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저분자 물질

검색결과 211건 처리시간 0.033초

참치자숙액 추출물 중의 히스티딘계 저분자 펩타이드 및 산화촉진물질 함량에 미치는 추출방법의 영향 (Effects of Extraction Method on the Histidine Containing Low Molecular Weight Peptide and Pro-oxidants Contents of Tuna Boiled Extracts)

  • 강옥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49-357
    • /
    • 2008
  • In an effort to augment extractability of carnosine and anserine at the levels of pro-oxidants such as iron and protein in Tuna boiled extracts(Skipjack, Yellowfin and Bigeye), we assessed the effects of heated and ion exchange chromatography(IEC) and ultrafiltration(UF) using a MW 500 cut-off(500 MWCO). We also evaluat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se extracts processed as free radical scavengers and reducing agents. Tuna boiled extracts of dark and ordinary muscle protein and total iron were reduced, whereas carnosine and anserine concentrations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increased. The carnosine and anserine concentrations of the ion exchange and permeate UF(IEC-UF) extracts were higher than those observed in the heated and permeate UF(heat-UF), whereas the protein and total iron contents were lower than that observed in the heat-UF. The quantity of carnosine and anserine in ordinary muscle was higher than that detected in dark muscle. HPLC analysis and SDS-PAGE were shown to removes the effect of UF on high molecular weight impurities in the tuna boiled extracts. The major free amino acids(FFAs) from Skipjack, Yellowfin and Bigeye tuna IEC-UF extracts were anserine, histidine and carnosine. These three peptides constituted more than 80~85%. of the detected amino acid. The IEC-UF treated ordinary muscle extracts evidenced the highest levels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he highest levels of reducing power among the various extracts. The IEC-UF extracts evidenced a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equal to that of 1mM ascorbic acid.

Maillard 반응에서 유래되는 저분자 Carbonyl 화합물의 DNA손상작용에 대한 활성산소종의 역할 (Role of Active Oxygens on DNA Damage by Low Molecular Carbonyl Compounds Derived from Maillard Reaction)

  • 김선봉;박성준;강진훈;변한석;박영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65-570
    • /
    • 1990
  • Plasmid pBR322 DNA와 Maillard 반응생성물중 카르보닐화합물인 glyoxal, methyl glyoxal, dihydroxyacetone, diacetyl, glyceraldehyde, glycolaldehyde 및 furfural 등과 각각 37$^{\circ}C$에서 반응시켰을때 나타나는 DNA 손상능과 활성산소소거제에 의한 DNA손상억제 작용을 agarose gel 전기영동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카르보닐화합물을 37$^{\circ}C$에서 6시간 동안 반응시켰을 경우, furfural을 제외한 모든 카르보닐화합물에 DNA 손상능이 나타났는데, 그 중에서도 glyoxal, methyl glyoxal 및 dihyd-roxyacetone 이 diacetyl, glyceraldehyde 및 glyco-laldehyde보다 BNA의 손상능이 크게 나타났다. 또한 plasmid DNA와 카르보닐화합물의 반응계에 각종 활성산소소거제의 첨가를 통하여 이들 카르보닐화합물에 대한 DNA의 손상을 검토한 결과 일중항산소, 과산화수소, superoxide anion 등이 주요원인물질로 밝혀졌으며, hydroxyl radical은 그 작용이 미약하거나 거의 영향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고추역병과 시들음병을 방제하는 토착길항세균 Pseudomonas fluorescens 4059의 선발과 길항기작 (Selection and Antagonistic Mechanism of Pseudomonas fluorescens 4059 Against Phytophthora Blight Disease)

  • 정희경;김상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12-316
    • /
    • 2004
  • 토양 우점능이 강한 생물학적 방제제 제조를 위해 경북지역 토양에서 길항균주를 분리하고 이들 중 Fusarium oxysporum, Phytophthora capsici 에 강력한 길항능을 보이는 Pseudomonas sp. 4059 를 선발, 동정하였다. Pseudomonas sp. 4059 의 시들음 병균 Fusarium oxysporum, 고추 역병균 Phytophthora capsici 에 대한 길항기작은 내열성 저분자의 항생물질과 철이온을 특이적으로 흡착하는 siderophore의 생산에 의한 것이다. Pseudomonas sp. 4059 는 항진균성 항생물질 Phenazine 생산 유전자를 소유하며 Salkowski test에 양성인 옥신류 생산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Pseudomonas sp. 4059 는 bioochemical tests, API test, MicroLogTM system을 통해 Pseudomonas fluorescens (biotype A)으로 98% 상동성을 보였으므로 이를 Pseudomonas fluorescens (biotype A) 4059 로 명명하였다. 선발된 길항균 Pseudomonas fluorescens (biotype A) 4059는 고추를 기주식물로 하였을 때 고추역병균인 Phytophthora capsici가 원인이 되는 고추역병을 in vivo 상에서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생물방제능을 나타내었다.

