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재생 폴리프로필렌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1초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폐타이어고무분말 복합체의 기계적 특성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ethylene/Polypropylene/Waste Tire Rubber Powder Composites)

  • 최정수;박차철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6권4호
    • /
    • pp.318-323
    • /
    • 2011
  • 폐타이어고무분말을 재활용하기 위하여 방수시트용 고무분말 복합체를 제조하였으며, 수지 종류와 가교제의 함량이 복합체의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EPDM이 부가됨에 따라 고무분말 PE 복합체의 신장율이 3배 이상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고무분말 충전 복합체에 가교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복합체의 강도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재생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 경우 3배 이상 인장강도가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폴리프로필렌 블렌드물로 고무분말 복합체를 제조하는 경우 신재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것 보다 재생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것이 기계적 특성면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목재파티클과 재생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한 복합패널 제조 및 물성에 관한 연구 (Physical Properties of Composite Panel Manufactured from Wood Particle and Recycled Polypropylene)

  • 한태형;신랑호;권진헌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6호통권134호
    • /
    • pp.46-54
    • /
    • 2005
  • 목재파티클의 크기(1/32",1/4",1/2")와 재생폴리프로필렌의 혼합비율(10%, 30%, 50%, 70%)을 달리하여 복합패널을 제조하고 물성을 조사하였다. 목재파티클의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밀도가 다소 증가하였으며, 같은 혼합비율에서 목재파티클이 클수록 밀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흡수두께팽창률과 수분흡수율은 재생폴리프로필렌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치수안정성이 매우 우수하였다. 휨파괴계수는 재생폴리프로필렌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증가한 반면, 휨탄성계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SEM 사진 관찰을 통해 재생폴리프로필렌이 용해되어 목재파티클의 조직내에 일부 침투되어 쐐기 형태의 기계적 결합과 목재파티클을 감싸 매트릭스를 형성하여 결합되어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초음파 처리와 분말 크기가 재생 폴리프로필렌/폐타이어 분말 복합체의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ltrasonic Treatment and Particle Size on Mechanical Properties of Waste Polypropylene/WGRT Composites)

  • 김동학;김성길;이민지;박종문;오명훈;김봉석;김진국;방대석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4권2호
    • /
    • pp.36-4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 처리기가 die에 장착된 일축 스크류식 압출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폐타이어 분말을 탈황시켰고, 치합형 이축 스크류식 압출기를 이용하여 재생 폴리프로필렌/탈황된 폐타이어 분말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40, 80, 140 mesh 크기의 탈황되지 않은 폐타이어 분말과 탈황된 폐타이어 분말의 가교밀도와 탈황도를 계산하였고 각각의 기계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재생 폴리프로필렌과 탈황 전과 탈황 후의 폐타이어 분말 복합체에 대한 상용화제 SEBS-g-MA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가교밀도는 폐타이어 분말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감소하였다. 반면에 탈황도는 작은 크기의 폐타이어 분말이 첨가될수록 증가하였다. 탈황된 폐타이어 분말이 첨가된 복합체의 인장강도, 충격강도, 신장률은 탈황되지 않은 폐타이어 분말이 첨가된 복합체보다 크게 증가했으며 첨가된 폐타이어 분말의 크기가 작을수록 복합체의 기계적 특성이 더욱 향상되었다. 재생 폴리프로필렌과 탈황 전과 탈황 후의 폐타이어 분말 복합체에 SEBS-g-MA를 첨가하였을 때 충격강도와 신장률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혼합폐플라스틱으로부터의 대체연료유 생산기술에 대한 실증연구 (The Study for Manufacturing Technology of Industrial Fuel from Mixed Waste Plastics)

