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해영향평가

Search Result 421,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해상태양광 부유체 안정성 평가를 위한 해양기상 적용에 관한 연구

  • Seol,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331-332
    • /
    • 2018
  • 해상태양광 부유체의 안정성 평가를 위하여 우리나라 해역의 풍랑특보 분포 특성 및 태풍의 변화 경향, 기상재해의 특성 등을 분석, 요약하였다. 풍랑특보 일수는 한반도 동쪽에 해당하는 동해 남부 및 남해 동부, 동해 중부 해역에서 많았고 한반도 서쪽에 해당하는 서해 중부 및 서해 남부, 남해 서부 해역에서 적은 분포를 보였다. 이는 이동하면서 발달하는 온대저기압과 계절풍의 영향과 관련되어 있다. 계절로 구분해 보면, 겨울과 봄에 풍랑특보 일수 분포가 많고 상대적으로 가을과 여름에 적다. 근래 지구온난화와 관련하여 태풍의 발생 수는 미미하지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세기는 강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태풍은 1년 평균 3.2개이고, 남해를 통과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서해를 통과하는 태풍의 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동해를 통과하는 태풍의 수는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대규모적인 기상재해를 유발시키는 태풍은 주로 남해안을 통과하는 태풍이고 시기는 8월 하순에서 9월 중순에 해당한다. 이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 PDF

Analysis of Operation System Establishment Cases for Efficient use of Risk Assessment at Construction Sites - H Focusing on Construction Company Cases (건설현장의 위험성평가 효율적 활용을 위한 운영 시스템 구축사례 분석 - H 건설사 사례중심으로)

  • Jae-Bung Lee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8 no.4
    • /
    • pp.828-838
    • /
    • 2022
  • Purpos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computerized system of risk assessment, the purpose is to analyze the case of whether the co-workers who are subject to the risk assessment at the construction site can easily fill it out and expect disaster reduction through efficient risk assessment activities. Method: By providing the risk factors and safety measures for the work by selecting the type of work, the risk estim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countermeasures can be made, and a system has been established to enable practical disaster prevention activities by presenting disaster cases for the work. Resul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hange in the scaled disaster rate for the years following the on-site application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risk assessment computer system of H Construction Company, it was confirmed that the scaled disaster rate of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increased, while the conversion disaster rate of H Construction Company decreased. Conclusion: Through the computational systemization of risk assessments, workers in the field can easily access the risk assessment, evaluate the risk factors of the process and establish risk prevention measures, and it has been analyzed that there is an impact on the reduction of the disaster rate during the operational analysis period.

A Review on the Results of Adjusting Weight in Vulnerability Analysis of Climate Change Driven Disaster - Focused on Sea-level Rise - (도시 기후변화 재해취약성 분석방법의 가중치 조정에 따른 결과 비교 검토 - 해수면 상승 재해를 중심으로 -)

  • Kim, Jisook;Kim, Hoyong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6 no.3
    • /
    • pp.171-180
    • /
    • 2017
  • The vulnerability analysis of climate change driven disaster has been used as institutional framework for the urban policies of disaster prevention since 2012. However, some problems have occurred due to the structure of vulnerability analysis, such as overweighted variables and duplicated application of variables of similar meaning.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results between the method of current guideline and the method of weight equalization. For this, we examines the current structural framework of the vulnerability analysis, and performs empirical analysis. As a result, the extent and magnitude of vulnerability showed different spatial patterns depending on the weighting methods. Standardized weighting method relatively represented wider vulnerable areas compared to the pre-existing method which follows the current instruction manual. To apply the results of vulnerability analysis to urban planning process for disaster preven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s should be ensured by improving analytical framework and detailed review of the results.

