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류공원

Search Result 23,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Introduction and Classification System of Reservoir Park Mitigating Flood (홍수대응 다목적 재해대응 저류공원의 도입과 분류체계 연구)

  • Moon, Soo-Young;Jung, Seung-Hyun;Yun, Hui-Ja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12
    • /
    • pp.646-659
    • /
    • 2018
  • This study proposed "Reservoir Park", which added disaster prevention function to urban green spaces such as city parks through domestic and overseas related laws review, case studies, field trips. This is a combination of urban parks and reservoirs as urban planning facilities, which can provide both space for daily use by urban residents and disaster mitigation functions in case of emergency. In order to prevent flooding in urban areas due to climate change, facilities should be installed in the form of parks, etc., as the reservoir facility should be systematically reviewed together with urban planning facilities.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reservoir park was not clear as a theme park. In this study, the types of storage facilities in urban areas were reclassified into five types of storage park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green spaces through domestic case studies and field trips. The classification of the reservoir parks is classified into 5 kinds such as ecological type, vegetation cover type, exercise facility type, underground burial type and hybrid type based on groundwater level, human use, and reservoir size. This classification system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types of facilities to be built after designating the location of future storage facilities.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Water Quantity of the Rainwater Detention System based on the Planning Simulation in the Wonheungs' ecological park (모의실험에 의한 청주S(3)택지개발지구 원흥이생태공원일대 우수저류시설의 빗물저류효과 분석 연구)

  • Kim, Gi-Soo;Lee, Tae-Gu;Hwang, Hee-Yeun
    • KIEAE Journal
    • /
    • v.7 no.2
    • /
    • pp.25-30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water quantity of the rainwater detention system based on the Planning Simulation in Residential Areas.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consists of two main parts. The first part is to calculate the supply water quantity of the rainwater detention system and the demand water quantity of the Wonheungs' ecological park. The second part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demand and supply of water quantity, based on the Planning Simulation, in the rainwater detention system.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environment-friendly site planning methods which increase the quality of residential environment in apartment housing.

Study on Flood Control Effect with Movable Weir (가동보 설치에 따른 홍수조절효과 분석)

  • Park, Jong-Pyo;Kim, Tae-Won;Hwang, Tae-Ha;Park, Gu-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259-1263
    • /
    • 2008
  • 인천청라 경제자유구역내의 중앙호수공원을 대상으로 100년빈도 홍수시 Off-Line저류지로써 횡월류부에 가동보 설치에 따른 공촌천 홍수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서해조위 및 배수갑문 운영 등의 다양한 변수를 고려해야 하는 본 하천의 특성상 흐름상태의 시 공간적 변화를 고려하고 Off-Line 저류지 해석에 있어 실제 지형을 충분히 반영할수 있는 HEC-RAS 부정류 해석을 수행하였다. 부정류 모의 시 가동보의 도복을 합리적으로 검토 하기 위해 도복발생 시간을 기준으로 2단계에 걸쳐 부정류 모의를 수행하였다. 즉, 1단계에서 호수공원 횡월류 Weir높이를 가동보 높이로 고정하고 부정류 모의를 수행하여 공촌천의 호수공원 횡월류부 지점의 수위가 가동보 높이와 같아지는 시간을 찾고, 2단계에서 그 시간을 기준으로 호수공원 횡월류 Weir높이를 가동보가 없을 때의 높이로 부정류 모의를 수행하여 공촌천의 내수위를 검토하였으며, 가동보가 설치되지 않았을 때의 결과와 비교하여 가동보 설치에 따른 홍수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방법에서 검토된 공촌천 내수위의 적정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배수갑문 운영에 따른 수위 변화를 모의 할 수 있는 Gate 모형으로 공촌천 하류의 배수갑문 지점에 대한 내수위를 산정하였으며, 하천 상류구간의 배수영향을 HEC-RAS를 이용한 부등류 모의를 추가적으로 수행하여 본 연구방법의 결과와 비교 검토하였다. 공촌천의 내수위 비교를 통한 홍수조절효과 분석결과 $2{\sim}3cm$ 정도의 홍수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이 가동보 설치에 따른 홍수조절효과분석 시 적용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Flood-Control Effects of Side-weir Detention Basin Under Submerged flow (불완전 횡월류 흐름 발생시 강변저류지의 홍수조절효과 분석)

