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재활용 패션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1초

중고등학생의 업사이클링 인지와 업사이클 패션제품 구매행동에 따른 환경의식, 의복재활용행동, 패션관심 (Environmental consciousness, clothing recycling behavior and interest in fashion by awareness of upcycling and purchasing behavior for upcycled fashion products of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 박자명;신혜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89-99
    • /
    • 2014
  •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업사이클링에 대한 인지와 업사이클 패션제품 구매행동에 따른 환경의식, 의복재활용행동, 패션관심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중고등학생의 환경의식은 여자가 남자보다 높으며, 의복재활용행동은 디자인계 고등학생이 일반계 고등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패션관심은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디자인계 고등학생이 일반계 고등학생보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업사이클링에 대한 인지는 낮게 나타났는데 중학교와 일반고보다 디자인고에서 그리고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많이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사이클링에 대한 정보는 인터넷과 방송매체를 통해 얻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업사이클링에 대해 인지하는 학생들이 인지하지 못하는 학생들보다 환경의식, 의복재활용행동, 패션관심 모두 높게 나타났다. 중고등학생은 업사이클링에 대한 인지가 높지 않아 업사이클 패션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적으며, 구매경험이 있는 학생들은 환경의식, 의복재활용행동과 패션관심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업사이클 패션제품을 구매한 이유는 독특함과 디자인 때문인 것으로 나타나 환경보호 차원에서 시작된 업사이클 패션제품이라고 하더라도 제품의 디자인이 구매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패션이 환경오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인식유형 (Types of perception about the impact of fashion on environmental pollution)

  • 차수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5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1호
    • /
    • pp.149-150
    • /
    • 2022
  • 본 연구는 20대에서 60대까지의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환경오염과 패션산업의 관계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조사하고 그 인식을 유형화하였다. 이를 통해 패션산업이 환경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패션과 환경오염에 대한 인식유형은 4개로 분석되었다. 제1유형은 의류를 생산하는 과정과 소비하는 과정이 환경오염을 유발한다고 인식하지만, 패스트패션을 선호하고 트렌드를 중시하는 유형이었다. 제2유형은 패션산업이 공기와 수질을 오염시킨다고 생각하며, 가격이 비싸다면 리사이클링 의류를 구매하지는 않는 유형이었다. 제3유형은 패션산업이 환경오염의 주범이 아니라고 생각하며, 옷을 구매하면 오래 착용함으로써 환경을 지켜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제4유형은 환경을 먼저 고려하고 헌 옷을 구매하고 옷을 바꿔 입는 등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는 유형이었다. 환경의 중요성이 커진 만큼 패션분야에서도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Understanding MZ Generation's Perceptions and Preferences for Eco-Friendly Consumption and Upcycled Souvenirs

  • Cheon Yu;Su-Joung Cha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4호
    • /
    • pp.151-163
    • /
    • 2023
  • 본 연구는 친환경 소비에 대한 MZ세대의 인식과 친환경 기념품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업사이클링 제품을 구매하는 이유로는 디자인, 가격, 차별성, 환경보호 등의 순으로 나타나 디자인이 제품 구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업사이클링 기념품 구매 시에도 디자인을 가장 많이 고려하였다. 환경문제에서는 환경오염의 심각성을 가장 크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패션제품의 재활용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친환경적인 패션제품 구매행동에서는 유행하는 옷보다 오래 입을 수 있는 옷을 선택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환경이나 친환경상품에 대한 관심이 있을 때 업사이클링 제품에 대한 구매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업사이클링 제품 구매 경험이 있을 경우 친환경 패션상품과 패션제품 재활용에 대한 인식이 높고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과 업사이클링 기념품에 대한 인식은 남성보다 여성이 높았다. 추후 연구에서는 업사이클링 제품, 환경문제, 소비자행동, 업사이클링 기념품 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해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패션라이프스타일, 사장 및 재활용행동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Relations between Fashion Life Style & Consumer Behavior at Decline Stage of the Fashion Life Cycle)

