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재출혈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2초

김원사대가(金元四大家)의 침구치료(鍼灸治療)에 대한 연구(硏究) -대금원사대가침구치료방면적연구(對金元四大家鍼灸治療方面的硏究)-

  • 편수범;윤창렬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9권2호통권33호
    • /
    • pp.196-221
    • /
    • 2006
  • 자락출혈료법방면(刺絡出血擾法方面), 금원사대가재침구상다사용료자락법(金元四大家在鍼灸上多使用了刺絡法), 류완소재임상상(劉完素在臨皮上), 자락출혈이대자팔관법(刺絡出血以大刺八關法), 진행청열사화(進行淸熱瀉火), 저여사화파사상상일치(這與瀉火派思想相一致). 장종정야수류완소적영향(張從正也受劉完素的影響), 용비침다방면사용자락출혈료법(用排針多方面使用刺絡出血療法), 불근용어와과질환(不僅用於外科疾患), 환용어내과질환적지료(還用於內科疾患的治療), 광대료기사용범위(據大了其使用範圍), 사자락출혈료법갱가득도료발전(使刺絡出血療法更加得到了發展), 이동원야재사음화법상(李東桓也在瀉陰火法上), 광법사용료자락출혈료법(廣範使用了刺絡出血療法). 주진형재침자보사상(朱震亨在針刺補瀉上), 야인위침지유사적공효무보적공효(也認爲針只有瀉的功效無補的功效), 주장재사법상사용자락출혈법(主張在鴻法上使用刺絡出血法). 류완소재취혈방면(劉完素在取穴方面), 주장용통경접기법(主張用通經接氣法), 이급접경삼법(以及接經三法), 재통증상용분경취혈법등(在痛症上用分經取穴法等), 래소통경맥적기혈(來疎通經?的氣血). 재임상상중시료정혈(在臨床上重視了井穴), 원혈화오유혈(原穴和五兪穴). 장종정대경락장부지병(張從正對經絡臟腑之病). 상이순경취혈법취경락지정혈(常以循經取穴法取經絡之井穴), 진행자구치료(進行刺灸治療樓). 이동원위보익비위(李東垣爲補益脾胃), 취복적모혈화하합혈(取腹的募穴和下合穴), 이급이허측보기모적방법진행취혈(以及以虛則補其母的方法進行取六), 병이오난침법화표본치료응용오유혈진행료치료(幷以五亂針法和標本治療應用五兪六進行了治療). 주진형보충증입료십이경견증화합생견증(朱震亨補充增入了十二經見症和合生見症), 병이설명료각경락병증특점(幷以說明了各經絡的病症特点), 지출병증적침구치료방법(指出病症的鍼灸治療方法), 류완소준순료중풍분육경침자법화심병적접경삼법(劉完素遵循了中風分六經針刺法和心痛的接經三法).

  • PDF

기판지동맥색전술 후 객혈의 재발에 관한 연구 (Recurrent Hemoptysis after Bronchial Artery Embolization)

  • 김수옥;오인재;김규식;유영권;임성철;김영철;박경옥;김재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1권4호
    • /
    • pp.364-372
    • /
    • 2001
  • 연구배경 : 객혈의 치료에 있어서 기관지동맥 색전술의 단기적 지혈효과와 장기적 예후 및 이에 영향을 마치는 인자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부터 1999년까지 75명의 대량객혈 및 중등도의 재발성 객혈 환자들을 대상으로 기관지동맥 색전술을 시행하였다. 원일질환으로는 폐결핵이 35예, 기관지확장증이 22예, 국균종이 12예, 폐암이 3예, 그리고 기타질환이 3예였다. 결 과 : 기관지동맥 색전술 시행 후 61명(82.7%)의 환자에서 즉각적인 지혈효과를 얻었다. 전체 75명 중 1명은 객혈이외의 다른 원인으로 사망하였고, 3명은 수술을 위해 전과되었으며, 5명은 색전술 시행 후 추적관찰이 되지 않아 이들 9명은 장기적 추적관찰대상에서 제외되었다. 1년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나머지 66명의 환자 중, 37명(56.1%)에서 재출혈이 관찰되었는데, 26예는 객혈이었고, 11예는 소량의 출혈성객담이었다. 이중 1개월 이내에 재출혈을 보인 경우가 19명(51.4%), 1년 이내가 31명(83.8%), 3년 이내가 36명(94.1%)이었다. 재출혈의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원인질환, 출혈량 및 출혈부위의 범위 등이 있었으며, 특히 500cc 이상의 대량객혈인 경우 재발융이 높았고 폐암이 원인질환인 경우에는 모두 1개월 이내에 재출혈이 발생하였다. 결 론 : 기관지동맥 색전술 시행 후 대부분의 재출혈이 3년이내에 나타나므로, 기관지동맥 색전술 시행 후 적어도 3년간의 추적관찰이 중요하다. 원인 질환과 객혈양에 따라 객혈의 재발 가능성이 달랐으며 특히 폐암에서는 지혈효과를 보기 어려웠다.

