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난 대응 경보

Search Result 83,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Social security aimed disaster response policy based on Big Data application (사회안전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의 재난대응 정책)

  • Choung, Young-chul;Choy, Ik-su;Bae, Yong-gue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0 no.4
    • /
    • pp.683-690
    • /
    • 2016
  • In modern society, disasters frequently occur, and the effect is getting more massive. Also, unpredictable future increases anxiety about social security. Accordingly, in order to prevent national-scale emergency from happening, it is highly required governments' role as ICT power nation and transition to disaster management system using big data applied service. Thus, e-gov necessarily acquires disaster response system in order to predict and manage disasters. Disasters are linked with some attributes of modern society in diversity, complexity and unpredictability, so various approach and remedies of them will appease the nation's anxiety upon them. For this reason, this manuscript suggests epidemics preactive warning algorithm model as a mean of reduce national anxiety on disaster using big data for social security. Also,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e-gov and analyzing problems in weak disaster management system, it suggests political implication for disaster response.

Image matching and geometric correction scheme for flood detection with UAV images (홍수 감지를 위한 무인기 획득 영상의 매칭 및 기하보정 기법)

  • Shin, Won-Jae;Lee, Min-Seob;Kwon, Eun-Jeong;Lee, Hyun-Woo;Lee, Y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029-1030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재난 감시 및 관리 서비스가 사람에 의한 단순 모니터링 기반의 대응을 제공하는 데 비해, 무인기를 활용해 사람의 사각에서 발생하는 재난 상황을 촬영하여 감시 및 분석을 하며, 무인기에 탑재된 다중 복합 센서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 분석을 통해 국지적 홍수 재난의 감지 예측 및 상황대응을 지원하고, 통합경보 시스템과 연동하여 대국민 재난 정보 전달 서비스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현재 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Front to End 시스템이 개발 완료되어 실험실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실제 필드에서의 재난 감시 및 예측 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필드 테스트를 준비 중에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 구축하고 있는 홍수 재난 관리 스마트아이 플랫폼에 대한 내용을 간단히 소개하고, 중요한 기능중 하나인 무인기 촬영 영상의 기하보정에 대해서 논한다.

Development of Monitoring System for Urban Flooding Management (도시침수 상황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Kang, Hoseon;Choi, Changwon;Bae, Chang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3
    • /
    • 2018
  • 최근 기후변화에 의한 강우패턴 변화로 국지성 집중호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서울 강남('12), 부산('13), 울산('16), 인천, 부산('17) 등 대도시 지역에서 침수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도시침수는 하천홍수 피해와는 달리 매우 짧은 시간에 피해가 발생하며, 시설물 파괴보다는 주택, 차량, 상가 침수로 인한 재산 및 인명 피해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도시침수는 다양하고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되므로, 상황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현재 도시침수 피해저감을 위한 대책으로 구조적인 대책과 복구사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짧은 시간, 높은 강도의 호우에 의해 발생하는 도시침수는 이와 같은 대책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사전 대비 대응을 위해서는 예 경보 시스템 등 비구조적인 대책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도시침수의 실시간 분석 및 모니터링 등 상황관리지원을 위한 도시침수 통합 관리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다. 따라서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는 도시침수 상황관리를 위한 "도시침수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연구를 2014~2016년에 걸쳐 수행하였다. 도시침수 모니터링 시스템은 실시간 AWS 및 RADAR 예측강우 기반의 예 경보, 침수예상도 및 침수위험지역 정보제공, 실시간 강우빈도분석, 다양한 기상정보 제공, SNS알림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담당자의 의사결정 지원이 가능하며, 2017년부터는 시범운영을 통한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범운영 결과를 통해 시스템의 적용성을 검증하고, 개선사항을 도출하였으며, 향후 도시침수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국화 운영을 위해 전국 읍면동단위의 위험기준 추정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n Analysis on the Utilization of Cell Broadcasting Service in post-COVID-19 (코로나 시대에 따른 긴급재난문자 활용 현황분석)

  • Jeong, Sang Gu;Jung, Woo-sug;Lee, Y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11a
    • /
    • pp.12-14
    • /
    • 2020
  • 코로나와 같은 전파력이 높은 감염병의 확산을 감소하기 위해서는 광역적으로는 방역 및 위생 수칙에 대한 정보 제공이 요구되며, 개개인별로는 접촉 등 전파 위험에 노출된 상황이나 장소 등에 대한 신속한 정보가 필요하다. 이러한 기능을 부합하는 재난경보 매체로는 개인이 보유한 휴대폰 단말을 통해 재난정보를 제공하는 긴급재난문자 서비스를 들 수 있다.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통해 필요한 지역 및 시간에 일괄적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에 코로나 대응을 위해 국내를 비롯한 각국에서의 활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코로나 시대에 따른 여러 나라의 긴급재난문자 활용에 대해 분석하고 앞으로의 긴급재난문자의 활용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Preprocessing System for Automatic Geometric Correction of Images Acquired by an UAV (무인항공기 획득 영상의 자동 기하보정을 위한 전처리 시스템)