  • 권기대;김승호;이순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80-291
    • /
    • 2002
  • This study was to apply FLC(Fashion Life Cycle) concept with extended PLC(Product Life Cycle) theory of marketing for a basis. This article was particularly analyzed relations between demographic variables and fashion lifestyle toward consumer's behavior at decline stage of FLC empirical study was to target women's formal dres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adult females residing in Youngnam district. Sampling were peformed pretest and main survey. Total 386pcs of answer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Hypothesis 1 & 4 were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fashion lifestyle patterns and consumer's behavior at decline stage of FLC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Hypothesis 2 also was adopted meaningful differences of consumer's hoarding behavior at decline stage of FLC in accordance with fashion lifestyle patterns. Third, Hypothesis 3 of fashion lifestyle patterns which has related consumer's recycling behavior at decline stage of FLC was rejected. In conclusion, This article discusses implication of fashion marketing strategies and summaries..

리디자인(Redesign) 관점으로 분석한 사카이(Sacai) 패션디자인의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cai Fashion Designs Analyzed with the Redesign Perspectives)

  • 서여;김민지
    • 패션비즈니스
    • /
    • 제26권4호
    • /
    • pp.18-31
    • /
    • 2022
  • Fashion is one of the main environmental pollution industries. To reduce pollution, much of the deadstock clothes are given a new value by being redesigning based on the designer's competency. This study aims to promote the revitalization of redesigning by analyzing and presenting hybrid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Sacai design collection, as a redesigning brand, and formative element characteristics of redesigning. A theoretical study using previous research on redesigning and related books and an empirical study analyzing the Sacai Collection were conducted.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re are four types of redesigning processes; recombination of heterogeneous clothing structure, reorganization by reversed function and position, reorganized composition by material processing, and mixing of heterogeneous materials. In the recombination of heterogeneous clothing structures, heterogeneous materials and structures coexist by combining the clothing components with other clothing elements. The second is the reconstruction by subversion. The third is reconstruction by material processing. The fourth is a mixture of disparate materials. This study has innovative redesign features from Sacai designs, and there are plans for a follow-up study that will analyze the work of another designer who is recognized for the excellence in redesigning.

재활용 의류와 그 특성이 소비자의 소비에 미치는 영향 (Recycled Clothes and Its Characters Impact on Consumers' Consumption)

  • 하로요;반영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159-167
    • /
    • 2021
  • 자원 고갈, 생태 파괴 등 날로 심각해지는 환경문제와 지속가능한 패션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은 패션 산업 사슬을 녹색 에너지 절약 방향으로 발전하게 하였다. 본 연구는 특정 집단의 지속가능한 패션 소비에 대한 태도와 심리를 탐구하고 재생 방직품 또는 재제조 의류 원단에 대한 그들의 구체적 인식과 태도를 탐구하는데 취지를 두었다. 본문은 구제 의류의 특성이 소비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관련 문헌자료를 찾아본 기초에서 소비자에 영향을 주는 일련의 결정적 요소와 재생품의 표현 가치, 사회적 가치 등 특징을 확정했다. 이 이론적 배경에 근거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설계했으며 총 226개의 유효 응답을 받았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사회적 가치와 환경보호에 대한 중시가 소비자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연구 결과는 전체 녹색 환경보호와 생태 의류 회수 산업 체계의 연구에 도움이 되며 의류 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진한다.

자동차 폐기물을 활용한 업사이클링 패션 디자인 개발 (Development of Upcycling Fashion Design Using Automotive Waste)

  • 고리;김차현
    • 패션비즈니스
    • /
    • 제28권3호
    • /
    • pp.34-47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enhance public awareness of the growing issue of automobile waste and promote environmental protection by developing visually appealing and innovative clothing designs. By leveraging successful examples of upcycled fashion design and products that could recycle automobile waste, this study proposed four garment designs utilizing various materials such as seat belts, leather seat fabrics, and airbags from automobile waste. Ultimately, two of these garments were produced as physical prototypes.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 of upcycled fashion products utilizing automotive waste opened new possibilities for sustainable fashion design. This approach demonstrates potential to meet demands of modem consumers who prioritize environmental values and social responsibility. Second, the study established an important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market acceptance and consumer perception of upcycled fashion products using automotive waste. As consumer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grows and demand for sustainable products increases, these upcycled products are likely to gain significant traction in the fashion industry.

