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생 첨가제

Search Result 13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Separation of $CO_2$ from Syngas Using Gas Hydrate Formation (가스 하이드레이트 동공점유특성을 이용한 합성가스로부터의 $CO_2$ 분리 공정)

  • Park, Sungmin;Lee, Seungmin;Lee, Youngjun;Kim, Bomhui;Seo, Yongw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11a
    • /
    • pp.121.2-121.2
    • /
    • 2011
  • 석탄가스화복합발전과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는 $CO_2$분리법으로 연소 전 탈탄소화는 연료가 연소되기 전에 $CO_2$를 회수하는 방법으로 현재 여러가지 분리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스 하이드레이트의 다양한 응용 분야 중 이산화탄소 격리분야에서 합성가스로부터 $CO_2$롤 효과적으로 분리/회수하기 위하여 가스 고형화법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가스 하이드레이트 형성과정에서의 반응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순수계와 촉진제 첨가계(TBAB, TBAF, THF)에 대하여 반응시간에 따른 가스소모량 및 기상의 $CO_2$ 조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이드레이트 상에 고농도의 $CO_2$가 포집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순수계와 THF 첨가계의 경우 가스 소모량이 다른 계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이는 순수계의 경우 구조-I의 큰 동공과 작은 동공에 모두 기체가 점유되기 때문이며, THF 첨가계의 경우 구조-II의 큰 동공에만 기체가 점유되지만 THF의 첨가로 인해 전환율이 증가되기 때문이다. 반면, TBAF와 TBAB 첨가계의 경우에는 상재적으로 낮은 가스 소모량을 보였다. 기체 소모량이 큰 경우 최종 기상의 $CO_2$ 조성이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모든 실험조건에서 1시간 이내에 하이드레이트 형성반응이 종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촉진제 첨가에 의한 하이드레이트의 구조적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Raman 분광법과 $^1H$-NMR을 이용하여 혼합가스 하이드레이트를 분석하였다. 본 실험으로 얻어진 결과는 가스 고형화법을 이용한 합성가스 분리 공정 설계 및 개발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evelopment of additives for DME as a renewable energy (신재생에너지로서 DME 연료의 첨가제 개발)

  • Jang, Eunjung;Park, Cheonkyu;Yim, Eui-Soon;Jung, Choong-Sub;Lee, Bonghee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178.1-178.1
    • /
    • 2011
  • DME is generally expected to be used as a promising clean alternative fuel to diesel fuel. DME is not natural product but a synthetic product that is produced either through the dehydration of methanol or a direct synthetic from syngas. As DME has no carbon-carbon bond in its molecular structure and is an oxygenate fuel, it's combustion essentially generates no soot. DME has such cetane number of 55~60 that it can be used as a diesel engine fuel. However, DME has low lubricity but a proven method to solve the poor lubricity is by adding lubricity improver.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lubricity improver of DME as a transport fuel in Kore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 possibility of fatty acid ester compounds as a candidate to improve DME lubricity as compared with current lubricity improver of diesel. We also evaluated quality characteristics, storage stability of DME with lubricity additives.

  • PDF

Cooling and Antisolvent Crystallization of Potassium Bicarbonate in the Presence of Sterically Hindered Alkanolamines (입체 장애 알카놀아민 혼합 수용액에서 중탄산칼륨 결정의 냉각 반용매 결정화)

  • Jo, Chang Sin;Jung, Taesung;Yoon, Hyoung Chul;Kim, Jong-Nam;Rhee, Young Woo
    • Clean Technology
    • /
    • v.20 no.4
    • /
    • pp.383-389
    • /
    • 2014
  • $CO_2$ absorption processes have a good potential for large scale capture of $CO_2$ but a large amount of absorbing solution has to be regenerated, undesirably increasing the consumption of energy such as sensible heat and latent heat of vaporization. In this study, a cooling crystallization process which would separate the $CO_2$-rich potassium bicarbonate crystals from $CO_2$-lean water was developed to reduce the energy penalty. Sterically hindered alkanolamine additives were used to enhance the $CO_2$ removal efficiency and their antisolvent effect on the crystallization was found in a continuous cooling crystallizer. The production yields of crystals were increased in the sequence of 2-amino-2-methyl-1-propanol (AMP) < 2-amino-2-methyl-1,3-propanediol (AMPD) < 2-amino-2-hydroxymethyl-1,3-propanediol (AHPD), which are related to the number of hydroxyl groups in the additive molecules. Using $^{13}carbon$ nuclear magnetic resonance, the additives favored the formation of bicarbonate ions by steric hindrance effect and increased the supersaturation of $KHCO_3$. It is shown that the additives increase the mean size of crystals and crystal growth rate by increasing supersaturation. The additives are promising for enhancing the $CO_2$ removal efficiency and reducing the regeneration energy cost of $CO_2$ absorbing solution by promoting $KHCO_3$ crystallization.