  • 이대식;이광식;김성옥;오세천;김수룡;권우택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5년도 제17회 워크샵 및 추계학술대회
    • /
    • pp.405-41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3톤/일의 플라스틱 투입량을 기준으로 혼합폐플라스틱으로부터 대체연료유를 생산할 수 있는 소용량 중심의 폐플라스틱 유화설비를 설계 제작하였으며 장기간에 걸친 시운전을 통하여 유화설비의 운전성 평가에 대한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 폐플라스틱으로는 플라스틱 재활용 업체에서 분리 선별된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그리고 이들을 혼합한 폐플라스틱을 각각 적용하였으며 $400\sim420^{\circ}C$의 분해 운전온도에서 폐플라스틱의 종류에 따른 시운전 평가를 하였다. 본 실증연구로부터 폴리에틸렌의 경우에 있어서는 79%의 재생유 회수율을 그리고 폴리프로필렌의 경우에 있어서는 80%의 재생유 회수율을 각각 얻을 수 있었으며 플라스틱 종류별 안정적인 운전조건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폐플라스틱 투입량에 대한 설계용량과 운전용량과의 비교로부터 약 40$\sim$50%의 설계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이는 유화설비의 설계를 위하여 사용된 혼합폐플라스틱의 부정확한 물성 값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로부터 얻은 시운전결과를 바탕으로 설계인자들을 확립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화학적 친수성 처리율에 따른 재생 PET 섬유와 시멘트 복합재료와의 계면 인발 특성 (Interfacial Pullout Characteristics of Recycled PET Fiber With Hydrophilic Chemical Treatments in Cement Based Composites)

  • 원종필;박찬기;김윤정;박경훈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333-339
    • /
    • 2007
  • 본 논문은 재생 PET 섬유와 시멘트 복합재료와의 부착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친수성 물질인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여 친수성 처리 효과를 평가하였다. 실험 변수는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폴리프로필렌의 농도 0%, 5%, 10%, 15% 및 20%를 고려하였다. 부착 실험은 ICI SF-8에 따라 dog bone 공시체를 이용하였으며 부착강도 및 인발 에너지를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부착 거동, 부착강도 및 계면 인성은 무수말레인산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특히 15%에서 가장 큰 효과를 발휘하였으며 농도가 20%가 되면 오히려 부착성능이 감소하였다. 이는 재생 PET 섬유의 표면은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폴리프로필렌의 농도가 15% 이상이 되면 전체적으로 완벽하게 코팅이 가능하나 20% 코팅시에는 코팅 부분에서 부분적으로 균열이 발생하여 이를 통하여 부착하중 작용시 균열 부분을 통한 파괴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섬유 표면의 미소 구조 관찰에서 무수말레인산의 농도에 따른 재생 PET 섬유와 시멘트 복합재료와의 부착력 향상 메커니즘을 확인할 수 있다.

상용화제의 첨가에 따른 재생 폴리프로필렌/폐타이어 분말 복합체의 기계적 특성 분석 (Effect of Compatibilizers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Waste Polypropylene/Waste Ground Rubber Tire Composites)

  • 박기훈;김동학;정종기;김성길;방대석;오명훈;김봉석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3권1호
    • /
    • pp.70-7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이축 스크류식 치합형 압출기를 이용하여 재생 폴리프로필렌/폐타이어 분말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세 가지 주요 실험 변수 즉 폐타이어 분말 함량, 폐타이어 분말 크기, 상용화제의 종류 및 함량이 재생 폴리프로필렌/폐타이어 분말 복합체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자세히 관찰하였다. 폐타이어 분말의 함량이 증가 할수록 인장강도는 감소하였으며 신장률과 충격강도는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폐타이어 분말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인장강도 및 신장률, 충격강도는 증가하였다. PP-g-MA를 첨가 하였을 시 복합체의 인장강도는 증가하였지만 신장률과 충격강도는 감소하였다. 반면에, 상용화제 EPDM-g-MA, SEBS-g-MA의 경우에는 복합체의 인장강도, 충격강도가 증가하였고 신장률은 PP-g-MA와 비교했을 때 매우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콘 칼로리미터와 TGA를 이용한 할로겐 계통의 난연제를 첨가한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난연성 및 열 안정성에 관한 연구 (Fire Resistance and Thermal Stability Study of Fire-Retarded Polypropylene Systems by Using Cone Calorimeter and Thermogravimetry)