  • PDF

해면상혈관종에 대한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고선량 정위 방사선수술의 임상경험 (Outcome of LINAC Radiosurgery for a Cavernous Angioma)

  • 홍세미;지의규;박석원;김일한;하성환;박찬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1권2호
    • /
    • pp.107-111
    • /
    • 2003
  • 목적: 혈관조영상 잠재혈관기형 중 하나인 해면상혈관종의 치료에 있어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정위방사선수술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2월부터 1997년 5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해면상혈관종으로 11명이 방사선수술을 받았다. 진단은 자기공명영상을 바탕으로 내려진 것이 8예였으며 3예에서는 조직학적으로 진단이 되었다. 병변의 위치는 대뇌부 3예, 시상부 1예, 뇌간 5예, 소뇌 2예였으며 진단 당시의 임상증상은 뇌내출혈로 인한 신경학적 결손을 보인 환자가 9예였으며 2예에서는 경련을 나타내었다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정위방사선수술의 선량의 중앙값은 회전중심점 선량의 80$\%$를 기준으로 16 Gy (범위: 14$\~$24 Gy)였다. 11명의 환자 중 10예에서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다. 결과: 49개월의 중앙추적관찰기간 동안(범위: 8$\~$73개월) 2예의 재출혈이 발생하였다. 1예는 정위방사선수술 시행 8개월 후에 재출혈이 일어났으며 1예는 정위방사선수술 64개월 이후에 재출혈이 발생하였다. 정위방사선수술 후에 1예는 출혈의 증거 없이 신경학적으로 악화되었고 2예는 임상증상을 동반하지 않은 채 T2 강조 자기공명영상에서 높은 신호강도가 나타났다. 결론: 해면상혈관종에 대한 정위방사선수술은 재출혈 방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그 부작용 또한 크지 않았으나 재출혈에 대해서는 충분한 기간 추적관찰을 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OPCAB 시행 전 Clopidogrel 사용이 술 후 출혈경향에 미치는 임상적 고찰 (The Effect of Preoperative Clopidogrel on the Postoperative Bleeding after OPCAB)

  • 박권재;우종수;방정희;정상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3호
    • /
    • pp.311-316
    • /
    • 2009
  • 배경: 광범위한 clopidogrel의 사용으로 인해 관상동맥우회로술 전 많은 경우에서 clopidogrel 복용 환자들을 경험하게 된다. 그러나 clopidogrel은 그 고유한 약리 작용으로 인하여 술 후 출혈과 관련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저자들은 술 전 clopidogre니 사용이 무심폐기하 관상동맥우회로술(off-pump coronary bypass grafting, OPCAB)후의 수혈 요구량, 지혈을 위한 재수술율 및 출혈과 관련한 재입원율 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이 연구는 2005년 1월부터 2007년 11월까지 단일 수술자에 의해 시행된 무심폐기하 관상동맥우회로술을 받은 환자 중, 수술 전 clopidogrel을 복용하고 있던 10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clopidogrel을 수술 5일 전에 복용을 중단한 군을 그룹 1 (n=45)으로 하고, 수술 5일 이내에도 계속 복용한 군을 그룹 2 (n=58)로 나누어 출혈과 관련한 재수술율 및 재입원율, 혈액 투여량, 술 후 출혈양 등을 비교 검토하였다. 결과: 두 군 간의 인구학적 특성, 심초음파, 혈액학적인 특성은 비슷하였다. 술 후 출혈양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나지는 않았지만, 술 후 수혈양은 그룹 2에서 더 많았다(p=0.018). 지혈을 목적으로 한 재수술율과 출혈과 연관된 재입원율은 그룹 1에서는 각각 0%, 0%였고, 그룹 2에서는 6.9%, 5.2%였다. 그러나 두군 간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결론: 무심폐기하 관상동맥우회로술 시행 전 clopidogrel의 계속적인 사용은 술 후 주요한 출혈을 일으키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는 출혈에 영향을 주고, 술 후 수혈양은 증가시켰다. 응급인 경우가 아니라면 술 전 clopidogrel을 일정 기간 끊는 것이 술 후 회복에 좋으리라 생각된다.