Low-k plasma polymerized methyl-cyclohexane thin films deposited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

  • 조현욱;권영춘;양재영;정동근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00년도 제18회 학술발표회 논문개요집
    • /
    • pp.98-98
    • /
    • 2000
  • 초고집적(ULSI) 반도체 소자의 multilevel metalization을 위한 중간 유저네로서 저 유전상수(k<)와 높은 열적안정성(>45$0^{\circ}C$)을 갖는 새로운 물질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합체 박막은 낮은 유전상수와 높은 열적 안정성으로 인하여 low-k 물질로 적당하다고 여겨진다. PECVD에 의한 plasma polymer 박막의 증착은 많이 보고되어 왔으마 고밀도 플라즈마 형성이 가능하고 기판으로 유입되는 ion의 energy 조절이 가능한 inductively coupled plasma(ICP) CVD에 의한 plasma polymer 박막에 대한 연구는 보고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Mtehyl-cyclohexane precusor를 사용하여 substrate에 bias를 주면서 inductively coupled plasma(ICP)를 이용하여 플라즈마 폴리머 박막(plasma polymerized methyl-cyclohexane : 이하^g , pp MCH라 칭함)을 증착하였으며 ICP power와 substrate bias(SB) power가 증착된 박막의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증착된 박막의 유전상 수 및 열적 안정성은 ICP power의 변화에 비해 SB power의 변화에 더 크게 영향을 받았다.^g , pp MCH 박막은 platinum(Pt) 기판과 silicon 기판위에서 같이 증착되었다. Methyl-cyclohexane precursor는 4$0^{\circ}C$로 유지된 bubbler에 담겨지고 carrier 가스 (H2:10%, He:90%)에 의해 reactor 내부로 유입된다.^g , pp MCH 박막은 증착압력 350 mTorr, 증착온도 6$0^{\circ}C$에서 \circled1SB power를 10W에 고정시키고 ICP power를 5W부터 70W까지, \circled2ICP power를 10W에 고정시키고 SB power를 5W부터 70W까지 변화하면서 증착하였다. 유전 상수 및 절연성은 Al/PPMCH//Pt 구조의 capacitor를 만들어서 측정하였으며, 열적 안정성은 Ar 분위기에서 30분간의 열처리 전후의 두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분석하였다. SB power 10W에서 ICP power가 5W에서 70w로 증가함에 따라 유전상수는 2.65에서 3.14로 증가하였다. 열적 안정성은 ICP power의 증가에 따라서는 크게 향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ICP power 10W에서 SB power가 5W에서 70W로 증가함에 따라 유전상수는 2.63에서 3.46으로 증가하였다. 열적 안정성은 SB power의 증가에 따라 현저하게 향상되었으며 30W 이상에서 증착된 박막은 45$0^{\circ}C$까지 안정하였고, 70W에서 증착된 박막은 50$0^{\circ}C$까지 안정하였다. 열적 안정성은 ICP power의 증가에 따라서는 현저하게 향상되었다. 그 원인은 SB power의 인가에 의해 활성화된 precursor 분자들이 큰 에너지를 가지고 기판에 유입되어 치밀한 박막이 형성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 PDF

오징어 간 가수분해물의 기능성 (Functionalities of Squid Liver Hydrolysates)

  • 이수선;박시향;박주동;;최영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677-1685
    • /
    • 2012
  • 북해도산 오징어 간의 유효이용을 목적으로 자가소화물과 Protamex 가수분해물을 제조하고 이들의 식품학적 특성과 몇 가지 기능성을 조사하였다. 자가소화를 위한 최적 조건은 간의 함량 93.5%, pH 6.4, 항온온도 $47^{\circ}C$였으며, Protamex 가수분해의 최적 조건은 오징어 간에 대한 Protamex의 첨가비율 0.33%, pH 6.0, 가수분해온도 $55^{\circ}C$이었다. Promatex 가수분해물의 총 아미노산 조성에서 proline, cysteine 및 methionine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유리아미노산 조성에서는 검출되었다. 오징어 간, 자가소화물 및 Promatex 가수분해물의 카드늄 함량은 건조 중량으로 각각 $8.32{\pm}0.03$ mg/100 g, $3.56{\pm}0.02$ mg/100 g, $13.26{\pm}0.04$ mg/100 g으로서 식품안전 규정 이하의 농도로 감소시키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다. 자가소화물의 주요 저분자 물질의 분자량은 1.0~1.5 kDa인 반면, Protamex 가수분해물은 210~470 Da이었다. 자가소화물과 Protamex 가수분해물 간에 표면 소수성, 유화활성 지표, 유화안정성, 지방 및 수분 흡착능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높은 ACE 효소 저해효과가 관측되었다. 한편 HepG2 세포주에 대한 독성은 200 ${\mu}g/mL$까지 관측되지 않았다.