  • Kim, Seo-Jun;Kim, Sang-Hyeok;Byeon, Hyeon-Hyeok;Yoon, Byu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3-73
    • /
    • 2012
  • 강변저류지는 제방의 일부분을 낮추어 홍수량을 저류하는 방식으로 홍수기에는 홍수조절효과를 얻을 수 있고, 비홍수기에는 습지, 농경지, 생태공원 및 스포츠 시설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친환경적 치수 구조물이다. 강변저류지의 홍수조절효과는 강변저류지 설치 전 후의 첨두 홍수량 또는 첨두 홍수위 차이로 정의할 수 있고, 이것의 정확한 산정을 위해서는 횡월류부 흐름형태에 따른 횡월류량 계산이 필요하다. 횡월류부의 흐름은 하도와 저류지의 수위에 따라 완전 횡월류 흐름과 불완전 횡월류 흐름으로 분류할 수 있다. 완전 횡월류의 경우 위어의 형상과 하도의 흐름에 따라 하나의 유량계수가 결정되는 반면, 저류지의 수위가 월류턱 보다 높아 흐름에 저항을 주는 불완전 횡월류 흐름의 유량계수는 하도와 저류지의 수위변화에 따라 변화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차원 부정류 수치모형인 HEC-RAS를 이용하여 완전 횡월류만 발생하는 경우와 불완전 횡월류도 발생하는 경우에 대한 강변저류지 홍수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

Evaluating the Effect of Low Impact Development on Yeongsan River Stream (영산강 수계 저영향개발(LID)의 수질효과 평가)

  • Kim, Seok-Gyu;Kang, Jea-Hong;Park, Se-Hwan;Ko, Kwang-Yong;Ha, Do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57-457
    • /
    • 2011
  • 저영향개발(LID, Low Impact Development)은 물순환체계 개선을 위해 녹색 공간의 확보, 자연형 공간 조성, 자연상태의 수문순환 기능의 유지 기법 등을 활용한 개발 대상지에서의 강우유출 및 비점오염원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다. LID는 강우 유출수의 지하침투, 강우 종료시 증발산량의 확보, 강우 유출수의 재이용 등을 통한 강우 유출량을 최소화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LID 방법은 우수저류 공원, 생태저류지, 지붕층 저류공원, 보도 저류공간, 인공습지, 완충녹지대, 수목 보존지대, 지붕층 배수관, 강우 저장조, 투수성 포장, 토양 개량, 불투수층 최소화, 비점오염원 저감 등으로 효율성, 경제성, 유연성, 합리성, 토지 가치증대 등의 장점이 있다. 영산강 수계의 BOD 배출부하량이 점오염원(21,019kg/일)과 비점오염원(50,047kg/일)의 비율이 3:7 로 비점오염원 배출부하량이 훨씬 큰 상태이다. 특히, 광주광역시, 농업용 토지, 축산계 등의 비점오염원이 영산강 수질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원의 영향이 큰 영산강 수계를 대상으로 앞으로 이루어지는 개발계획을 분석하여 LID 기법을 적용하였을 때 영산강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모델링을 통해 예측하고자 한다. 수질개선에 어느 정도의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국내 실정에 맞고 QUAL2E 모델을 근간으로 WASP5 모형의 장점들을 접목시켜 Bottle BOD의 반응기작 및 조류의 생산에 의한 유기물 증가, 탈질화 반응 등 정체수역에서 일어날 수 있는 반응기작을 모의할 수 있도록 보완한 QUALKO2 모형을 이용하여 그 효과를 모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LID 기법이 도시화에 영향을 얼마나 덜 주는지, 수계의 비점오염원 효과를 통해 물순환 체계의 개선이 어느 정도로 어루어지는지에 대한 효과를 검증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Multiple Regression Models for the Prediction of Flood Control Capacity with Land Use Plan in the Development of Complex Area (단지개발에서 토지이용계획을 고려한 홍수조절용량 예측 다중회귀모형 개발)

