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난안전지도 서비스

Search Result 17,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n Promotion of Life Safety Guidance Service (국민생활 안전 지킴이 생활안전지도 서비스 확산 추진 연구)

  • Lee, Jae Min;Kim, Tae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343-345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우리가 사는 동네의 안전현황에 대하여 국민안전처가 제공하는 생활안전 지도서비스를 통해 혹시 모를 사고와 범죄 예방은 물론, 신속한 대응을 해야 하나, 각종 서비스는 부처별로 재난안전정보를 개별 분산적 관리한 탓에 국민에게 생활주변의 다양한 안전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현재 생활안전지도 서비스에 대한 실태를 살펴보고 비교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Public Safety Map and Activation Plan (생활안전지도 서비스 구축 및 활성화 방안)

  • Goo, Sin-Hoi;Chun, Young-Woo;Pyo, Kyung-Soo;Park,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276-277
    • /
    • 2015
  • 현정부 들어 "범죄로부터 안전한 사회구현", "재난재해 예방 및 체계적 관리" 등이 주요 국정과제 현안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국가적 차원에서 국민의 안전을 위한 정책 및 생활안전에 대한 대국민 서비스 마련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각 부처 기관별로 개별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재난 및 안전사고 관련 정보를 통합하여 GIS DB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국가 안전정책 개발 및 대국민 서비스를 위한 생활안전지도 서비스 구축현황과 이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대국민 관점에서 생활안전지도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였다.

  • PDF

ICT EXPERT INTERVIEW - 재난통신(PS-LTE)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 TTA Journal
    • /
    • s.156
    • /
    • pp.6-13
    • /
    • 2014
  • 재난안전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고 재난 발생은 그 끝이 없습니다. 그래서 항상 재난에 대비하고 관련 규칙을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 설마 하는 방심이 누적되어 불시에 대형 참사가 발생하며 이러한 재난이 발생하고 난 후에 책임공방과 과실을 따져봐야 이미 발생한 재난의 시련은 이미 돌이킬 수 없습니다. 그동안 발생한 대형 참사를 통하여 배운 교훈은 일사불란한 통합지휘체계에 의한 재난 관리 및 재난 대응 시스템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사실입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한반도의 산간오지 및 도서 지역을 커버하는 음성 그룹통신 기반의 재난안전통신망이 제대로 구축되어 있지 않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는 음성과 영상 그룹통신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방식의 PSLTE 구축을 3년 내에 전국을 커버하는 재난안전통신망으로 구축할 계획을 발표하였지만 이에 대한 기술표준과 상용화 장비 등이 구현되어 있지 않아 3년 내 전국망 구축이 쉽지 않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객관적 입장에서 PS-LTE 재난망의 개념, 표준화 방향과 추진 일정, 재난안전통신망의 문제점, 시장선점을 위한 원천기술, 국내시장 활성화 방안 그리고 기타 재난 경보방송 서비스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이번만큼은 어떠한 재난이 발생하더라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그리고 일사불란하게 국가재난에 대응하는 현존 최고의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이 완벽하게 이루어지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 PDF

Vulnerability Analysis on Fire Service Zone using Map Overlay Method in GIS (GIS 기반 중첩기법을 이용한 소방서비스 취약지역 분석)

  • Lee, Seul-Ji;Lee, Ji-Y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9 no.1
    • /
    • pp.91-100
    • /
    • 2011
  • Fire stations should be located in optimal location to act quickly in case of emergency and minimize damages as a public facility that protects life and property of local residents. Siting fire stations without regard for the accessibility and occurrence factors of an accident may provide fire service unequally. Therefore service analysis is necessary to reduce the blind spot of disaster and safety and to offer equal fire-service at this time. Especially fire stations can service more efficiently than before by reducing a more likely vulnerable area. This study suggests methods of mapping index of value that represents vulnerability of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and extracting service zone map of fire stations, as an initial research for offering efficient fire service. Geographical distribution mismatch between service zone map and vulnerability map is figured out and vulnerable area for fire service is defined by using map overlay method.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Flood Disaster Safety System Using Realtime Weather Big Data (실시간 기상 빅데이터를 활용한 홍수 재난안전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Kim, Yeonwoo;Kim, Byounghoon;Ko, Geonsik;Choi, Minwoong;Song, Heesub;Kim, Gihoon;Yoo, Seunghun;Lim, Jongtae;Bok, Kyungsoo;Yoo, Jae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1
    • /
    • pp.351-362
    • /
    • 2017
  • Recently, analysis techniques to extract new meanings using big data analysis and various services using them have been developed. A disaster safety service among such services has been paid attention as the most important service.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 flood disaster safety system using real time weather big data. The proposed system retrieves and processes vast amounts of information being collected in real time. In addition, it analyzes risk factors by aggregating the collected real time and past data and then provides users with prediction information. The proposed system also provides users with the risk prediction information by processing real time data such as user messages and news, and by analyzing disaster risk factors such a typhoon and a flood. As a result, users can prepare for potential disaster safety risks through the proposed system.