Study on Establish of Multi-Hazard Map in Urban Area (도시지역에서의 멀티 해저드 맵 구축을 위한 연구)

  • Kim, Yeon Joong;Yoon, Jung Sung;Tanaka, Kohj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7-17
    • /
    • 2015
  • 세계적으로 최근 국지적 호우에 의한 홍수 및 토사재해가 빈번히 발생하여 인적피해 및 자산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강우에 의해 홍수가 발생되며 하안 및 하천 구조물에 피해를 주는 동시에 월파 및 제방이 붕괴되어 하천에서 제내지로 범람하여 범람피해가 발생된다. 하지만 도시지역에서 발생되는 강우는 불투수 면적비율이 비교적 커 다른 지역보다 최대 침수심이 발생되는 시간이 매우 빠르게 도달하는 환경적 특징이 있다. 또한 선상지 지역에 발달된 도시는 어느 동일한 강우사상에 의해 발생되는 내 외수 범람재해 및 토사재해가 동시에 발생되어 피해가 중첩될 가능성이 매우 크며 피해 리스크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상기후에 의해 발생되는 재해경감을 위해 기존의 대책 및 새롭게 구축되는 해저드 맵에 대해서 이와 같은 여러 재해 발생 가능성을 충분히 고려된 멀티 해저드 맵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오노시의 지역방재계획을 위한 통합적인 해저드 맵 구축을 위해 내 외수 범람에 의한 피해 및 토석류 발생에 의한 영향평가를 실시하여 두 재해가 동시에 발생 가능한 지역을 대상으로 멀티 해저드 맵 구축 및 피난계획 수립을 목적으로 최근 발생되는 국지적 호우에 대한 예측을 위해 아직 검토대상 지역에 발생하진 않았지만 발생 가능한 강우사상을 추출하기 위해 DAD 분석을 실시하여 가능최대강우량을 산정하여 외력조건으로 사용하였다. 뿐만 아니라 토석류 모델의 현장 적용성 평가를 위해 2011년에 발생된 우면산 토석류 재해를 대상으로 비교 검토를 실시하였으며 본 논문의 주요한 결과를 아래와 같이 나타내었다.

  • PDF

Assessment Method for Potential Risk and Channel Stabilization in River Confluence (하천 합류부 재해 위험성 및 하도 안정성 평가 기법 정립)

  • Lee, Samhee;Yoon, Hyeoncheol;Lee, Duhan;Lee, Sa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6-56
    • /
    • 2016
  • 하도 안정성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대표적 하천 구역은 본류와 지류의 합류부이다. 이와 같은 합류부에서는 흐름과 하상변동 양상이 상대적으로 복잡하다. 이는 본류 및 지류 간 유사이송량, 유황, 흐름, 하도경사 등 수리특성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지류 합류부에서는 지류 자체의 하상 변동 영향뿐만 아니라 본류의 하상변동으로부터도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즉 본류에서 자연적이든 인위적이든 어떤 원인으로 말미암아 하상저하가 갑자기 일어나면 지류의 하도 종단경사 변화가 현저하게 일어나는, 이른 바 두부침식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한편 본류와 지천 사이 흐름특성 유사거동 특성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합류뷰 주위에 지속적인 국지퇴적이 야기되기도 한다. 합류부에서 이와 같은 침식 또는 퇴적 현상으로 말미암아 하천관리상 여러 문제점을 야기한다. 이에 따라 지류 합류부에서 하천경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하상유지공 설치 등 적절한 하도안정화 대책을 모색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하천정비기본계획에서 현안의 분석을 통해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국가 및 지방 하천 3,836 개소에 대한 합류부 도상과 일부 현장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합류부의 재해 유발 지표를 도출하고 전문가로부터 의견 수렴을 통해 가중치를 부가하여 합류부 재해 위험성 및 안정성 평가 기법을 정립하였다. 그 동안 관련 부처 및 지자체에서 하천계획을 수립하는 데, 중점 정비 및 관리가 필요로 하는 합류부를 선정 시 그 기준이 모호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정량적으로 정립한 기준은 하천 합류부의 재해 위험성을 평가할 수 있어 고도의 하천관리를 지향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 PDF

A Foundational Study on Deep Learning for Assessing Building Damage Due to Natural Disasters (자연재해로 인한 건물의 피해 평가를 위한 딥러닝 기초 연구)

