몇차례로 나누어 싣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