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생부

Search Result 71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자료 -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안)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v.37 no.12
    • /
    • pp.89-100
    • /
    • 2017
  • 산업통상자원부는 12월 20일 서울 상암동 에너지드림센터에서 백운규 장관 주재로 관계부처, 지자체, 시민단체, 업계, 학계 등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2회 재생에너지 정책협의회'를 개최하고 '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 20% 달성을 위한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안)'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안)은 지난 6월 산 관 학 연 전문가들로 구성된 이행계획 수립 T/F를 구성하여 약 6개월간 각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관계부처 협의, 간담회 등을 통한 각계각층의 의견을 반영하여 수립하였다. 재생에너지 정책협의회는 재생에너지 정책 수립에 있어 지자체, 시민단체, 업계, 학계를 아우르는 분권형 거버넌스 구축을 위해 '17년 8월에 발족하였다.

  • PDF

Guided Bone Regeneration using Fibrin Glue in Dehiscence or Fenestration Defects Occurred by Maxillary Anterior Implants: Case Report (상악 전치부 임플란트 식립에 의한 열개 및 천공형 골결손 발생 시 조직 접착제를 이용한 골유도 재생술: 증례보고)

  • Chee, Young-Deok;Seon, Hwa-Gyeong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
    • v.28 no.3
    • /
    • pp.277-290
    • /
    • 2012
  • Dental implants are universal restorative method on edentulous site in oral cavity and generally recognized by patients as well as clinicians. Rapid bone resorption of labial portion of maxillary anterior area is performed due to dental trauma, chronic periodontitis, and so on. Accordingly, Implants on maxillary anterior alveolar ridge with narrow labiopalatal width would lead to bony defects of dehiscence or fenestration. In this case, guided bone regeneration procedure is used to augment maxillary anterior alveolar ridge. It can have mechanical and biological advantages to mix tissue adhesive with bone graft materials in guided bone regeneration procedure. In these cases, when the dehiscence or fenestration defects was occurred by dental implants on maxillary anterior alveolar ridge with narrow labiopalatal width, guided bone regeneration procedures were performed with various combination of particle bone graft materials(allograft, xenograft, and alloplast) mixed with fibrin glue, excepting autogerous bone. We reported that all of 4 cases showed favorable alveolar ridge augmentations.

Adaptive Load Balancing Scheme for Real-Time Video Stream Transmission in Mobile Environment (모바일 환경에서 실시간 비디오 스트림 전송을 위한 적응형 부하 조정 기법)

  • Kim, Jin-Hwan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1 no.4
    • /
    • pp.105-112
    • /
    • 2011
  • We propose an adaptive load balancing scheme to transport real-time video streams efficiently in this paper. The playback buffer level of a video requesting client is high or low temporarily in mobile environment. This scheme attempts to allocate more network bandwidth to serve a video request with the lower buffer level preferentially. In this scheme, the amount of network bandwidth is dynamically allocated to the requesting clients according to their playback buffer levels in a distributed mobile system.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and real-time performance of individual video playback, the proposed load balancing scheme tries to maximize the number of frames that are transported successfully to the client prior to their playback times. Fair services can also be provided to all the concurrent clients by making their playback situation more adaptive. The performance of this load balancing scheme is compared with that of other static load balancing scheme through extensive simulation experiments, resulting in the higher ratio of frames transmitted successfully within given deadlines.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Exercise Training System (운동 트레이닝 시스템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 Oh, Eun-Yeol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8
    • /
    • pp.195-203
    • /
    • 2021
  • This study is about building an exercise training system that analyzes images taken of a person's whole body and displays the normal operating range for user-specific movements as images. This study analyzes the front and side of the user's body based on the standing point, sets the node in the joint position of the human body, and places the node in the spatial coordinate system from the point of entry, and calibrates the normal node operating range according to the set standard node coordinate. Therefore, the method of the study presented a method to select differentiation from this study through prior technical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stablish a exercise training system accordingly.