  • Kim, Ji-Myong;Yun, Gyeong-Cheo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24 no.3
    • /
    • pp.363-370
    • /
    • 2024
  • The escalating frequency and intensity of natural disasters and extreme weather events due to climate change have caused increasingly severe damage to societal infrastructure and buildings. Government agencies and private companies are actively working to evaluate these damages, but existing technologies and methodologies often fall short of meeting the practical demands for accurate assessment and prediction. This study proposes a novel approach to assess building damage resulting from natural disasters, focusing on typhoons-one of the most devastating natural hazards experienced in the country. The methodology leverages deep learning algorithms to evaluate typhoon-related damage, providing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assessment. The framework and outcomes of this research can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evaluation of natural disaster-induced damage over the entire life cycle of buildings and can be applied in various other industries and research areas for assessing risk of damage.

A study on measures for the mitigation of fire damage in Korea super high-rise building through the improvement of domestic·foreign standards (국·내외 기준개선을 통한 국내 초고층 건축물의 화재피해경감 대책에 관한 연구)

  • Ko, Jaesu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3 no.2
    • /
    • pp.233-248
    • /
    • 2017
  • Uniform laws and regulations and reasonable design is necessary for the prevention of possible fire in super high-rise building. To this end, this study focused on super high-rise and massive building-related architectural review performance-based design (PBD) evaluation disaster impact assessment (DIA), and provided fire engineering measures for improving fire prevention on the basis of performance-based design by analyzing the buildings subject to these systems and problems in terms of contents. Above all, in the aspect of law and standard improvement, first, with regard to dual parts of two statutes though significant portion of them has the same contents in performance-based design (PBD) evaluation and disaster impact assessment (DIA),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systems after making them conform with each other and consolidating or abolishing them. Second, if it is impossible to consolidate or abolish performance-based design (PBD) evaluation and disaster impact assessment (DIA), the areas of contents of performance-based design (PBD) evaluation and disaster impact assessment (DIA) should be precisely classified and established. Next, engineering improvement measures against fire hazard in super high-rise building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provisions of straight-run stairs in special escape stairs. And in case of installing a mechanical smoke exhaust system instead of smoke vent, sandwich pressurization used in the United Stated should be permitted. Second, with regard to smoke control system for special escape stairs, it was shown that there was necessity for revising the standards in order to enable air to be supplied according to section in case of fire, carrying out performance-based design, and the like from the early design stages to the completion stage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an epoch-making contribution will be made to a decrease in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 due to fire in case of super high-rise building where the results can be reflected after carrying out a study on maintenance and carrying out an additional study on other considerations of super high-rise building together with reflecting the improvement measures provided in the above-mentioned study.

Does Urbanization Indeed Increase Disaster Damages? - Lessons from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도시화가 자연재해를 늘리는가? - 경기도 사례를 중심으로)

  • Choi, Choong-Ik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9 no.3
    • /
    • pp.3-27
    • /
    • 2010
  •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whether urbanization triggers urban disaster damages in the metropolitan areas of Korea by applying panel data analysis. Issues are approached with respect to the perspective that increased natural disaster damages are closely related with urbanization. This paper describes the conceptual framework of disaster management to understand the factors that determine urban disaster damages in Korea. This study used a simplified model with some key factors for analysis, because flood damage factors in urban areas are too diverse, and a full understanding of every cause is not feasible. The results indicate that urbanization does not necessarily lead to increasing urban disaster damages and if properly managed, urbanization can actually reduce urban disaster damage.

