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재활환자교육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5초

개별화된 교육이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불안과 자가간호수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Individualized Education on Stroke Patients' Post-discharge Anxiety and Self-care Compliance)

  • 박형숙;이미헌;하재현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8
    • /
    • 201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individualized education on stroke patients' post-discharge anxiety and self-care compliance. Methods: It was a pretest-posttest design with non-equivalent groups. A total of 32 hospitalized stroke patients in experimental group were given individualized education three times at one day before, the day of and one week after discharg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x^2$-test. Results: The scores of anxiety at posttest were $45.66{\pm}9.58$ in control group and $35.44{\pm}8.21$ in the experimental group. Self-compliance scores were $44.00{\pm}7.99$ in control and $61.06{\pm}7.69$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se indicate that anxiety score is significantly lower (t=-4.58, p<.001), and self-compliance score is significantly higher (t=8.70, p<.001) in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If stroke patients receive a relevant individualized education, it could help reduce their anxiety. Also it would be useful to maintain and improve their self-care compliance after discharge.

영상처리 기반 재활 환자의 헬스케어 개선을 위한 낙상예방 프로그램 개발 : 예비연구 (Development of Fall Prevention Program for Improvement of Healthcare in Rehabilitation Patients Based on Image Processing : A Preliminary Investigation)

  • 강소라;윤중대;유진원;나창호;허성진;김예순;문종훈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887-896
    • /
    • 2018
  • 본 예비연구는 낙상예방 프로그램이 종합병원 입원환자의 낙상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중재 전, 인천에 위치한 I병원에 입원하여 재활치료를 받는 환자 190명의 낙상발생빈도를 확인하였다. 낙상의 원인은 환자 보호자 및 치료사의 부주의, 치료사의 업무 부담의 가중, 침상의 높이, 보호자의 부재와 같은 치료실 환경의 문제로 나타났다. 저자들은 PDCA 모델을 통하여 문제점을 인식한 후 낙상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낙상예방 프로그램의 구성은 낙상예방교육 동영상을 제작하여 환자 및 보호자에게 교육하였고, 환경개선 및 치료사교육을 2개월 간 수행하였다. 중재 후, 낙상 발생률의 분석은 2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낙상발생률은 중재 전과 비교하여 통증치료실은 34.1~66.7%가 줄었으며, 운동/작업치료실은 21.3~40.8%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낙상예방 프로그램이 입원환자의 낙상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낙상예방 모델 중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노인 뇌졸중 환자의 여가형태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 (Quality of life of Elderly Chronic Stroke according to types of leisure)

  • 고영경;김황용;이소연;손보영;방요순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117-124
    • /
    • 2011
  • 본 연구는 노인 뇌졸중 환자의 여가 형태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를 파악하고, 건강한 삶을 위한 여가 수행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광주광역시 병원의 노인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직접 설문조사하였다. 일반적인 특성, 질병 관련 특성, 여가 관련 특성은 기술 분석을, 여가형태에 따른 횟수, 시간, 비용과 삶의 질은 t검정을, 교육, 목적 및 만족도는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다. 사회적 여가는 개인적 여가에 비해, 목적이 분명하고 긍정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삶의 질이 높았다. 반면 여가 시간은 짧았고, 많은 비용을 요구 하였다. 노인 뇌졸중 환자의 사회적 여가는 개인적 여가에 비해 수행에 제한 요인은 있었으나, 삶의 질을 향상을 위해 사회적 여가를 더욱 활성화시켜야할 것으로 생각한다. 그리고 사회적 여가의 관련 요인을 체계적으로 파악한 후속 연구를 통해 지지 전략을 제시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전자 드럼 연주 시 노래부르기 유무에 따른 만성 뇌졸중 환자의 피로도 및 운동 수행력 비교 (The Level of Fatigue and Motor Performance During Drum Playing Depending on Co-Presence of Singing Tasks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 김현지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4권2호
    • /
    • pp.71-9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악기연주 시 동반되는 노래부르기 과제의 유무에 따라 피로도 및 운동 수행력이 달라지는지 비교함으로써 뇌졸중 환자의 신체 재활 시 활용 가능한 악기연주 및 노래부르기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노인 복지관과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12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로,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에 각각 6명씩 무작위 배정하였다. 연구 진행 시 2회기에 걸쳐 실험 집단은 전자 드럼 연주와 함께 노래부르기를, 비교 집단은 전자 드럼 연주만을 수행하였으며, 각 집단에 따라 피로도, 운동자각도, 활동 참여도, 드럼 타력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자 드럼 연주와 함께 노래부르기를 한 실험 집단이 전자 드럼 연주만 실시한 비교 집단에 비해 피로도와 운동자각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전자 드럼 연주와 노래부르기를 복합 과제로 제시하였을 때 활동 참여도 역시 높게 나타남에 따라 향후 이를 사용한 음악치료 중재 시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 시 동반되는 노래부르기가 신체 운동에 대한 주의를 노래부르기로 전환시키고 참여 동기를 증진시켜 지속적인 움직임 유도 시에도 피로도 또는 운동자각도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신체 재활 시 반복적인 운동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운동 수행력을 높일 수 있는 복합적인 치료적 개입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암성 통증관리 교육이 암 환자의 통증과 통증관리 염려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ancer Pain Management Education on the Pain and the Concerns of Pain Management in Cancer Patients)

