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재접착

검색결과 438건 처리시간 0.024초

삭편판과 단판 또는 합판을 구성 접착한 콤플라이 복합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Comply-composites bonded with Particleboard and Veneer or Plywood)

  • 이필우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8권4호
    • /
    • pp.86-101
    • /
    • 1990
  •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strength properties of Comply, a composite panel. fabricated with particle board as core material and veneer or plywood as face and back. 20types of comply composites wer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four specific gravity levels(0.5, 0.6, 0.7 or 0.8) of particleboard core and three veneer or two plywood thicknesses for face and back. They were tested and compared with matching particleboard (control) on moisture content. specific gravity, bending properties(MOE, MOR SPL). nail resistance and internal bond strength. The obtained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increasing effect of modulus of elasticity was shown by the increase of face and back veneer or plywood thickness. The modulus of rupture and stress at proportional limit of the comply composites bonded with 3mm thick veneers or 3mm thick plywood face and back were higher than 2mm thick veneer or 2mm thick plywood as face and back. Both of modulus of rupture and stress at proportional limit on bending of Comply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board. Also the modulus of elasticity of Comply showed much higher than that of control board. The nail resistance of Comply, composed of plywood as face and back was higher than that of veneer. The nail resistance of control board was higher than that of Comply at Sp.Gr 0.7 and 0.8 core boards. Internal bond of Comply, composed of 1mm and 2mm thick veneer as face and back was higher than that of 3mm thick veneer. The increasing effect of modulus of elasticity was shown by the increase of shelling ratio in Comply composed of veneer and plywood as face and back. The modulus of rupture was increased by the increment of shellmg ratio in Compiy, composed of plywood as face and back. The modulus of elasticity and modulus of. rupture of comply were higher than those of particleboard(control) in effect of shelling ratio.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e mechanical property values of Comply were clearly greater than those of particleboard(control).

  • PDF

요소수지접착제(尿素樹脂接着劑)를 사용(使用)한 곰솔 집성재(集成材)의 제조조건(製造條件)이 접착성질(接着性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Influence of Adhesion Condition on the Laminated Wood of Pinus thunbergii glued with Urea-formaldhyde Resin)

  • 정인오;소원택;임기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2권2호
    • /
    • pp.35-43
    • /
    • 198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block shear strength of the 2ply laminated wood composed of Pinus thunbergii with ureaformaldehyde resin as adhesives according to pressure (6, 9, 12, 15kg/$cm^2$), pressing time(5, 10, 20, 30 hrs.), amount of spread(54, 108, 217, 324g/$cm^2$), hardener(10, 20, 30, 40% of 10% $NH_4CL$ on resin) and extender(0, 5, 10, 15% wheat flour on resin), and the bending strength and bending young's modulus of laminated beam according to the number of ply.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ccording to pressing pressure with amount of spread 217g/$cm^2$ both dry and wet shear strength of laminated wood showed the highest in 15kg/$cm^2$, and hot-cold soaking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in 9kg/$cm^2$, while all shear strength of dry, wet and hot-cold soaked laminated wood have been reduced with the increasing of pressing time. 2. According to amount of spread, adhesion strength with the dry, wet and hot-cold soaking treatments revealed the highest in 217g/$cm^2$ and have been reduced under or over 217g/$cm^2$ of spread. 3. According to addition of hardener and extender, all shear strength of laminated block with the dry, wet and hot-cold soaking treatments have been reduced in increasing of addition amount of hardener and extender. The bending strength of beam according to the number of ply showed the highest in 2ply laminated wood and horizontal loading beam to glue line had the higher in strength than the vertical loading.

  • PDF

내열성이 우수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염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xcellent Heat Resistance Organic-Inorganic Hybrid Flame Retardant)

  • 조경래;이성은;이춘하;김시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3호
    • /
    • pp.67-7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다중이용시설의 화재 시 건축자재로 사용되는 내장재의 가연성으로 인한 화재확산 및 연소 시 유독가스 발생으로 인한 인명피해를 사전 예방하기 위한 방염제를 개발하고자 한다. 유-무기 하이브리드 소재로 실리카 졸에 방염성을 부여할 수 있는 방염 소재를 적용하여 졸-겔법에 의한 방염 접착제 또는 코팅제를 제조하였다. 기존의 방염소재는 물론 비방염소재의 방염화를 비할로겐 방법으로 적용가능하며, 기존의 접착 코팅제의 기본 물성과 특히 내열성능을 높여 화재 시 내열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건축자재의 비할로겐 방염화를 확대하고자 한다.