포도(Vitis spp.)속 식물의 잎 절편과 callus배양을 통한 영양번식

  • 김진화;이명선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4a
    • /
    • pp.63-64
    • /
    • 2003
  • 현재 재배되고 있는 포도속 식물 8품종의 잎 절편과 잎 절편에서 얻어진 callus를 이용하여 신초 재생과 체세포배발생 유도 실험을 수행하였다. 생장조절제 종류별 첨가 농도 및 에너지원이 되는 sucrose의 농도별 첨가에 따른 배양 조직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활성탄의 첨가 유무가 체세포배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잎 절편과 잎 절편에서 얻어진 callus에 $\beta$-glucuronidase (gus) 유전자를 가진 Agrobacterium tumefasciens를 접종하여 포도속의 유전자 전환시 접종 효율을 검정하였다.(중략)

  • PDF

Evaluating the impact of enzyme hydrolysis process on the ethanol production (바이오에탄올 생산 공정에서 당화 전환 공정의 효율성 평가)

  • Na, Jong-Boon;Woo, Sang-Sun;Park, Ji-Yeon;Lee, Joon-Pyo;Park, Soon-Chul;Lee, Jin-Su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105.2-105.2
    • /
    • 2010
  • 전처리 후 얻어진 셀룰로스 고분자를 단당류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셀룰라제를 이용한 당화 과정이 필요하다. 통상 실험식 연구에서는 셀룰로스 당화시 당수율을 최대로 하기위해 pH조절을 위한 Citrate buffer와 미생물 오염을 막기 위한 Autoclave에서의 멸균 과정을 거친다. 하지만 대량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산업체에서는 적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이를 대신하여 산업체에서 적용 가능한 당화전환 공정의 효율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Autoclave 멸균을 대체하는 공정으로 항생제 첨가와 여과에 의한 제균을 선택하였고, citrate buffer를 대신하여 buffer를 첨가하지 않은 물을 pH를 조정하여 사용 하였다.실험결과 기존의 당화공정을 사용하였을 때 당화율이 81%이었고, pH를 조절한 제균 water에 항생제를 첨가하는 공정은 71%로 나머지 배지들 중 가장 높은 당화율을 나타냈다. 이것은 기존의 당화율보다 10% 낮은 수치이나 공정비를 교려하여 봤을 때 효율성 있는 공정으로 판단된다.

  • PDF

Structure Identification and Cage Occupancy Analysis of the Mixed Gas Hydrates Containing 1-Propanol and 2-Propanol (propanol계 혼합 하이드레이트의 구조 및 동공 점유 분석)

  • Lee, Youngjun;Lee, Seungmin;Park, Sungmin;Kim, Yunju;Seo, Yongw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11a
    • /
    • pp.121.1-121.1
    • /
    • 2011
  • 일반적으로 알콜계 물질은 가스 하이드레이트 형성에 저해제로 사용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의 연구를 통해 2-propanol이 일부 조건에서 촉진효과가 나타난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알콜계 물질인 1-propanol과 2-propanol의 가스 하이드레이트 격자내로의 포집여부와 그로 인한 촉진 혹은 저해 작용 그리고 구조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CO_2$$CH_4$ 기체에 대하여 1-propanol 혹은 2-propanol을 첨가하여 형성된 혼합 하이드레이트의 3상평형 기상(V)-물(Lw)-하이드레이트(H))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CO_2$의 경우 1-propanol과 2-propanol이 저해 작용을 함을 확인하였으며 농도가 높을수록 저해작용이 커짐을 알 수 있었다. 반면, $CH_4$의 경우 1-propanol에서는 저해 및 촉진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지만, 2-propanol에서는 촉진효과가 나타났으며 5.6 mol%에서 촉진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혼합 하이드레이트의 구조규명 및 동공 점유 분석을 위해 $^{13}C$ NMR과 XRD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 2-propanol과 1-propanol을 포함하는 혼합 하이드레이트는 구조 II를 형성하며, 2-propanol과 1-propanol은 큰 동공에 포집되고, 기체는 작은 동공에 포집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알콜계 물질을 첨가제로 사용하는 가스 하이드레이트 공정에서 매우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f Al-Si alloy layer with the glass frit in the aluminum paste (알루미늄 Paste의 Glass frit 첨가에 따른 Al-Si alloy 층의 변화)