의복 재활용에 대한 인식 및 사장의복 실태 분석 (Perception Related to Recycling Clothing and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s for the Unused Clothing)

  • 박영희
    • 패션비즈니스
    • /
    • 제24권5호
    • /
    • pp.1-20
    • /
    • 2020
  •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ptions related to recycling clothing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unused clothing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o help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A total of 833 questionnaires were used in data analysis for this survey study. The subjects consisted of men and women in their 20s to 50s who resided in Gyeongnam and Ulsan,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by χ2-test using SPS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The intention to recycle others' cloth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or all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verall, the response "I have an intention to recycle others' clothing" was reported by a relatively high proportion of the respondents. The analysis of the motivation to others' clothing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xcept gender. The main motivation for recycling clothing was because "I wanted to recycle the clothing". The factors hindering recycling others' cloth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marital status, and occupation. The main hindrance factor was reported as "feeling uncomfortable". The causes of occurrence of unused T-shirts significantly different for al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causes of occurrence of unused trousers and skir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or al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xcept monthly income. The cause of undisposed, unused clothing was related to al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verall, the response "reluctant to dispose of" was reported by a relatively high proportion of the respondents.

소재 재활용에 의한 패션소품 디자인 개발 (Fashion Accessories Designed from Recycled Fabric Remnants)

  • 김찬주;노미경
    • 복식
    • /
    • 제60권10호
    • /
    • pp.65-79
    • /
    • 2010
  • Each season, many clothing companies dump small pieces of fabrics left over from making samples. Since fabrics do not decompose easily, this results in environmental pollution. This research was done to discover effective ways to reuse these fabric remnants. As most of these remnants were not large enough for making clothes, fashion accessories was chosen as the design object. Four steps of design development process followed: information research & analysis, prototype design & sample making, market testing, final design decision. After market research and trend analysis, four neck decoration wear -- scarf & muffler(SM). collar & cape(CC), vest & top(VT), and necklace(NE) -- were selected as final product types. 45 designs arose, and 120 items with variations in fabric materials and colors were produced as samples. The three main themes (multiple. reversible, cross) were applied throughout all of the design items. Samples were evaluated from the reactions of the consumers through a 10-day sale at a retail store. Based on the sales record and customers' opinions, five designs from each of the product types SM, CC, and VT were picked out as final designs. In conclusion, fashion accessories turned out to be a more appropriate item to reuse fabric remnants from clothing companies than clothes were, because they necessitate small fabric size and the limitation in fabrics could be compensated with creative design ideas.

A Study on the Subjectivity of Fash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 Cha, Su-J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105-117
    • /
    • 2022
  • 본 연구는 20대에서 60대까지의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환경오염과 패션산업의 관계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조사하고 그 인식을 유형화하였다. 이를 통해 패션산업이 환경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패션과 환경오염에 대한 인식유형은 4개로 분석되었다. 제1유형은 의류를 생산하는 과정과 소비하는 과정이 환경오염을 유발한다고 인식하지만, 패스트패션을 선호하고 트렌드를 중시하는 유형이었다. 제2유형은 패션산업이 공기와 수질을 오염시킨다고 생각하며, 가격이 비싸다면 리사이클링 의류를 구매하지는 않는 유형이었다. 제3유형은 패션산업이 환경오염의 주범이 아니라고 생각하며, 옷을 구매하면 오래 착용함으로써 환경을 지켜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제4유형은 환경을 먼저 고려하고 헌 옷을 구매하고 옷을 바꿔 입는 등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는 유형이었다. 환경의 중요성이 커진 만큼 패션 분야에서도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