한국산 감귤류 폐과피 내의 펙틴함량과 펙틴의 특성에 관한 연구 (The Content and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Pectin in Tangerine Peel)

  • 문수재;손경희;윤선;이명해;이명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3-66
    • /
    • 1982
  •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감귤류 폐과피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온주 밀감의 과피에서 펙틴을 추출하여 펙틴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추출한 펙틴과 펙틴 겔의 특성에 대해 검토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온주밀감의 과피와 albedo 내의 펙틴함량은 건물중량으로 각각 11.52%, 9.3%이었다. 과피에서 추출한 펙틴의 equivalent weight, 메톡실 함량, DE는 각각 596, 13.41%, 82.18%로 고메톡실 펙틴이었다. 아세틸함량은 0.125%로 겔 형성을 방해하는 범위는 아니었다. 점도와 분자량은 본 실험에 사용한 상품 펙틴에 비하여 높았으며, anhydrouronic acid함량은 98.4%로 매우 순도가 높았다. 추출한 펙틴의 젤리 등급은 138.1로 상품 펙틴에 비해 높아 우수한 겔 형성능력을 지닐 것으로 예측되었다. 겔의 텍스쳐는 강도, 응집성, 접착성 및 gumminess 모두 추출한 펙틴이 낮았다.

  • PDF

경주 감은사지서삼층석탑 충전제 선정과 보존처리 (Selection and Conservation for the Filler of Three-storied Stone Pagoda at the West of Gameunsaji Site in Gyeongju)

  • 이태종;김사덕;갈서연
    • 보존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61-370
    • /
    • 2010
  • Gameunsaji West Stone Pagoda;Filler;Consolidation;Pore;Injection;Materials; 석조문화재의 내부공극은 강화처리만으로 효과를 보기 어렵고 고분자합성수지를 이용한 충전의 경우 재료적 이질감과 높은 강도, 저점도에 따른 유동성 향상으로 내부벽면만 접착, 강화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기질 바탕의 다양한 충전제를 검색하여 충전효과검증을 통해 감은사지삼층석탑 공극부 충전에 효과적인 충전제를 선정, 보존처리를 실시하였다. 충전실험 결과 부재와 동일하거나 매우 유사한 물성을 지닌 KSE 500 STE + KSE Filler A KSE Filler B 조합을 사용하여 충전하였다. 서탑 전체표면적은 $252.6m^2$이며 이중 내부공극이 발달한 부분은 $17.77m^2$(7.03%)로 내부를 충전($24,885m{\ell}$)하였다.

유구치 아말감 수복물에서 레진 접착성 이장재의 미세 변연 누출에 관한 비교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MICROLEAKAGE OF AMALGAM USING RESIN ADHESIVE LINERS IN PRIMARY MOLAR TOOTH)

  • 김종태;최병재;이제호;이종갑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401-414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arginal leakage of resin liner which was used as a liner to amalgam restoration. Control group composed of no liner group, copalite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composed of All-bond 2, Vitrebond, Superbond D-liner applied groups were evaluated. Cl.V preparation with a size of $3{\times}2{\times}1.5mm$ on 70 extracted primary molars were made and applied appropriate liners for each groups. After amalgam filling and polishing, polished specimens underwent temperature changed from $5^{\circ}C\;to\;55^{\circ}C$ a thousand times. After thermocycling, specimens were placed in 2% methylene blue dye solution for 72 hours in an incubator set at $37^{\circ}C$. The teeth were sectioned buccolingually and the degree of dye penetration was observed with a spectroscopy. (${\times}30$)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Vitrebond, All-bond 2, Superbond D-liner group exhibi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er degree of dye penetration than no liner and copalite group. (Kruskal-Wallis analysis, P<0.05) 2. No liner group and copalite group exhibited a similar degree of dye penetration. (Mann-Whitney analysis, P>0.05) 3. All-bond 2 group exhibi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er degree of dye penetration than Vitrebond group, (Mann-Whitney analysis, P<0.05) Superbond D-liner group also exhibited a lower degree of dye penetration than Vitrebond group but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Mann-Whitney analysis, P>0.05)

  • PDF

복합재료 적층 구조물의 음향방출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acoustic emission characteristics of laminated composite structures)

  • 박재성;김광수;이호성
    • Composites Research
    • /
    • 제16권6호
    • /
    • pp.16-22
    • /
    • 2003
  • 음향방출 신호를 측정하면 운용 중에 구조물 내부의 파손 발생이나 진전 시점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강된 복합적층 패널의 압축 시험에서 발생하는 음향방출 신호를 측정하여 누적 신호 분포와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였다. 보강 패널의 좌굴 발생과 좌굴 모드의 변환시 음향방출 신호가 발생하였으며, 파손 발생 후 진전시 연속적인 신호가 나타났다. 복합재료 본딩 체결부의 강도 시험에서는 발생하는 음향방출 신호와 파손 형태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음향방출 신호 분석에 사용된 특성은 시간에 따른 누적 히트(hit) 분포, 주파수 특성과 신호의 크기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음향방출 신호의 연속적인 발생은 파손의 진전에 따라 나타나는 특성이며, 측정된 음향방출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적층 복합재료에서 나타나는 파손 모드와의 관계를 유추할 수 있다. 내부 응력크기에 따라 모재균열, 층간분리 또는 디본딩, 섬유파손을 각각 100 근방, 220kHz 근방, 500kHz이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충전재-탄성체 상호작용. 10. 카본블랙/NBR 복합재료의 계면 접착에 미치는 오존처리의 영향 (Filler-Elastomer Interactions. 10. Ozone Treatment on Interfacial Adhesion of Carbon Blacks/NBR Compounds)