뇌동맥류의 조기수술 전 재출혈 방지를 위한 항섬유소용해제 투여의 효과 (The Effect of Antifibrinolytic Therapy in Prevention of Rebleeding before Early Aneurysm Surgery)

  • 이창영;임만빈;이장철;손은익;김동원;김인홍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9호
    • /
    • pp.1065-1071
    • /
    • 2001
  • 파열된 뇌동맥류의 조기수술이 계획된 환자에서 수술전까지 단기간에 걸친 항섬유소용해제 투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뇌동맥류성 지주막하출혈 환자 137례에 대하여 60례를 AMCA 투여군으로, 77례를 비 투여군으로 분류하여 재출혈, 증상적 혈관연축, 뇌수두증의 발생빈도 및 전체적인 치료성적을 비교, 분석하였다. 재출혈의 발생빈도는 AMCA 비 투여군에 비해 투여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고 AMCA의 장기투여에서 증가를 보인 증상적 혈관연축과 뇌수두증의 발생빈도는 양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전체적인 치료성적은 AMCA 투여군에서 비 투여군에 비해 보다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조기수술이 계획된 뇌동맥류성 지주막하출혈 환자에서 AMCA의 단기간 투여는 재출혈율을 감소시켜 전체적인 치료결과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뇌동맥류파열에 의한 지주막하출혈 환자에서 $^{99m}Tc$-HMPAO SPECT 검사의 유용성 (Usefulness of $^{99m}Tc$-HMPAO SPECT in Patients with Subarachnoid Hemorrhage due to Ruptured Intracranial Aneurysm)

  • 최창운;이경한;김종호;곽철은;이동수;정준기;이명철;한대희;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75-182
    • /
    • 1993
  • 지주막하출혈은 혈관경련, 재출혈, 수두증의 합병증이 빈번히 동반되며, 이 합병증 유무에 따라 예후에 큰 영향을 받는다. 뇌동맥파열에 의한 지주막하출혈 환자 21명과 지주막하출혈 환자 중 10명(48%)의 환자에서 SPECT 검사상 양측성 관류저하가 관찰되었으며, 일측성 관류저하가 7명(33%), 관류저하가 없는 예가 4명 (19%)이었다. 반면에 CT/MRI에서 양측성 병소가 관찰된 예는 3예(14%)이었다. 발견된 병소의 수도 SPECT의 경우는 56개었으나 CT/MRI에서는 25개만이 관찰되었다. 언어장애 또는 편측 운동장애가 발생한 환자에서 SPECT로 관련영역의 관류전하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Matastest를 시행하여 뇌동맥폐쇄시술 시 위험유무를 판정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99m}Tc$-HMPAO SPECT 검사는 지주 막하출혈 환자에서 CT/MRI에 비하여 기능변화를 정확히 반영하여, 환자의 정확한 임상상을 비관혈적으로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법으로 생각되었다.

  • PDF

자발성 뇌실질내혈종 환자에서의 뇌압변화와 임상증상과의 관계 (Correlation of Changes of Intracranial Pressure and Clinical Manifestations in Spontaneous Intracerebral Hemorrhage)

  • 정을수;고삼규;김오룡;지용철;최병연;조수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8권2호
    • /
    • pp.35-44
    • /
    • 1991
  • 저자들은 1990년 3월부터 1991년 2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신경외과학교실에서 뇌정위적 수술을 시행하여 뇌실질내 출혈부위와 뇌실내에 모두 도관을 삽입한 자발성 뇌실질내 출혈 환자 30례에서 뇌압변화와 임상증상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자발성 뇌실질내 출혈은 40-60대에 주로 발생하였고, 여자가 2.3배로 많았으며, 출혈위치는 피각부, 시상부, 소뇌부 등의 순으로 많았다. 그리고 고혈압의 기왕력을 가진 사람이 많았으며, 고혈압과 연관된 심전도 소견을 보인 경우가 많았다. 평균 동맥혈 이산화탄소분압이 높은 환자에서 뇌압이 높았으며, 뇌압과 재출혈 및 퇴원시 ADL과는 유의한 관계는 없었다. 수술후 72시간경에 뇌압이 가장 높았으며, 뇌실질내 출혈 부위에 6000 IU 유로키나제 세척을 시행한 결과 유로키나제 세척후는 전에 비하여 평균 63.2%의 감압이 있었다. 뇌압이 높은 경우 Natural drainage를 많이 시행 했으나, Natural drainage 횟수와 퇴원시 ADL과는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처음 GCS이 높을수록 수술후에 GCS이 높았으며, 평균 뇌압이 높을수록 평균 GCS이 낮아 환자 상태가 나쁜 경우가 많았다.