유기솔더 보존제용 폴리(비닐 피리딘) 공중합체의 합성 및 특성평가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Poly(vinyl pyridine) Copolymers for Organic Solderability Preservatives)

  • 임정혁;이현준;허강무;김창현;이효수;이창수;최호석
    • 폴리머
    • /
    • 제30권6호
    • /
    • pp.519-524
    • /
    • 2006
  • 나노피막을 형성하는 유기솔더 보존제의 주성분인 저분자 imidazole계 유기물을 대체할 수 있는 고분자 물질을 합성하였다. Cu와 같은 금속과의 접착성이 종은 비닐 피리딘을 주요 단량체로 하였고 물성 개질을 위한 공중합용 단량체로 아크릴아미드와 알릴아민을 사용하였다. 다양한 조성의 공중합체를 제조하여 코팅성, 용해도, 열적 특성, 산화방지 특성 등의 유기솔더 보존제로서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공중합체중 알릴아민을 함유한 공중합체의 경우 전반적으로 Cu pad에 대해 뛰어난 코팅능과 열적안정성을 보였고, 분자량 및 알릴아민 함유량에 따라 그 특성이 변화하였다. Oxygen induced temperature를 측정하여 시간에 따른 열 안정성을 확인해 본 결과 $230^{\circ}C$까지는 70분이상 동안 아무런 산화반응에 의한 열량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고, 모든 알릴아민계 공증합체가 산소조건하에서 $200^{\circ}C$에서 1시간 동안 무게감량의 변화가 거의 없었으므로 충분한 열적 안정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Glucose의 Caramel형 갈색화반응 중간생성물의 Sephadex G-15에 의한 분별물의 항산화성 (Antioxidant activity of fractionated materials by Sephadex G-15 of Caramelization type browning reaction products of Glucose)

  • 이진영;안명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8-85
    • /
    • 1987
  • D-glucose와 D-glucose에 citric acid를 첨가한 용액을 6, 12, 24, 36, 45시간 가열하여 얻은 갈색화반응 중간 생성물과 Sephadex G-15로 분별한 분별물의 색깔 강도와 12, 24, 48시간 반응시킨 갈색화중간생성물의 대두 유기질에 대한 항산화효과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색깔강도는 D-glucose단독의 경우보다 citric acid를 첨가한 때에, 또 가열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보여지며 반응생성물의 sephadex G-15에 의한 분별물의 색깔강도는 sample A~F에서 모두 고분자량인 Fraction II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중 glucose에 citric acid를 첨가한 Sample F의 fraction II가 가장 높은 흡광도를 보였다. 또한 무수 ethanol로 추출한 분별물의 대두유 기질에 처한 항산화효과는 초기에 분별된 Fraction I을 제외하고는 모두 Control보다 좋은 항산화효과를 나타내었으며 Sample D를 제외한 ample A, B, C, D, E, F의 Fraction I은 30일 저장시에 control보다 오히려 산패가 더 촉진되었고 fraction IV, V의 부분에서 좋은 항산화효과를 나타내어 초기에 분별된 고분자물질보다 후기에 분별된 저분자물질이 더 좋은 항산화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고, 색깔강도의 결과와 같이 가열진행시간이 길어질수록 또 citric acid가 첨가된 경우가 항산화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citric acid가 첨가되면 가열시간에 따른 항산화효과의 증가폭이 glucose 단독인 때보다 적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전통 메주 유래 미생물이 생산하는 효소에 의한 대두단백 분해물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Soy Protein Hydrolysates with Enzymes Produced by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Traditional Meju)

