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저분자 물질

검색결과 211건 처리시간 0.031초

저분자량 polyethylene과 urea-formaldehyde 수지를 이용한 microencapsulation에 의한 곤충 페로몬의 model 화합물들의 slow release (Slow release of microencapsulated model compounds of insect pheromone using low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and urea-formaldehyde resin)

  • 김정한;오원택;김용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2호
    • /
    • pp.110-116
    • /
    • 1991
  • Wall 물질로 저분자량 polyethylene(LMPE)과 urea-formaldehyde 수지를 이용하여 일반적 인 저분자 페로몬과 유사한 특성과 구조를 갖는 모델 화합물로서 citral, n-octanol, 그리고 쌀바구미, 옥수수바구미의 집합 페로몬 활성을 갖는 $({\pm})-5-hydroxy-4-methyl-heptan-3-one$을 microencapsulation하였다. Microencapsulation된 형태는 작은 입자형태의 분말상이었으며, LMPE를 wall물질로 사용한 것 보다는 urea-formaldehyde수지를 사용한 경우가 더 우수한 형태의 polymer를 얻었다. 또한 core 물질의 slow release 효과를 용매 추출법과 headspace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n-octanol과 citral은 40일 이상 그리고 5-hydroxy-4-methyl-heptan-3-one은 15일 이상 지속 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slow release되는 방식은 LMPE보다 urea-formal-dehyde 수지가 상대적으로 초기 감소 경향이 완만하며 core 물질을 일정양씩 더 지속적으로 휘발시켰다.

  • PDF

부추의 항균활성 물질의 분리 (Separ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s from Korean Leek (Allium tuberosum))

  • 홍정화;이미형;강민철;허성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35-240
    • /
    • 2000
  • 식품의 항균물질 분리에 있어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오차와 손실이 많아 실용화 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현재 일반적인 분리법으로 유기용매분획법, 크로마토그래피 등이 있으나,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며 시료에 따라 항균활성이 소실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전편의 '부추의 미생물학적 항균활성 특성과 가공식품에의 응용'에 이어 부추의 항균활성 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방법을 정립하고 항균활성 물질을 확인하였다. 부추의 항균활성 물질 분리를 위하여 ultrafiltration, liquid-liquid extraction, TLC, HPLC 순으로 정제하였다. Ultrafiltration 결과 항균물질은 분자량 5,000 dalton 이하의 저분자 물질이었고, TLC로 분리된 8개의 spot중 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1개의 spot을 추출하여, HPLC로 유효 peak 2개를 얻었고 각 peak성분을 GC/MS로 확인한 결과 cis-propenyl methyl disulfide, 5-methyl methylthiosulphonate, dimethyl disulfide등의 황화합물로 구성된 복합물질로 확인되었다.

  • PDF

춘천시 여름철 강우중의 유기산의 농도 (Formic and Acetic acid in summer season′s precipitation at Chunchon)

  • 홍영민;김현진;윤나라;이보경;김만구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34-336
    • /
    • 2002
  • 최근 이십여년 동안 대기 중에 존재하는 저분자량 카르복실산의 역할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어 왔다. 주로 아세트산과 포름산으로 존재하는 저분자량의 카르복실산은 대류권의 여기저기에 기체상으로 존재하거나, 수용액 상이나 혹은 에어로솔이나 입자상물질의 표면에 녹거나 흡착되어 있는 형태로 존재한다. (중략)

  • PDF

Ar-GCIB를 이용하여 ToF-SIMS에서 얻은 쥐의 뇌조직 이미지

  • 손현경;이태걸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6년도 제50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378.1-378.1
    • /
    • 2016
  • 나노바이오연구분야에서 ToF-SIMS를 이용하여 lipid와 metabolite같은 저 분자의 생체물질을 측정하는데 널리 이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고 분자량의 생체물질을 측정하기 위해서 C60, water cluster, argon cluster등의 다양한 종류의 클러스터 이온빔들이 개발되어 왔다. [1,2] 하지만 tissue샘플을 클러스터 이온빔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도 m/z 1500이상의 고분자를 측정한 결과는 거의 없다. 바이오샘플의 charging을 상쇄하기위해 low energy electron beam (~20 eV)을 사용하는데, low energy electron beam이 샘플에 damage를 주기 때문이다. [3] 본 연구에서는 electron fluence (electrons/cm2)가 증가함에 따라 PC(16:0/18:1(9Z)와 Ganglioside GM1의 intensity가 감소함을 알았고, low energy electron beam에 의해 생체 물질이 damage를 받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tissue 샘플을 SUS기판에 샘플링하고 Ar-GCIB를 이용하면 charging없이 tissue imaging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m/z 2000이상의 고 분자량의 생체물질을 측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대추 추출물의 fibrinolytic activity에 관한 연구 (Studies on Fibrinolytic Activity of Jujube (Zizyphus mauritiana) Extract)