  • Shin, Won-Jae;Lee, Min-Seob;Kim, Sung-Hyun;Lee, Y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7.11a
    • /
    • pp.159-160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무인기를 통해 수집한 영상을 과학적 분석 및 매핑이 가능한 영상으로 산출하는 자동 기하보정 시스템을 제안한다. 해당 시스템은 무인기를 활용하여 상시적으로 재난 상황을 촬영하여 감시 및 분석을 하며, 무인기에 탑재된 다중복합 센서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 분석을 통해 국지적 홍수 재난의 감지 예측 및 상황대응을 지원하고, 통합경보 시스템과 연동하여 대국민 재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위한 요소 기술이다. 현재 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Front to End 시스템이 개발 완료되어 실제 필드에서의 재난 감시 및 예측 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필드 테스트를 준비 중에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 구축하고 있는 홍수 재난 관리 플랫폼에 대한 내용을 간단히 소개하고, 중요한 기능중 하나인 무인기 촬영 영상의 자동기하보정 시스템에 대해서 논한다.

  • PDF

Comparison of Public Warning between NHK and KBS in Tohoku Earthquake (동일본 대지진에서 나타난 NHK와 KBS의 재난방송 비교)

  • Lee, 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07a
    • /
    • pp.143-147
    • /
    • 2011
  • 3월11일 오후 2시46분경 일본 동북지역을 중심으로 M. 9.0 규모의 동일본대지진이 발생해 수많은 희생자가 나왔다. 지진발생 후 쓰나미가 일어나 방사선이 대량으로 유출되는 등 일본사상 최대의 국가적인 복합재난이 일어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인들이 침착함을 잃지 않은 시민의식에 대해 세계 시민들은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우리나라도 국가적으로는 대형 재난발생 시를 대비하여 행정안전부, 방송통신위원회, 소방방재청, 기상청, KBS, 재난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가칭 "긴급재난방송협의회" 같은 것을 구성하여 긴밀하게 재난정보를 교환하는 유기적인 협력체제구성이 필요하다. 또, 나아가서는 이들 관련 부서에서는 재난방송 전담관을 두어 재난방송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정부도 KBS에 대해 대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하겠지만, KBS 또한 지금까지의 대응 자세에서 벗어나 "재난방송의 선진화"를 위해 재난방송시스템을 새로 구축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KBS는 NHK의 지상파방송과 같이 KBS 위상에 걸 맞는 재난방송시스템을 구축하는 한편, 디지털시대에 있어서의 뉴 미디어를 이용하여 DMB나 스마트 폰, SNS 등을 이용한 각종 재난경보체제를 선도해야 할 재난주관방송사로서의 의무가 있다. 그것이 곧 공영방송의 본연의 임무이자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데 최선을 다하는 길이다.

  • PDF

A Study on IoT based Forensic Policy for Early Warning System of Plant & Animal as A Subsystem of National Disaster Response and Management (국가재난형 동·식물 조기경보시스템을 위한 IOT기반의 포렌식 정책 연구)

  • Chung, Ho-jin;Park, Dea-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05a
    • /
    • pp.295-298
    • /
    • 2014
  • In recently, a climatic change(such as subtropical climate and frequent unusual high temperature) and the open-trade policies of agricultural & livestock products are increasing the outbreak risk of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HPAI) and foot and mouth disease(FMD), and accordingly the socio-economic damage and impacts are also increasing due to the cases such as damage from the last 5 times of FMD outbreak(3,800 billion won), from 10 years public control cost of Pine Wilt Disease (PWD)(238.3 billion won), and from the increased invasive pests of exotic plant like isoptera.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new operation strategy of IoT(Internet of Things) based satellite early warning system(SEWS) for plants and animals as a subsystem of national disaster response and management system is being required, where the forensic technology & measures should be applied as a government policy to estimate the post compensation and to carry out the legal responsibility.