  • 정낙현;신용서;김성호;임무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80-88
    • /
    • 2003
  • 대두단백 가수분해 산물의 맛과 향을 개선하기 위해 효소에 의한 가수분해 system을 확립하기 위하여 단백질 가수분해 패턴이 서로 다른 효소로 생산된 단백 분해산물의 가수분해도와 표면 소수도 등을 측정하였다. 이들 분해물의 pattern을 SDS 전기영동으로 조사하였고, 효소반응에 의한 단백질분해물의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각 균주가 생산한 단백질 분해효소의 pH 변화에 따른 효소의 활성은 No. 16 효소(Bacillu megarerium Bl6)와 No. 4효소(Aspergillus oryzae M4)는 pH 7.0에서 No. 95효소(Bacillu subtilis YG 95)와 No. 5효소(Mucor circinelloides M5)는 8.0에서 가장 높은 효소반응 활성을 보였다. 또한 반응온도에 따른 효소활성의 크기는 4가지 효소 모두 45$^{\circ}C$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대두단백질 분해물의 SDS 전기영동 pattern변화에서, Bacillus megaterium Bl6과 Mucor circinelloides M5의 효소 (No. 16, No. 5)는 반응 후 분자량이 비교적 큰 peptide가 많이 생성되었으며, 효소반응 3시간 경과 후에도 분자량 66KD의 peptide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Bacillus subtilis YG 95와 Aspergillus oryzae M4의 효소(No. 95, No. 4)는 분자량 15KD∼45KD 미만의 작은 분자량의 peptide 물질이 주로 생성되었으며, 반응 2시간 경과후에는 30KD 미만의 저분자 Peptide가 주로 생성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HPLC 분석 결과와 일치하였다. 가수분해가 진행됨에 따라서 SDS 표면소수도가 크게 저하되었으며, Aspergillus oryzae M4 효소의 분해물의 가수분해도가 가장 높았다. 관능검사 결과, No. 4(Aspergillus oryzae M4)와 No. 95(Bacillus subtilis YG 95) 가 강한 쓴맛을 나타내었다. 각각의 효소들을 조합해서 분해한 단백분해물을 관능검사한 결과, Aspergillus oryzae M4 효소와 조합된 것의 대두단백질 분해물이 비교적 강한 쓴맛을 나타내었다. 분해물의 단맛은 시료별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Bacillu megarerium Bl6과 Aspergillus oryzae M4를 조합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단맛의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와 같은 효소특성을 이용하여 대두단백질을 가수분해를 하였을 때 다양한 단백질 분해물의 제조에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태반 추출물 주사 후 발생한 과민성 폐장염 1예 (A Case of Hypersensitivity Pneumonitis Following Placenta Extract Injection)

  • 이상석;추영광;방창석;김윤섭;박재석;지영구;김도형;명나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6권6호
    • /
    • pp.471-476
    • /
    • 2009
  • 과민성 폐장염은 감수성 있는 사람이 특정 유발물질에 노출됨으로써 폐실질과 말초 기관지에 육아종성 염증을 일으키는 면역질환이다. 과민성 폐장염은 동물성 및 식물성 항원, 저분자 화학 물질, 세균 및 곰팡이 등의 미생물 흡인에 의해 유발 될 수 있으나 본 증례처럼 주사제에 의한 사례는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특별한 노출력 없는 건강한 여성에서 태반 추출물 주사 후 발생한 과민성 폐장염의 첫 사례를 경험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표고 재배 중 톱밥 배지의 물리적 성질과 목재 화학성분 변화 (Changes in Physical Properties and Wood Chemical Components of sawdust medium during Oak Mushroom (Lentinula edodes) Cultivation)

  • 이종신;강석구;양승민;김진경
    • 한국균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91-300
    • /
    • 2022
  • 참나무 톱밥을 이용한 표고버섯 톱밥봉지 재배는 원목재배에 비하여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어 국내 톱밥배지 재배 농가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동안 표고 톱밥재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보고된 바 있으나, 주요 연구 내용은 톱밥배지 제조 시 혼합하는 농산부산물 영양원 첨가제의 종류와 첨가효과, 톱밥 배지 재배에 적합한 신품종 개발, 참나무 발효 톱밥과 생 톱밥 간의 재배 특성 비교 등이 있으며, 배지 구성 물질 중에서 표고의 주 영양원인 참나무 톱밥의 재배 기간 중 목재 화학적 성분 변화에 대한 보고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균 배양 및 버섯 수확 기간 중 배지의 물리 및 톱밥의 목재 화학 성분 변화 등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종균 접종 후 배양 기간 중에 배지의 중량 감소가 발생하며, 이것은 배지 함유 수분의 증발이나 톱밥 목질부의 분해에 의한 현상이 아니고, 배지 중에 첨가한 저분자 수용성 물질인 쌀겨가 먼저 균사에 의해 분해, 이용되기 때문이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또한 배양 중에 균사 생장 배지의 함수율이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균사 생장과 함께 유기물 분해 과정인 이화작용이 진행되어 분해 산물인 물이 생성됨으로써 배지의 함수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표고버섯 수확이 반복하여 진행됨에 따라 톱밥의 목재 세포벽 주성분인 홀로셀룰로오스와 리그닌 등 유기물 비율이 꾸준하게 감소하였으며, 특히 리그닌 감소 비율이 크게 나타나 백색부후균인 표고 균의 목재 세포벽 성분 분해 특징이 확인되었다. 이에 반하여 무기물 성분으로 이루어진 회분은 수확 횟수 증가와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것은 홀로셀룰로오스와 리그닌의 유기물 비율이 감소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로 나타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