  • 이민경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57-359
    • /
    • 2006
  • 대추 추출물에서 fibrin을 가수분해 하는 생리활성 물질이 존재함을 알고 이 추출물의 열과 산에 대한 안정성 및 그 특징을 조사 하였다. Fibrin plate method 를 사용하여 측정된 fibrinolytic activity 는 대추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았으며, 이 추출물은 $100^{\circ}C$ 에서 10분간 열처리시에 안정한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pH 2.0, 3.0, 4.0 에서 3시간 보관후 fibrinolytic activity 를 측정한 결과 control의 8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투석후 (분자량 12,000) 에는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는 대추에서 추출한 fibrin 분해 생리활성 물질이 분자량이 낮은 저분자 물질임을 알 수 있었다.

In vitro에서 메밀 다당분획이 casein 가수분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uckwheat Polysaccharides on the Digestibilty of Casein in vitro)

  • 손흥수;이정선;라경수;곽재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66-870
    • /
    • 1995
  • 본 실험에서는 메밀에서 추출한 다당분획이 in vitro에서 casein 가수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처리방법(날것, 볶은것, 찐것)을 달리한 메밀로부터 추출한 다당중 분자량 10,000 이상의 고분자 가용성다당(HMS-P)과 저분자 불용성다당(LMI-P)이 in vitro에서 trypsin에 의한 casein의 가수분해율을 각각 $80{\sim}89%$, $69{\sim}99%$ 감소시켰으며, 분자량 10,000 이하의 저분자 가용성다당(LMS-P)은 $5{\sim}7%$ 감소시켰다. Chymotrypsin에 의한 가수분해율은 고분자 가용성다당(HMS-P)과 저분자 불용성다당에서 각각 $63{\sim}88%$, $71{\sim}79%$이였으며 저분자 가용성다당은 $2{\sim}5%$였다. Casein 가수분해율을 현저히 감소시킨 볶은 메밀로부터 추출한 다당을 casein과 흔합하여 trypsin과 chymotrypsin으_로 각각 가수분해시킨 후 가수분해산물을 Sephdex G-100 column에 통과시켰다 Casein만 가수분해시켰을 때와 저분자 가용성다방(LMS-P)을 첨가했을 때에 가수분해물은 total volumne에서 1개의 peak가 용출되었으나 고분자 가용성다당(HMS-P)과 저분자 불용성다당(LMI-P)에서는 void volumne에서 고분자량의 peptide peak가 1개 더 용출되었다. Casein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고분자 가용성다당(HMS-P)의 구조를 분식한 결과 주로 1,4결합의 glucose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량의 1,6결합의 glucose와 단일 glucose도 함유되어 있었다. 따라서 메밀로부터 추출한 고분자 가용성다당분획에 의한 casein 가수분해율의 감소는 다당에 의한 것이라기 보다는 괌자량 10,000이상의 수용성물질에 의한 것으로 추측된다.

  • PDF

잔나비버섯 자실체로부터 분리한 물질의 특성 및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Substance Extracted from the Fruit Body of Formitopsis rosea)

  • 정호권;이준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22-127
    • /
    • 2001
  • 잔나비버섯 자실체로부터 열수추출하여 얻어진 고분자 및 저분자 분획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대하여 검토하였다. 고분자와 저분자 분획은 당과 단백질 및 소량의 hexosamine을 함유하고 있었다. 구성 당은 주로 glucose, galactose, mannose와 소량의 xylose, fructose, ribose 및 arabinose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아미노산의 경우는 당과 단백질의 결합력에 관여하고 있는 Ser과 Thr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고분자 분획의 분자량은 10 kD 부근에서 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보체활성은 고분자 분획에서 높았으며, 항체생성능은 대조군에 비해 약간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탐식능, NO 및 $TNF-{\alpha}$ 생성능은 서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효소적 및 비효소적 지질과산화 유발에 대한 영향은 고분자 및 저분자 분획에서 모두 억제능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잔나비버섯 자실체로부터 추출한 고분자 및 저분자 분획은 면역활성 및 지질 과산화 억제효과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자외선 조사한 대장균 B 주의 세포분열 회복활성물질 -Magnesium에 의한 활성물질의 안정화- (Detection of the Recovery Substance for Cell Divison in UV-Irradiated Escherichia coli B -Stabilization of the Active Substance by Magnesium-)