  • 조기숙;;;박수진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8권2호
    • /
    • pp.139-14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오존 처리에 의한 카본블랙의 표면특성을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와 접촉각을 통하여 알아보았으며, 카본블랙/acrylonitrile butadiene rubber (NBR) 복합재료의 기계적 물성은 가교밀도와 인열 에너지 ($G_{IIIC}$)를 측정하여 관찰하였다. 본 실험결과, 오존 처리에 의해 카본블랙 표면에 도입된 산소를 함유한 관능기가 카본블랙의 표면자유에너지를 증가시켰으며, 결과적으로 고무 복합재료의 가교밀도와 인열 에너지가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오존처리에 의해 카본블랙 표면에 도입된 산소를 함유한 관능기가 카본블랙과 고무사이의 계면 결합력을 증가시켜 고무 복합재료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터빈 익렬 주위에서의 부유 입자 유동 해석 (Study of particle laden flows around turbine cascade)

  • 김완식;조형희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1998년도 제10회 학술강연회논문집
    • /
    • pp.10-10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제트 추진 기관의 터빈 익렬에서의 유동과 대기 중에 부유되어 있는 입자 또는 연소 생성물들이 제트엔진 내부로 유입될 경우 이에 따른 압축기 및 터빈 날개의 마모 및 충돌 부위를 예측하기 위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일반적으로 각종 항공기의 추진 기관용 가스 터빈 엔진은 대기중에 부유되어 있는 각종 입자들의 영향을 받게 된다. 특히, 확산 지역을 통과하는 항공기나 먼지 입자 부유물이 많은 공업지대 또는 사막지역을 비행하는 항공기의 경우는 모래 알갱이, 먼지 및 연소 입자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각 요소들에 심각한 부식 및 마모가 발생됨으로써 성능 저하 및 냉각 통로의 막힘, 압축기와 터빈 날개의 손상 등이 예측되어진다. 특히 항공기용 추진 기관은 엔진 입구에 유입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여과장치의 설치가 불가능하며, 자동차용 가스터빈 엔진의 경우는 여과 장치를 부착하여도 미세한 입자들이 여과 장치에 여과되지 않고 엔진 내부로 침투하게 되므로 치명적인 손상이 예상된다. 이러한 손상들은 초기에는 미세하게 발생하지만, 손상 정도가 점점 누적됨에 따라서 항공기의 안전 운전에 심각한 위험 요소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경제적으로도 기관의 유지 보수비용의 증가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에 화산재 또는 대기중에 부유되어 있는 금속 입자나 먼지입자 등이 유입되었을 경우, 압축기 날개의 손상 부위와 정도를 예측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agangian방법을 적용하여 압축기 날개위의 부유 입자 충돌 부위를 예측하고, 설계 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설계 입구각과 크게 벗어난 유동의 유입시에 발생되는 박리 현상과 이에 따른 입자의 유동 및 날개의 입자 접착 부위를 예측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크기의 입자(다양한 Stokes 수)들을 주어진 속도에서 유선을 따라 압축기 입구에서 압축기 유로로 여러 위치에서 부유 시켜서 그 입자들의 궤적 및 충돌, 점착 위지를 고찰하고, 정량적인 충돌량을 해석하기 위하여 입자 충돌 계수를 정의하여 압축기 날개 표면의 충돌특성을 알아보았다. 이러한 예측을 통하여 압축기 날개 표면의 충돌 부위를 예측하고, 날개의 표면을 코팅하는 등 보호 개선책을 제시할 수 있고, 연소의 반응물 입자가 터빈 날개에 충돌하여 발생되는 날개 표면의 파손, 냉각 홀의 막임, 연소 입자의 점착 부위 등을 예측하여 보완책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석조문화재 보존처리용 에폭시수지 물성에 미치는 탈크 함량의 영향 (Effect of Talc Content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Epoxy Resins in Conservation Treatment of Stone Monument)

  • 김다람;도진영
    • 보존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7-86
    • /
    • 2009
  • 석조문화재 보존처리제로 사용되는 에폭시수지의 물성변화를 충전제의 함량변화와 인공풍화를 통한 가속화시험으로 연구하였다. 충전제로서 탈크를 첨가한 에폭시수지(L-30) 시편에서 함수율이 감소하였고, 표면접촉각이 증가하여 수분에 대한 저항성이 높았다. 탈크의 첨가량을 일정량 증가시켰을 때 접착 성능에서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았으나 에폭시수지 자체의 압축강도는 저하되었다. 탈크 함량에 따른 에폭시수지의 물성변화는 그 주변 환경요소에 각기 다른 경향을 보였다. 온 습도 변화에 의한 인공풍화시험 후 탈크가 첨가된 에폭시수지에서 순수한 에폭시수지에 비해 함수율의 변화가 적었으며, 색차변화가 작았고 표면접촉각이 커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외선조사에 의한 인공풍화시험에서는 탈크함량이 증가할수록 에폭시의 물성이 악화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에폭시수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첨가하는 충전제의 함량이 보존처리될 석조물의 주변환경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