  • PDF

기관 재건술 후 발생한 기관 무명동맥루 (Tracheoinnominate Artery Fistula after Tracheal Reconstruction)

  • 곽영태;신원선;맹대현;이신영;김수철;박주철;김동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1호
    • /
    • pp.1288-1291
    • /
    • 1996
  • 기관 무명동맥루는 매우 드문 질환이지만 일단 발생하면 예후가 아주 불량하며 치명적일 수 있다. 본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흉부외과학 교실에서는 한 명의 환자에서 기관 절개술 후 합병된 기관 협착증에 대한 기관 재건술 후 기관 무명동맥루가 발생하였다. 본 례는 11세의 소녀로 뇌동정맥 기형으로 뇌실외 유출로 조성술 및 4회에 걸친 신경외과적 수술을 받은 환자로서 6개월 전에 기관 절개술을 받았다. 이기관 절개술 후 5개월 후부터 호홉 곤란과 발작성 기침을 호소하여 기관 협착증으로 진단받고 본과로 전과되어 기관 협착 부위의 절제 및 단단 문합으로 기관 재건술을 시행하였다. 기관 재건술 후 3일째 다량의 출혈이 발생하여 기관 무명동맥루로 진단하였고 무명 동맥의 파열 부위의 봉합 및 기관의 재 재건술로 응급수술을 시행하였으나 재 수술후 3일째 재 출혈로 사망하였다.

  • PDF

자궁체부암 출혈에 대한 보존적 치료로써의 경카테터 동맥 색전술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for Palliation of Uterine Body Cancer Bleeding)

  • 최재연;신지훈;추희호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3호
    • /
    • pp.606-614
    • /
    • 2023
  • 목적 자궁체부암 출혈에 대한 경카테터 동맥 색전술의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대상과 방법 20년 동안 자궁체부암 출혈로 경카테터 동맥 색전술(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이하 TAE)을 시행 받은 여섯 명의 환자들의 자료를 후향적으로 수집하였다. 혈관조영술 및 단면 영상 소견, TAE의 세부사항과 임상 경과를 탐구하였으며, TAE의 기술적, 임상적 성공률(technical and clinical success rate)을 각각 계산하였다. 결과 환자군은 자궁내막양 선암종, 육종, 그리고 임신융모종양으로 이루어졌으며, 대부분이 말기 암 환자들이었다. 출혈은 네 명의 환자에서 질출혈로 나타났다. 여섯 명의 환자들에서 일곱 번의 TAE가 시행되었고, 모든 TAE 시술에서 기술적 성공이 달성되었다. 자궁절제술을 받은 두 명의 환자들에서는 골반강 내 재발한 종양의 출혈이 혈변으로 나타났고, 이 환자들에서도 TAE는 기술적 성공을 보였다. 임상적 성공률은 50%로 절반의 환자에서 일주일 이상 출혈 조절이 되었다. 재출혈은 한 명의 환자에서 사망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었다. 한 명의 환자에서 시술 다음 날 경미한 부작용이 있었다. 결론 TAE는 자궁체부암 출혈에 대한 효과적이고 안전한 방법이며 특히 진행암, 말기암 환자들의 질병 경과 중의 위험한 시기에서 고려될 수 있다.

객혈의 병소를 확인하기 위한 굴곡성 기관지경 검사의 시행시기 (The Optimal Time of Fiberoptic Bronchoscopy to Locate the Bleeding Site in Patients with Hemoptysis)

  • 천호기;김정백;윤기헌;유지홍;강홍모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1호
    • /
    • pp.20-25
    • /
    • 1994
  • 연구배경 : 객혈은 호흡기 질환으로 입원하는 환자의 11%를 차지하는 비교적 흔한 호흡기 증상으로 가급적 출혈부위를 확인하여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여야 위험한 상황을 예방할 수 있다. 출혈부위를 찾기 위하여 기관지경검사를 하는 경우 그 시행시기가 객혈의 원인질환을 밝히거나 치료방침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는 것 같다. 그러나 출혈부위를 확인할 수 있다면 재출혈시 체위를 취하는데 도움이 되고 수술적 폐절제나 동맥색전술을 시행하는데 중요한 정보가 될 것이다. 방법 : 1989년 8월부터 1992년 8월까지 객혈로 입원하였던 환자 63명의 병록을 검토하여 원인질환, 객혈의 양, 객혈 지속기간, 기관지경검사의 시행시기등에 대하여 조사 하였다. 결과 : 1) 객혈의 주된 원인질환은 폐결핵(52.4%), 기관지확장증(27.0%), 폐암(11.1%) 이었다. 2) 41.3%(26/63) 에서 기관지경검사에 의하여 출혈부위가 확인 되었다. 3) 출혈부위의 확인율은 객혈의 양이나 기간과 관계가 없었다. 4) 출혈부위의 확인율은 객혈도중에 검사한 경우 61.8%(21/34), 객혈이 멈춘 후 24시간이내에 검사한 경우 18.2%(4/22), 그 이후에 시행한 경우 14.3%(1/7)이었다. 결론 : 방사선학적, 임상적 소견으로 원인 및 객혈부위의 확인이 어렵고, 객혈부위나 출혈병변을 확인하는 것이 치료방침을 결정하는데 중요할 것으로 판단될 경우 굴곡성 기관지경검사는 가능하면 조기에 특히 지혈되기 전에 시행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