  • Song, Bang-Ho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65-173
    • /
    • 1979
  • 자연선조사한 대장균B주의 세포분열회복활성분을 구명코저 자외선내성균인 대장균 B/r 주의 초음파추출액으로부터 활성성분分을 분리한 결과 $\beta$-NAD가 관여함이 발표되었다. 본고에서는$\beta$-NAD 이외 Magnesium이 활성물질의 안정화가 중요한 역할을 나타냄을 구명하였으며 10~30%의 서당밀 도구배원심분리에 의해 2 개의 새로운 활성부분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2 개의 활성물질 가운데 하나는 원심관의 최하부에 위치하였으며 또 다른 하나는 상부의 분자량 45,000 부위에서 회수되었다. 하부에 위치한 활성획분은 Mg++이 그 활성에 무관하였으나 상부의 저분자 활성부분은 $Mg^{++}$을 첨가하지 않으면 회수가 불가능하였다. 저분자활성부분은 pronase에 대해 감수성이었으며 DNA-ligase 는 아님이 추정되었다. 초원심분리과정에 $N_2$ gas를 처리할 경우 aeration에 비해 약 2 배의 활성이 나타났다. $Mg^{++}$$\beta$-NAD에 또하나의 회복활성 및 필수적인자로 요구된다고 생각된다.

  • PDF

수용성 Chitosan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Water Soluble Chitosan)

  • 김동호;이찬;김광옥;이영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3-90
    • /
    • 1999
  • 천연 고분자 물질인 chitosan을 효소 가수분해시켜 수용성이며, 이미 이취가 없고 점성이 낮은 chitosan 분해물을 제조하여 식품첨가물로서의 이용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Chitosan의 효소적 분해 반응조건을 chitosan : enzyme이 1 : 0.3, $40^{\circ}C$, 20hr으로 정하였을 때 56%의 각 분획별$(M.W.\;3{\sim}100\;kDa)$ 수율을 얻을 수 있었다. 수용성 chitosan의 용해도는 작은 분자량(3 kDa 이하)일수록 증가하였으며, 점도는 분자량이 클수록 증가하였고, 고분자량(100 kDa 이상)에서는 pH가 높을수록 점도가 증가하였다. 지방 결합능력은 저분자$(3{\sim}30\;kDa)$ chitosan에서는 약 500%의 지방결합능력을 나타내었고, 30 kDa 이상의 고분자량에서는 약 800%의 지방결합능력을 나타내었다. 유화 안정성은 저분자의 수용성 chitosan일수록 낮은 유화안정성을 나타내었고, 냉동-해동 안정성은 분자량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나타났다. 표면색도는 각 분자량대별로 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Cholesterol 결합능력은 $3{\sim}0.2\;kDa$의 chitosan 분해물질이 가장 작은 결합력(24.7%)을 보였고, 나머지 chitosan 분해물질은 비슷한 결합력을 보였다. 수용성 chitosan의 관능적 특성은 분자량$(3{\sim}100\;kDa)$이 작을수록 쓴맛과 떫은맛의 강도가 현저히 낮게 나타났고, 큰 분자량(100 kDa 이상)에서는 비린내가 감지되었다.

  • PDF

CCIGC 기법을 사용한 SBS/cyclic solvent 시스템에서의 확산계수 측정 및 해석 (Measurement and Analysis of Diffusivity for SBS/cyclic Solvent Systems Using CCIGC Technique)

  • 김지의;홍성욱
    • 공업화학
    • /
    • 제25권2호
    • /
    • pp.147-151
    • /
    • 2014
  • 많은 고분자 공정에서 고분자에서의 유기 용매와 같은 저분자 물질의 확산은 중요하다. 고분자에서의 저분자 물질의 이동은 중합 반응기의 효율성과 제조된 고분자의 특성을 결정한다. 공정을 설계하고 최적화하는데 중요한 물성값은 고분자/용매 상호확산 계수이다. 용매의 농도가 매우 낮은 무한희석 상태에서의 고분자/용매 계의 무한확산계수를 측정하기 위해서 capillary column inverse gas chromatography (CCIGC) 기법이 흔히 사용된다. 이 기법을 사용하면 비교적 짧은 시간에 확산계수와 분배계수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CCIGC 기법을 사용해서 styrene/butadiene/styrene (SBS) 블록 공중합체에서 환형 구조를 가지는 용매의 확산계수와 분배계수를 다양한 온도 범위에서 측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