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미한인교회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The Analysis of Information Structure of the Community Information Menus of Korean Church Websites in the US (북미 한인 이주자의 초기정착정보제공을 위한 정보구성에 관한 연구 - 재미 한인교회 웹사이트의 지역정보 메뉴를 중심으로 -)

  • Lee, Myeong-Hee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19 no.2
    • /
    • pp.147-16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community information menus on the websites of Korean American Churches function well as community information sources to Korean American church members. Community information menus from 12 korean American church websites were compared in terms of information structure and labeling systems. Problems were shown and new informational structures and category labels to fully support the functions of Korean American church websites have been proposed. The proposed model was divided into three main aspects, the first sub menu category, the second sub menu category, and the third sub menu category.

Church Activities and Identity Problems of the 2nd-Generation Korean Immigrants in Atlanta, GA (재미한인2세들의 교회 활동과 정체성 문제 - 미국 조지아 주 애틀랜타의 한인2세를 중심으로 -)

  • Lee, Je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4 no.5
    • /
    • pp.573-586
    • /
    • 2008
  • Many studies of Korean immigrants in America reveal that about 70% of them attend a Korean church. Within Korean immigrant churches members exchange information and advice while they maintain their cultural traditions and ethnic norms. Recently some 2nd-generation Koreans have gradually started their own Korean congregations, known as English ministries(EMs) while some of them leave their Korean Christian churches. The future of Korean ethnic society in America depends much on the extent of 2nd-generation Koreans' retention of their ethnic culture.

  • PDF

A Study on Health Care Practices of Korean Immigrants in Transition (재미 한인들의 건강관리 실천에 관한 연구)

  • Im Eun-Ok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 /
    • v.10 no.1
    • /
    • pp.39-57
    • /
    • 1996
  • 미국은 이제까지 서구 백인문화 중심적으로 간호학을 발전시켜왔다. 그러나 국제적인 세계화 흐름과 함께 이제까지 경시되어 왔던 소수 민족들에게 차츰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러한 간호학의 추세와 함께 재미 한인들의 증가는 간호학 내의 한인들에 대한 문화적 지식의 확대를 필요로 하게 하였다. 이민이라는 과정을 통해서 이민자들은 새로운 가치관. 태도. 사회적 규범을 획득하게 되는데. 이러한 변화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이민 적응과정에서 오는 어려움 들은 이민자 들이 건강관리를 효과적으로 하지 못하게 하는 주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재미 한인들의 건강관리실천을 그들의 초기 이민 과정에서 겪게 되는 여러 경험에 초점을 맞추면서 면담조사와 사례 연구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임의 표본 추출된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에 있는 한 한인 교회의 20명의 교민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초기 이민경험과 건강관리 실천에 관한 면담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대상자 중 3인을 대상으로 하여 사례 연구가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재미 한인들은 타이민자들에 비해 소규모 사업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고 높은 취업 율에 비해 낮은 수인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인들은 타이민자들에 비해 좀 더 보수적이며 그들의 문화와 관습을 가능한 한 고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인들은 사회 참여와 대인 관계에 있어서 한인 사회에만 한정되게 활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미 한인들은 한인 사회 내에서 강력한 사회적 유대관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의 영향력이 타민족들에 비하여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 장벽이 가장 큰 문제로 보고되고 있으며 비록 성공적으로 미국 사회에 적응을 하더라도 계속적인 경제적인 생존 노력과 사회적으로 소외된 그들의 위치는 그들의 삶을 계속해서 어렵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초기 이민 적응과정에서 오는 어려움 들은 그들의 건강을 비효과적으로 관리하게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적절한 통역자를 사전에 선정, 이용함으로써 적절한 간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야겠다. 둘째. 한인을 대하는 간호 제공자들은 한인에 대한 문화적 지식을 겸비하고 그 지식에 근거를 둔 문화적으로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간호 제공자들은 한인들의 치료법 혼용을 이해하고 동시에 여러 치료법을 사용하는 경우. 잘 살펴서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다. 넷째, 가족관계를 사정하고 적절히 가족 구성원을 간소 목적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어야 하겠다 마지막으로 이들 내의 위험 집단을 우선적으로 파악. 접근하여야 할 것이다. 위험 집단으로는 경제적 문제로 적절한 의료 이용을 할 수 없는 저소득층, 문화적으로 열등한 위치에 있는 여성층과 초기 이민 적응에 가장 문제를 일으킬 소지가 있는 노년층을 들 수 있겠다. 이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진다. 첫째. 연구 대상자 선정이 어려워서 자원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행해졌다. 둘째. 적은 수의 연구 대상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행해졌다. 셋째. 연구기간이 짧았던 까닭에 좀더 상세한 사례 연구가 이루어질 수 없었다 좀 더 신뢰할 수 있는 표본 추출 방법을 통하여 선정된, 많은 연구 대상자를 가지고, 심도 있는 연구가 추후 반복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The Knowledge of Korean Ceremony Foods and Table Setting of Korea]1 American Housewives in the New York/New Jersey area (한국의례음식과 상차림에 관한 인식과 실행(재미 한인 주부를 중심으로))

  • 심영자;김정선;전희정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15 no.2
    • /
    • pp.146-157
    • /
    • 1999
  • The knowledge on Korean traditional ceremony foods was evaluated from 271 Korean American housewives residing in the New York and New Jersey metropolitan area. A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collect information on demographic background of the subject and their knowledge on ceremonial foods and table settings. Over half of the respondents considered table settings for ceremonial foods are important and most of them knew and learned Korean ceremonial foods from either their own mothers or mother-in-laws. About three-quarters responded that traditional table settings need to be simplified and half of them stated that family education is the best way of proceeding knowledge on ceremonial foods. Most of them have knowledge of table settings for a child's birthday, a baby's first birthday, a baby's hundredth day after birth, New Year's and full moon days. However, few respondents were knowledgable about other ceremonial foods. Practically, they are more likely to simplify the table setting for Korean traditional ceremonies, such as child's birthday, 60th birthday, wedding, and memorial day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to plan traditional cultural education programs for Korean immigrants in the U.S. so that they can make informed decisions in building cultural identities in the new environ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