The Design of Object-based 3D Audio Broadcasting System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방송 시스템 설계)

  • 강경옥;장대영;서정일;정대권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2 no.7
    • /
    • pp.592-602
    • /
    • 2003
  • This paper aims to describe the basic structure of novel object-based 3D audio broadcasting system To overcome current uni-directional audio broadcasting services, the object-based 3D audio broadcasting system is designed for providing the ability to interact with important audio objects as well as realistic 3D effects based on the MPEG-4 standard. The system is composed of 6 sub-modules. The audio input module collects the background sound object, which is recored by 3D microphone, and audio objects, which are recorded by monaural microphone or extracted through source separation method. The sound scene authoring module edits the 3D information of audio objects such as acoustical characteristics, location, directivity and etc. It also defines the final sound scene with a 3D background sound, which is intended to be delievered to a receiving terminal by producer. The encoder module encodes scene descriptors and audio objects for effective transmission. The decoder module extracts scene descriptors and audio objects from decoding received bistreams. The sound scene composition module reconstructs the 3D sound scene with scene descriptors and audio objects. The 3D sound renderer module maximizes the 3D sound effects through adapting the final sound to the listner's acoustical environments. It also receives the user's controls on audio objects and sends them to the scene composition module for changing the sound scene.

Implementation of Spatial Sound Localization System and Subjective Test (3차원 음상정위 시스템의 구현과 주관 평가)

  • 이동우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e
    • /
    • pp.43-46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헤드폰과 스테레오 스피커를 통하여 가상의 음상을 임의의 위치에 정위시키는 음상정위 시스템을 구현하고, 주관 평가를 통하여 음상정위 성능을 고찰하였다. 음상정위 시스템은 크게 방향감을 제어하는 컨벌루션 처리부와 공간감과 거리감을 처리하는 잔향 처리부, 그리고 스테레오 스피커를 통해 소리를 재생할 때 발생하는 크로스 토크(corsstalk)를 제거하기 위한 트랜스오럴(transaural) 필터부로 나누어진다. 구현된 시스템의 음상정위 성능은 리스링 룸에서 녹음된 음성과 메트로놈 소리를 이용하여 수평각/고도각, 정지음/이동음, 거리감 등을 헤드폰과 스피커를 통하여 각각 실험한 결과 수평각 지각은 스피커 재생보다 헤드폰 재생이 우수했으며, 정지음보다 이동음의 지각 결과가, 고도각 지각은 전.후(0$^{\circ}$~360$^{\circ}$) 방향보다 좌.우(90$^{\circ}$~270$^{\circ}$) 방향의 결과가 우수하게 나왔다.

  • PDF

Development of Urban Regeneration Data Platform for Sharing Disaster Data (재난재해 데이터 공유를 위한 도시재생 데이터 플랫폼 개발)

  • Shin, Yonghyeon;Lee, Sangmin;Yang, D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80-48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지역의 재난재해 위험성 및 회복성 분석과 현황 분석을 위한 기초 데이터의 관리와 활용성 증대를 목적으로 데이터를 등록하고 다운로드 할 수 있는 공유 플랫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도시재생 데이터 플랫폼은 재난재해, 지역현황, 문서 항목으로 구분하여 도시재생 정보를 서비스한다. 재난재해 항목은 폭우, 폭설, 폭염, 강풍, 지진 5개 자연재해 유형과 이로 인해 추가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화재, 붕괴, 폭발 사회재난 3개 유형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총8 종류의 재난재해 유형에 대한 위험성과 회복성 분석 DB를 제공한다. 지역현황 정보에서는 유휴공간 및 지역자산정보 등 도시재생 현황분석에 필요한 행정(통계)데이터, 시설물정보 등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연구를 통해 산출되는 논문 및 보고서 등을 문서 항목에서 서비스한다. 데이터셋 등록 시, 시스템에 설정된 재난재해 유형, 시설물 등을 선택해 카테고리를 분류하고, 이력관리를 목적으로 데이터명과 생산년월 등에 대한 필수항목을 입력해야만 등록이 가능하도록 설정하였다. 또한 GIS 기반 공간자료 등록 시에는 가시화 서비스를 위하여 공간자료의 포맷과 좌표체계, 생산년월, 생산기관 등을 필수 입력하도록 하였으며, GIS tool을 활용한 자료 분석에 어려움이 없도록 하였다. 쇠퇴지역의 재난재해 대비/대응을 위한 도시재생 데이터 플랫폼은 금년 시범운영 후, 차년에는 클라우드 서비스 기능을 탑재해 계정 권한과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도시재생 업무를 수행하는 모든 사용자가 재난재해 정보를 비롯한 도시재생 관련 정보를 수집·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공유의 장을 구현함으로써 도시재생지역의 효과적인 재난재해 대비/대응 체계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