  • Song, Jooyong;Park, Sungeun;Kim, Seongtak;Kim, Hyunho;Kang, Min Gu;Tark, Sung Ju;Lee, Byungchul;Kim, Donghwa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77.2-77.2
    • /
    • 2010
  • 스크린 프린팅을 이용한 태양전지에서 전극소성 시 알루미늄 후면 전극이 실리콘으로 확산되어 후면전계(Back Surface Field)를 형성한다. 후면전계 형성시 알루미늄과 후면전계 사이에 알루미늄-실리콘 합금이 형성된다. 이 알루미늄-실리콘 합금은 알루미늄 후면전극의 전기전도도 및 휨현상, bead 형성 등에 영향을 끼친다. 본 논문은 알루미늄 페이스트에 첨가된 Glass frit이 알루미늄-실리콘 합금 형성에 끼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분산제, 유기바인더, 알루미늄을 섞어 1개의 페이스트를 만들었고, Glass frit을 1%, 2%, 3%, 4%, 5% 씩 첨가하여 총 6개의 알루미늄 페이스트를 만들었다. 절삭손상이 제거된 실리콘 기판의 후면에 알루미늄 페이스트를 스크린 프린팅하여 전극을 소성하였다. 주사전자 현미경(SEM)을 사용하여 시편의 단면사진으로부터 Glass frit 함량에 따른 알루미늄-실리콘 합금층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Glass frit이 첨가되지 않은 페이스트는 소성 후 알루미늄-실리콘 합금이 두껍게 형성되었으나, Glass frit이 첨가된 페이스트는 소성 후 알루미늄-실리콘 합금이 얇게 형성되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Glass frit을 첨가함에 따라 표면의 원형 모양의 무늬가 작아지면서 3%부터는 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Lithium-ion Battery with Doped Graphite Nanofiber (카본 나노파이버가 도핑된 리튬이온전지의 전기화학적 특성)

  • Wang, Wan Lin;Jin, En Mei;Gu, Hal-B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11a
    • /
    • pp.137.1-137.1
    • /
    • 2011
  • 올리빈 구조의 $LiFePO_4$ 정극 활물질은 $650^{\circ}C$에서 고상법으로 제조되었다. $LiFePO_4$의 전자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graphite nanofiber(GNF)를 각각 3wt%, 5wt%, 7wt%, 9wt% 첨가하여 $LiFePO_4$-C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분말의 입자 형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X-ray diffraction(XRD)과 File Electronic Scaning Electromicroscopy(FE-SEM)를 측정하였다. XRD결과로부터 제조된 분말은 모두 순수한 결정 구조를 나타내었고 입자의 크기는 약 200nm였다. 5wt% GNF를 첨가한 $LiFePO_4$-C는 기타 첨가량에 비해 방전용량이 가장 높았다. 첫 사이클의 용량은 151.73mAh/g 나타났고 50 사이클 뒤에도 92% 이상을 유지하고 있었다. 첨가하지 않은 것에 비해 43% 증가하였다. $LiFePO_4$-C(3wt%), $LiFePO_4$-C(7wt%), $LiFePO_4$-C(9wt%)의 첫 사이클 방전용량은 각각 147.94mAh/g, 136.64mAh/g, 121.07mAh/g 나타났다. $LiFePO_4$-C(5wt%)에 비해 용량은 떨어쪘지만 순수한 $LiFePO_4$보다 많이 높았다. 임피던스 결과를 보면 기타 첨가량에 비해 $LiFePO_4$-C(5wt%)의 저항 제일 낮았다. 이는 충방전 결과와 일치하였다. graphite nanofiber의 첨가로 인하여 $LiFePO_4$ 정극 활물질의 전자전도도가 높아지고, 따라서 전기화학적 특성도 크게 향상되었다.