  • 신순복;이명화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90-103
    • /
    • 2003
  • Pain management is a major issue in caring of cancer patients. Because pain management cancer patient of does not control effectively, it is important to educate reporting pain and using analgesics for having cancer patient's concerns and anx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cancer pain management education on the pain and concerns of pain management in cancer patients. This study was a quasi-experimental as nonequivalent control pretest-post test design.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50 (experimental group 25, control group 25) patients hospitalized in K university hospital in Busa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1, 2001 to April 12, 2002. The measurement tool for the concerns of pain management had used questionnaires interpretated by Kim(1999) developed by based Ward(1993) and pain nominal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requency, percentage, mean, SD, $X^2$-test, t-test, ANC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1st hypothesis :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had received the cancer pain management education were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score of pain" was not supported (p>0.05). 2. The 2nd hypothesis :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had received the cancer pain management education were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in concerns of pain management" was supported (F=5.285, p<0.01). In conclusion, the cancer pain management education can know what was effective to decrease in the concerns of pain management in cancer patients. Therefore, Pain Management Education must be positively utilized in clinical situation.

  • PDF

대장암 수술 후 퇴원 환자에게 적용한 컴퓨터 기반 애니메이션 동영상 교육의 효과 (Effects of a Discharge Education Program using Computerized Animation Video for Post-operative Colon Cancer Patients)

  • 김영미;김민영;권원경;김호숙;박승현;천명숙;한혜정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7-46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 nurse-led education program using computerized animation video for post-operative colon cancer patients. Methods: a total of 163 patients and 51 nurse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ost-test design,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77 got traditional education, 46 were applying brochure, 40 were watching video). Twelve-item animation video and brochure about the management after discharge for post-operative colon cancer patients were developed based on patient survey and the items of Korea Healthcare Accreditation. Results: The computerized video watching group had better satisfaction than the other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bout comprehension. When video was applied, satisfaction, usefulness, application, and perceived patients' comprehension of nurses were all increased. Conclusion: This video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by nurses and it had a special thing for patient to access the same program even after discharge using the authorization system. It would be helpful for nurses to be more concentrated on the direct care for hospitalized patients as well as for patients to provide self-care at home. This program would be adjusted into more various diseases and settings.

치료적 노래부르기를 통한 두경부암 환자의 말산출 기능 향상 사례 (Therapeutic Singing on Speech Production Parameters in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Case Studies)