  • 곽성복;정찬화;남재도;김준형;최미애
    • 폴리머
    • /
    • 제24권6호
    • /
    • pp.777-786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범용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프로필렌 (virgin polypropylene, VPP)과 폴리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재생플라스틱의 난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난연제 decabromodiphenyl oxide (DBDPO)와 chlorinated paraffin wax (CPW)를 혼합하여 이것들의 난연 특성을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 연구하였다. 난연성 평가 측정으로 콘 칼로리미터 (cone calorimeter, ASTM E1354, ISO 5660), 한계산소지수 측정 (LOI, ASTM D2863, ISO 4589) 등을 사용하였고, 콘 칼로리미터를 이용하여 DBDPO와 CPW의 난연효율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콘 칼로리미터의 결과로 난연제의 난연효율을 측정한 결과, DBDPO가 CPW보다는 약 2배의 난연효율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한계산소지수 측정 결과와 유사한 난연효율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열중량 분석 (TGA) 측정결과 난연제 DBDPO를 첨가하였을 때 약 30~5$0^{\circ}C$의 열분해 온도의 상승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폴리프로필렌을 혼합한 재생골재콘크리트의 내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urability of Recycled Aggregate Using Polypropylene Fibers)

  • 라재웅;신재인;양승배;구봉근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회논문집(I)
    • /
    • pp.419-424
    • /
    • 2000
  • The primary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properties of strength and durability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was added polypropylene as variables and to fabricate fine concrete in some conditions. The variables are substitution ratios of recycled aggregate(0, 30, 50, 100%) and additions of polypropylene(0, 0.2, 0.5, 1.0%). Compressive strength test to investigate strength properties and freeze-thawing test and drying shrinkage test to durability properties were done. As the result of this study, When variables are substitution ratio(30%) of recycled aggregated and addition(0.5%) of polypropylene, fine concrete was fabricated.

  • PDF

재생골재를 이용한 폴리프로필렌 섬유보강콘크리트의 강도 및 휨인성 특성연구 (Characteristics of the Strength and Toughness of Polypropylene Fiber Reinforced Concrete using Recycled Aggregates.)

  • 류택은;박재성;조영래;오희보;구봉근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회논문집(I)
    • /
    • pp.655-660
    • /
    • 200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verify the properties of concrete used recycled aggregate(0, 30%, 50%). Also, to improve the brittle fracture, energy absorption and apparent ductility of concrete, we added polypropylene fibers(0, 0.1, 0.2, 0.5, 1.0% by volume of concrete). As the experimental results, adding 30% recycled aggregates and 0.5% polypropylene fibers to concrete mixes enhances the properties of both compressive strength and toughness.

  • PDF

복합형 지오텍스타일의 적용환경에 대한 저항성 평가 (Assessment of Resistance to Application Environment of Geotextile Composites)

  • 전한용;류원석;김한도;정진교;조봉균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권3호
    • /
    • pp.25-38
    • /
    • 2003
  • 적용환경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자외선 안정제로 카본블랙을 첨가한 재활용 폴리에스테르 지오텍스타일과 폴리프로필렌 지오텍스타일을 니들펀칭법에 의해 복합형 지오텍스타일을 제조하였다. 역학적 특성, 자외선 저항성 및 화학적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폴리프로필렌 지오텍스타일의 인장강도 보유율은 자외선 노출조건에 따라 50% 정도 감소하였지만 복합형 지오텍스타일은 약간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재생 폴리에스테르 지오텍스타일을 많이 사용할수록 자외선에 대한 안정성이 향상되었다. 화학적 안정성의 경우, 다양한 화학조건에서 복합형 지오텍스타일의 인장강도 변화는 -20~+10% 정도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