  • PDF

Probabilistic External Flood Hazard Assessment at Major National Facilities (국가주요시설물에 대한 확률론적 외부 침수 재해도 평가)

  • Kim, Beom Jin;Kim, Byunghyun;Han, Kun 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87-38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LIP에 의한 극한강우로부터 발생되는 극한홍수량을 산정한다. Huff 형 강우시간 분포를 기후변화 시나리오별로 적용하고, 원전주변지역에서의 상세한 토지이용조건의 변화를 고려하여 빈도별 홍수량을 산정한다. 외부침수해석의 정교화를 위한 상세 지형자료를 구축하고, 원자력발전소 부지의 상세 DEM 자료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서 원자력발전소 부지에서 건물, 연석, 도로 등의 영향을 분석하고 토지이용상황에 따른 조도계수를 산정한다. 또한 원전지역에서의 외부침수재해도 분석을 위해서 국립해양조사원에서 검토한 기후변화를 고려한 조위분석 자료를 외부경계조건으로 설정한 후 부지에 대한 2차원 수리분석을 실시한다. 침수심, 침수유속, 침수시간, 침수동압력 분석 등 2차원 침수해석결과를 바탕으로 발생빈도별 침수심, 침수강도 등의 정량적인 분석을 통해서 빈도별 재해도 곡선을 개발한다. 그리고 원전지역에서의 외부 침수에 대한 대표적인 재해도 곡선을 산정하기 위하여 재현기간별 지속시간에 따른 침수심을 분석하고 정리한다. 재현기간별 침수심에 대해 확률 분포형을 적용하기 위해서 AIC검증을 통한 분포형의 적합성을 분석을 실시한다. 또한 재현기간별 지속시간에 따른 침수심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분포형에 적용한다. 적용된 분포형을 몬테칼로 시뮬레이션을 통한 대표적인 확률론적 외부 침수 재해도 곡선을 산정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원전 부지 및 그 부속 시설물(SSC)의 홍수방지 기능과 홍수 대비 시설물에 대한 적용 절차의 신뢰성, 홍수 저감 및 대응 전략에 대한 정량화가 가능하여 원전 홍수 위험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 지원이 가능하겠다. 고려할 외부 홍수와 관련된 원전 내부시설 및 장비에 대한 상세한 모델링 절차, 특정 시나리오에 대한 홍수 방지 및 예방과 관련한 SSC의 정량화, 홍수저감 활동과 관련된 통제실 외부 시설물에 대한 수동 조작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겠다.

  • PDF

Damage Prediction Using Heavy Rain Risk Assessment (호우 위험도 평가를 이용한 피해예측)

  • Kim, Jong Sung;Choi, Chang Hyun;Lee, Jong So;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54-154
    • /
    • 2017
  • 전 세계적인 기후변동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대규모 인명 및 재산피해를 유발하는 자연재난의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변화하는 상황에서 효율적인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재해에 노출된 특성을 지역적 특성과 함께 고려하여 지역별로 재해에 위험한 정도를 평가하는 것이 선행되어지고, 재난 피해 발생전에 피해 지역 및 범위를 예측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연재난 피해의 65% 이상을 차지하는 호우피해를 대상으로 PSR(Pressure-State-Response) 구조를 이용하여 호우피해위험지수(Heavy rain Damage Risk Index, HDRI)를 제안하여 호우 위험도를 평가하고자하였다. 또한 도출된 지역별 위험등급에 따른 호우피해 예측함수를 개발하여 재해발생 전에 개략적인 피해의 범위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먼저 지역별 호우 위험도 평가를 위해 압력지표, 현상지표, 대책지표를 구축하고, 주성분분석을 이용하여 평가지표를 결정하였다. 결정된 평가지표를 동일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호우피해위험지수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경기도 31개 지자체 중에서 가장 안전한 1등급인 지자체는 15개의 지자체로 나타났으며, 2등급인 지자체는 7개, 3등급인 지자체는 9개로 분류되었다. 지자체별 호우 위험도 등급에 따라서 재해기간별 총강우량, 재해일수, 선행강우량(1~5일), 지속시간별 최대강우량(1~24시간) 등의 자료를 설명변수로 구축하였고, 다중회귀모형과 주성분분석을 활용하여 예측함수를 개발하였다. 등급별 호우피해 예측함수는 N-RMSE가 12~18%로 호우피해를 적절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지자체별 호우피해위험도 등급을 파악 할 수 있으며, 평가된 호우피해위험도 등급별로 호우피해 예측함수 개발을 통해 사전에 호우피해 발생 및 규모를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각 지자체 및 관련 부처에서 효과적인 방재체계를 수립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