  • PDF

The Possibility of Silk Protein to the Chondrogenesis (연골 재생에 대한 실크 단백질의 가능성)

  • Jo, You-Young;Kweon, HaeYong;Lee, Kwang-Gill;Lee, Heui-Sam;Chon, Jeong-Woo
    • Journal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 /
    • v.50 no.1
    • /
    • pp.15-19
    • /
    • 2012
  • A number of researcher have studied biomaterials for cartilage regeneration and are now proceeding. Silk protein was attempted for use as biomedical materials by many researchers because it is natural polymer with biocompatibility and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In this study, we want to know a possibility of silk protein on the cartilage regeneration. We isolated chondrocytes from nasal cartilage and confirmed optimal culture condition of the cells. To observe the effects of silk fibroin on chondrogenesis, we added silk fibroin solutions to the culture medium of chondrocyte and detected gene expression levels related chondrogenesis such as col2, col10. The chondrocytes showed optimal growth when they were cultured in DMEM medium supplemented with 10% FBS 100 ${\cdot}{\ddot{I}}$M ascorbic acid. The levels of col2 gene expression were increased in non-autoclaved silk fibroin, but decreased in autoclaved one. Also the gene expression levels of col10 were increased in silk fibroin, particulary at 3D cul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had seen the possibility of silk fibroin for cartilage regeneration. In future studies, we should know more clearly the relationship between cartilage regeneration and the silk protein.

The Effects of DME on Formation of Methane Hydrate (DME가 메탄하이드레이트 생성에 미치는 영향)

  • Lim, Gyegyu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217.2-217.2
    • /
    • 2010
  • 자연 상태에서의 가스하이드레이트의 존재는 물의 빙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가스 수송관이 막히는 사고가 관내에 생성된 하이드레이트에 의한 것으로 규명된 이후영구동토지역이나 심해저에 부존되어 있는 막대한 매장량으로 인해 매우 활발한 연구가 최근에 진행되고 있다. 가스하이드레이트는 수분의 량에 비해 대량의 가스를 함유하므로 인위적인 가스하이드레이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연구 중 하이드레이트 반응을 촉진하는 촉진제(promoter)와 생성을 억제하는 억제제(inhibitor)를 찾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계면활성제와 고분자물질이 이들의 다양한 첨가제로 현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에서 메탄가스하이드레이트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대상물질로 선택한 DME(Dimethane Ether)는 산소 함유율이 34.8wt%인 함산소연료로 최근 신에너지로 부상하고 있으며, 해외 가스전 개발과 맞물려서 상용화단계에 들어와 있다. DME의 물리화학적인 특성으로는 상온의 온도에서 약5기압의 압력으로 액화 시킬 수 있다. 마취성이 강한 디에틸에테르와는 달리 마취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인체에 무해한 무색기체로 세탄가가 60가까이되어 경유(세탄가 55) 대체연료로 내연기관의 실증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갖고 있는 DME가 메탄가스 하이드레이트 생성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본 연구에서는 실험을 통해서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험과정에는 세 단계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는데 첫 번째 단계에서는 메탄가스만으로 하이드레이트 생성조건을 실험분석하였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DME가스를 먼저 주입한후 동일 온도에서 메탄가스를 주입시켜 하이드레이트 생성 압력을 실험측정하였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DME가스를 약 두 배 정도 많이 주입한 후 동일 온도에서 메탄가스를 주입하여 하이드레이트 생성 압력을 측정하였디. 이러한 단계별 과정을 다소 온화한 $-5^{\circ}C{\sim}4^{\circ}C$의 온도 범위에서 반복적으로 수행하였다. 실험결과에서는 메탄만의 하이드레이트 형성보다 빙점($0^{\circ}C$) 이하의 온도 범위에서는 DME가 메탄하이드레이트 형성에 촉진제 역할을 하였고, 빙점 이상의 온도에서는 억제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첨가된 DME의 양에 따라 촉진제의 역할과 억제제의 역할에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추후 실험에서는 좀더 넓은 농도, 온도 및 압력범위에서 재현성 실험을 추가로 수행할 것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