  • Park, Yong-Soo;Lee, Chung-Hee;Park,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740-745
    • /
    • 2006
  • 최근 중 소규모의 도시개발, 택지개발, 유통단지, 산업단지, 주택단지 조성 등의 단지개발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재해영향평가 및 사전재해영향성 검토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단지개발은 보통 지구지정 또는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개발계획 승인을 받고 실시설계를 통하여 실시계획을 승인을 받는 절차를 갖는다. 이에 효율적인 토지이용계획을 위하여 개발계획 승인전에 수십 회의 토지이용을 변경하고 또한 실시계획승인 전에도 토지이용계획은 수회의 변경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재해영향평가 및 사전재해영향성검토를 초기단계에서 수행하는 실무자들은 토지이용계획의 빈번한 변경으로 인하여 저류지 규모 산정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단지개발의 토지이용계획 특성상 투수지역이 다소 있는 단지, 투수지역인 공원 녹지, 불투층인 도로 주차장으로 주로 구성된다는 공통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의 심의 완료된 재해영향평가보고서들을 인용, 각 단지개발의 토지이용계획도를 고려한 저류지 홍수조절용량을 산정하는 경험적이고 통계적인 다중회귀모형을 개발하였다. 금회 유도된 다중회귀모형식은 재해영향평가 및 사전재해영향성검토를 수행하는 실무자에게 행정계획단계뿐만 아니라 개발사업단계에서도 신속하게 저류지 규모를 개략 산정하고, 비전문가인 검토자가 신속히 홍수조절용량의 적정성을 검토하는데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ffect Analysis of Stormwater Reduction in Urban Stream according to Installation of PN Rainwater Storage (PN 빗물저류조 설치에 따른 도시하천 우수저감 효과분석)

  • Moon, Young-Il;Kee, Young-Ock;Yoon, Sun-Kwon;Moon, J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22-422
    • /
    • 2011
  • 지난 2010년 9월 21일 서울을 비롯한 우리나라 중부지역에 급습한 집중호우로 인하여 저지대 및 지하 공간 등에 상당한 홍수피해가 발생하였다. 이는 도심지역의 기존 수방대책의 한계점을 절실히 드러낸 호우사상으로 향후 극한 강우에 대비한 대응책 마련이 시급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도심지역의 집중호우에 의한 홍수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구조적 대책으로 저류조 설치를 고려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역에 시공이 간편하며 유지관리가 편하고 공사비가 저렴한 PN(Plastic Nodular) 빗물저류조를 설치하였을 경우 타 공법에 비하여 장점으로 부각될 수 있는 효과와 집중호우시 우수저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PN 빗물저류조 설치시 상부 토지이용계획이 가능하며 사업비의 절감과 악취, 해충발생에 따른 민원 및 안전사고 등의 문제점이 해소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호우시에는 방재 기능과 갈수기에는 부족수량을 대체 이용할 수 있으며 평상시 저류조 상부는 근린공원과 체육시설 및 별도의 부족한 차량의 주차장 공간 등으로 이용 가능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nalysis of flood reduction by installation virtual underground storage on Public Facilitys (공공시설 내부 가상지하저류조 설치 시 침수저감 분석)

  • Lee, Jae Gwang;Tak, Yong Hun;Kim, Yeong Do;Gang, Bu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32-132
    • /
    • 2018
  • 홍수피해 발생 시 각 지역의 특성에 따라 피해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도시지역의 경우 포장도로로 인하여 불투수 면적이 넓어 배제 시설의 허용 용량을 초과하는 강우 발생 시 지표면 위로 유량이 누적된다. 특히 농촌지역에 비해 도시지역에서 국지적으로 기습적인 강우에 빈번히 침수피해가 발생한다. 우리나라 도시지역은 인구와 건물이 밀집되어 재산과 인명피해 및 교통체증 등으로 인한 간접피해 등 농촌지역에 비해 더 큰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도시 지역의 침수 피해 저감을 위해 우수 유출 저감시설과 내수배제 시설을 설치하여 우수의 유출을 지연시키거나 인위적으로 방류부 하천으로 방류시키는 방법이 있지만 이러한 시설의 설치에는 막대한 비용이 필요하며, 내수배제시설이 설치된 장소에 따라 침수현상이 다르게 나타나 저감시설 설치 전 공간적, 효율적으로 설치 가능한 장소와 침수 저감 효율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도림1 배수분구를 대상으로 XP-SWMM모델을 이용하였으며, 2010년 09월 21일 침수 발생 당시의 강우를 적용하여, 연구대상지역의 도시유출해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어린이 공원과 학교운동장에 가상지하저류조를 설치하였을 시 침수저감 효과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다양한 지하저류조 설치 시나리오에 따른 침수저감효과를 수심별 침수면적으로 나타내어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심지 지하 저류시설 도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stimation of Pump Capacity in Detention Reservoir for Reducing Urban Inundation (도시침수 저감을 위한 빗물저류조 펌프용량 산정)