  • 김주희;김수지
    • 재활복지
    • /
    • 제22권3호
    • /
    • pp.189-208
    • /
    • 2018
  • 본 연구는 세 명의 두경부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말산출 관련 기능 개선을 목표로 치료적 노래부르기 중심의 음악중재를 시행하고, 각 사례 별로 변화를 관찰 기술한 사전-사후 개별 사례연구이다. 중재는 개별 세션의 형태로 매 회기 30분, 주 2회씩 총 12회기 동안 진행되었으며, 시행된 프로그램은 호흡근 이완을 위한 신체움직임, 조음기관의 운동범위 확장 및 성대이완을 위한 발성훈련과 치료적 노래부르기의 총 3단계로 구성되었다. 중재에 따른 대상자들의 말산출 관련 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음성의 질, 길항반복운동속도(diadochokinesis, DDK), 모음공간면적(vowel space area, VSA) 변화 등의 음향학적 분석과 <산책>문단 읽기 과제 시의 청지각적 평가를 시행하였고, 프로그램 참여 시의 관찰 및 사전 사후 면담을 통해 대상자의 심리정서적 변화를 추가적으로 살펴보았다. 중재 과정에서 모든 대상자의 재활동기 및 음성 사용에 대한 긍정적 변화 양상이 관찰되었고, 중재 후에는 음성의 질, DDK에 변화가 있었으며, VSA의 확대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치료적 노래부르기 중심의 음악중재프로그램이 두경부암 환자들의 음성 기능 및 잔존하는 조음기관 운동성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퇴원한 정신분열병 환자와 가족에 대한 지역사회복지관에서의 단기가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iveness of Brief Family Education Programs for Schizophrenic Outpatients and their Families in a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

  • 설진화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2호
    • /
    • pp.261-283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퇴원한 정신분열병 환자와 가족에 대한 지역사회복지관에서의 단기가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전형적인 실험연구인 전-후 시험 통제집단설계를 이용하여 그 개입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지역사회복지관에서의 단기가족교육 프로그램이 정신분열병 환자 가족의 정신분열병에 대한 병적 지식, 가족의 정신분열병 환자에 대한 거부감과 불안 그리고 정신분열병 환자가 인지하는 가족의 정서적 지지에서 긍정적인 개입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볼 때, 지역사회복지관에서의 단기가족교육 프로그램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치료와 재활 그리고 환자 가족의 안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 자원으로서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문 인력의 확보, 보다 다양한 프로그램 내용의 개발, 프로그램 종료 후의 가족모임에 대한 지원 등을 지속적인 연구와 함께 제안하였다.

  • PDF

재활병동에 입원한 뇌졸중 환자의 구강건강 및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예비연구 (A Study on the Oral Health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Stroke Patients in a Rehabilitation Ward: A Pilot Study)

  • 김은경;김민선;이희경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27-133
    • /
    • 2016
  • 이번 연구는 영남대학교의료원 재활병동에 입원 중인 뇌졸중 환자 78명을 대상으로 구강위생 및 건강,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검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Gingival index는 3명(3.8%)의 대상자만이 정상소견에 해당하는 code 0의 상태를 보였으며 이외 대다수의 대상자는 치은의 출혈 소견을 의미하는 code 2 이상의 수치를 보였다. CPI code의 경우에는 42명(53.8%)의 대상자가 중등도 치주염 및 중증의 치주염을 의미하는 code 3 또는 4의 상태를 보였다. CPI에 따라 대상자를 분류한 결과 치주염이 심한 그룹이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교육수준이 낮고 흡연경험이 있었으며 잔사, 치석 지수 및 치은 건강이 유의하게 불량하였다.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일상생활수행도 및 인지능력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재활병동에 입원 중인 뇌졸중 환자의 구강위생 상태는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뇌졸중 환자의 구강건강의 악화를 방지하며 나아가 환자의 전신적 회복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구조모형방정식을 이용한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의 환자의료정보 보호행동 예측모형 개발 (A Prospective Model of Behavior of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ists of The Confidentiality of Patient Medical records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 이인희;박희준;윤경일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71-80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에서 기밀한 환자의료정보를 다루는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 행동의 예측모형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계획된 행동 모델이론과 계획된 행동 모델에 습관, 사회적 압력, 업무 편리성의 변수를 추가하여 확장 모델 1, 2로 환자의료기록을 보장하는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전치 요소들을 설명하는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A 시의 120명의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20부의 설문지가 배포되었으며, 110부가 회수되어 91.6%의 응답률을 보였다. Independent t test와 one-way ANOVA를 사용하여, 나이 임상 경력, 성별, 직장 내 구성원과 교육 수준에 따른 각 군 간의 차이를 검증하였으나,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모델에서 제안된 개념들 간의 관계는 구조모형방정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조모형방정식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확장 모델 2가 TpB 모델과 확장된 모델 1보다 효과적인 모델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