  • PDF

Development of Customized Weather Emergency Information Generation and Delivery Technology (수요자 맞춤형 기상긴급정보 생성 및 전달시스템 개발)

  • Lee, Byung-Yun;Jung, Woo-Su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75-76
    • /
    • 2023
  • 연구목적:기존의 예·경보 발령 체계와는 별도로 지역 특성 및 상황에 따라 기상 관련 긴급정보를 적시에 발령하여 사용자가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연구방법: 업무의 신속한 적용과 효율성을 위하여 기상청 기운용 중인 선진예보시스템과 종합통보시스템, 그리고 방재기상 포탈 시스템과 연동하여 발생하는 다양한 기상정보와 이로부터 발생된 기상특보문(10종), CBS발송문 등을 연동하고, 위험 기상현상에 관한 기상 긴급 판단 기준을 결정한다. 연구결과:긴급기상정보의 발령 주무부처인 기상청이 운용하는 선진예보시스템과 연동하여 기상긴급정보 전달시스템이 개발되었고 기상긴급정보 자동 생성을 위한 판단 모듈과 메시지 자동생성 기능이 구현됨. 결론:현재 기운용중인 시스템과 효율적으로 연동하여 기상긴급정보의 판단 기준을 제공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자동 생성하여 기존의 중계망을 통하여 신속한 제공이 가능하게 되어 긴급한 기상 상황에 의한 재난 피해를 대폭 줄 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the Importance of the Components of the Community Disaster Resilience on Disaster Response (지역사회 재난회복력 구성요소와 재난관리정책 결정요인 분석)

  • Kim, Jinkeun;Park, Chanseok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5 no.3
    • /
    • pp.339-346
    • /
    • 2019
  • Purpose: In fact, to manage response and recovery successfully, although mitigation and preparedness should be accomplished naturally and automatically through thorough analysis and assessment, response, recovery, mitigation, and preparedness have not done in the way of virtuous cycles and continued broken disaster management repeatedly. Method: By Analysis through the critical methods, to enhance the community disaster resilience centered by soci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Korea, Result: (1) public training & education preparing for emergency or disaster (2) supplying public with disaster, or hazards information, and sharing at real time (3) networking emergency and disaster informational communication system & alarm system (4) analysis and assessment of risk(or disaster) in community (5) inter-governmental cooperative relationship and agreements (6) adopting and implementing disaster or hazards mitigation plan Conclusion: These will be able to be fully melt down into and specifically focused in the disaster policies in Korea for the better disaster management.

Flood analysis of yeongsan and sumjin river basin in 2020 (2020년 영산강 및 섬진강유역 홍수상황 분석)

  • Kwon, Min Sung;Jung, Chung Gil;Lee, Joon Ho;Kim, Kyu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60-360
    • /
    • 2021
  • 최근 지구 온난화와 기후변화, 그에 따른 이상기후로 인하여 대규모 홍수피해가 발생함과 동시에 오랜 시간 동안 가뭄이 지속되어 재난관리가 더욱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영산강홍수통제소는 효율적인 재난관리를 위해 영산강권역의 5대강 및 해안지역의 수위·강수량·유량 등 수문조사시설을 설치·운영하여 홍수·갈수예보를 통해 재난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2020년 영산강홍수통제소 관할권역의 홍수기 강수량은 예년에 비해 약 150% 내외의 많은 강수가 내렸다. 영산강, 섬진강, 동진강 수계는 8월에 가장 많은 비가 내려 487.4 mm, 619.5 mm, 503.7 mm의 강수가 기록되었고, 8월의 예년 대비 강수량은 181%, 200%, 192% 수준이었다. 만경강과 탐진강은 7월 강수량이 535.1 mm, 365.5 mm로 가장 많았고, 7월 강수량의 예년비는 193%, 141%의 수준이었다. 특히 8.7~8.8일 섬진강 유역의 남원시(신덕리)와 영산강 유역 담양군(광주댐)에는 각각 542 mm, 654 mm의 기록적인 강수가 관측되었다. 이틀간의 집중호우로 영산강 및 섬진강 유역의 여러 지역에서 홍수피해가 발생했으며, 특히 남원시, 구례군, 하동군에서 홍수 피해 규모가 컸다. 영산강홍수통제소는 2020년 총 51회의 비상근무를 실시하여 홍수상황에 대응 하였으며, 15개 홍수특보지점 중 탐진강 유역 장흥군(예양교)를 제외한 14개 지점에 대해 홍수주의보 22회, 홍수경보 14회 등 36회의 홍수특보를 발령하였다. 홍수특보 지점의 대부분 지점에서 기왕 최고치에 근접하거나 이를 초과하였다. 홍수주의보 수위를 초과한 지점은 총 14개소이며, 이 중 계획홍수위 초과 6개소, 홍수경보 수위 초과 5개소, 홍수주의보 수위 초과 3개소이다. 또한 위기단계별 홍수정보 943건을 30개기관 595명에게 제공하여 관계기관의 방재활동을 지원하였으며, 관할수계 다목적댐 3개소, 발전댐 1개소, 용수댐 1개소, 농업용저수지 10개소, 다기능보 2개소, 홍수조절지 2개소에 181회의 방류승인을 통해 홍수조절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20년 홍수기간 동안 영산강 및 섬진강의 홍수상황 및 홍수대응 현황을 분석하고, 향후 홍수상황에 대비코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