  • Lee, Yong Sik;Lee, Eui Hoon;Ngo, Thi Thuy;Kim, Joong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04-40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도시침수 저감을 위한 여러 구조적인 시설물 중에서도 빗물저류조의 펌프 적정 용량 산정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규모로 설치되어 자연 방류를 하는 온라인 빗물저류조와 달리 우수 관망 내 설치된 오프라인 빗물저류조의 경우 도심지에 위치하여 규모에 한계가 있으며 신설이나 증대 등에도 제한이 있다. 따라서 기존 빗물저류조 능력의 최대화가 필요하다. 현재 빗물저류조 펌프 운영시스템은 일정 수위 이상이거나 강우 종료 후 토출을 시작하므로 연속강우에 대한 대처가 취약하다. 연속강우에 대한 빗물저류조 능력의 최대화를 위해서는 기존 배제시간 검토가 필요하다. 이를 통하여 펌프 적정 용량을 산정함으로써 도시침수 저감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림3 어린이공원 빗물저류조를 대상으로 여러 기왕강우를 적용하여 도시침수를 저감할 수 있는 펌프의 적정 용량을 산정한다.

  • PDF

A Study on Drainage Facilities in Mountainous Urban Neighborhood Parks - The Cases of Baebongsan Park and Ogeum Park in Seoul - (산지형 도시근린공원의 배수시설 특성 - 서울시 배봉산공원과 오금공원을 사례로 -)

  • Lee, Sang-Su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8 no.5
    • /
    • pp.80-9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rainage facilities in mountainous urban neigbborhood parks--Baebongsan Park and Ogeum Park--in Seoul. Based on an analysis of existing drainage facilities, the volume of storm water runoff (VSW), the runoff rate of open channels(ROC), and the detention capacity of open charmels(DCOC) by each drainage watershed, the coefficient of runoff rate(CROC) as evaluated to be relevant between VSW and ROC and the coefficient of the detention capacity of open channe1s(CDCOC) as evaluated with DCOC compared to VSW were estimated and analyzed by parks and by watershe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total drainage area of Baebongsan Park was 34.13ha including surface runoff area(15.05ha; 44.09%), open channel area(l4.60ha; 42.78%), and natural waterway area(4.48ha; 13.13%). The total drainage area of Ogeum Park was 20.39ha including open channel area (10.14ha; 49.73%), ridge-side gutter area(7.17ha; 35.16%), surface runoff area (2.52ha; 12.36%), and natural waterway area (0.56ha; 2.75%). In Baebongsan Park, the portion of surface runoff was comparatively higher while the portion of artificial drainage area was higber in Ogeum Park. 2. In Baebongsan Park drainage districts were largely divided: VSW was $7.28m^3/s$ in total(average $0.23m^3/s$). Comparatively, tbe VSW in Ogeum Park, including smaller drainage districts, was $4.37m^3/s$ in total(average $0.12m^3/s$). 3. The ROC of Baebmgsan Park was $11.58m^3/s$ in total(average $0.77m^3/s$) and the CROC was 5.26, while in Ogeum Park, the ROC was $15.40m^3/s$(average $0.34m^3/s$) and tbe CROC was 8.87 higher than that of Baebongsan Because the size and slope of the open channel in Baebongsan Park was higher, the average ROC was larger, while tbe CROC of Ogeum Park was higher than that of Baebongsan Park, for the VSW in Ogeum Park was comparatively lower. 4. The DCOC in Baebongsan Park was $554.54m^3$ and the average of CDCOC was 179.83. That of Ogeum Park was $717.74m^3$ and the average of the CDCOC was 339.69, meaning that the DCOC of Ogeum Park was so much higber that drainage facilities in Ogeum Park were built intensively. This study was focused m the capacity of the drainage facilities in mountainous urban neighborhood parks by using the CROC to evaluate relevance between VSW and ROC and the CDCOC to evaluate the DCOC as compared with VSW. The devised methodology and coefficient for evaluating drainage facilities in mountainous urban neighborhood parks may he universally applicable through additional study. Further study m sustainable urban drainage systems for retaining rainwater in a reservoir and for enhancing ecological value is required in the near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