A Study on the Multimedia Disaster Information Contents for Disaster Response Service (재난대응 서비스 제공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난정보 콘텐츠 연구)

  • Cho, Beom-Jun;Kwon, Ki Bong;Kim, Hyun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573-573
    • /
    • 2020
  • 현재 운영되고 있는 대국민 재난 예.경보시스템은 텍스트 및 음성으로만 재난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고령자 및 외국인, 장애인들과 같이 재난상황 하에서의 사회적 약자에게는 재난대응을 위한 인지가 쉽지 않으며, 제한된 텍스트 정보로 인해 재난상황을 전달하기에 한계가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매체를 통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포함된 재난정보에 관한 연구와 이를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국내에서는 디지털사이니지 및 버스정보시스템과 더불어 최신 ICT 기술인 '5G', 'UHD'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재난정보를 수용하여 제공할 수 있는 고도의 인프라 기반이 마련되어 있어 현재보다 많은 재난정보를 전달하여 국민들로 하여금 신속.정확한 재난상황 인지를 가능케 할 수 있다. 다매체에서 활용 가능한 멀티미디어 재난정보 콘텐츠는 행정안전부 '재난정보공동이용시스템'과 기상청 '지진조기경보시스템'에서 제공하고 있는 다양한 관측 및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자동적으로 생성된다. 생성된 멀티미디어 재난정보 콘텐츠는 '발생재난 종류'와 '재난발생 일시', '발생지역'과 같은 기본적인 정보를 포함하여 지도기반 '재난발생 위치'와 '대피소 위치', '대응요령', '기타 정보'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재난 콘텐츠는 '경보'와 '후속 경보'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에 차이를 두어 상황에 맞게 인지할 수 있도록 연구하였다. 다만, 이러한 재난정보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가능케하기 위해서는 현재와 같은 재난정보 전달체계와 더불어 웹서비스 및 양방향 방송망을 활용할 수 있는 전달체계가 확보되어 보다 신속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기반 기술 연구가 필요하다.

  • PDF

Visualizing of Alley Safety Data making use of public data (공공데이터를 이용한 골목길 안전 데이터의 시각화)

  • Lee, Chang-Min;Park, S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635-638
    • /
    • 2017
  • 안전한 도시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다양한 안전도 측정 모델을 통해 안전도를 측정하여 범죄 예방활동, 재난예측 분야에 적용하고 있다. 안전도 측정 모델을 통해 도로의 안전도 수치를 정량화하여 안전도관련 데이터가 맵핑된 지도와 같은 실제 보행자가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한 필요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모델은 적용분야가 구체적이지 않고 모델을 서비스에 적용하기가 어렵고 정량화된 값을 제시하는 모델이 없어 수치가 의미하는 바를 명확히 알 수 없다. 따라서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도로 안전지수 측정모델"을 개발하여 값을 얻고 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공공 데이터를 지도상에 보여주고자 한다.

A Study on the Safety Index Service Model by Disaster Sector using Big Data Analysis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재해 분야별 안전지수 서비스 모델 연구)

  • Jeong, Myoung Gyun;Lee, Seok Hyung;Kim, Chang Soo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6 no.4
    • /
    • pp.682-690
    • /
    • 2020
  • Purpose: This study builds a database by collecting and refining disaster occurrence data and real-time weather and atmospheric data. In conjunction with the public data provided by the API, we propose a service model for the Big Data-based Urban Safety Index. Method: The plan is to provide a way to collect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disaster occurrence by utilizing public data and SNS, and to identify and cope with disaster situations in areas of interest by real-time dashboards. Result: Compared with the prediction model by extra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safety index and weather and air relationship by area, the regional safety index in the area of traffic accidents confirm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weather and atmospheric data. Conclusion: It proposed a system that generates a prediction model for safety index based on machine learning algorithm and displays safety index by sector on a map in areas of interest to users.

Improvement of funeral home services in preparation for national disasters (국가재난대비 지정 장례식장 서비스의 개선 방안)

  • JeungSun Lee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 /
    • v.12 no.4
    • /
    • pp.72-81
    • /
    • 2022
  • As new disasters such as COVID-19, MERS, and earthquakes appear in modern society, the nation's ability to manage uncertain risks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e government is promoting a disaster safety management policy closely related to daily life by reinforcing on-site response capabilities. Therefore, in order to respond more effectively to disasters that have recently been enlarged, complicated, and delocalized, there is a limit to only disaster-related organizations in the public sector. It is necessary to check it and find ways to develop it. In the event of an unpredictable national disaster or infection, the government needs disaster safety management measures closely related to daily life. Accordingly, as an efficient response and strategy such as procedures and methods for funeral support at the scene of a national disaster were needed, a designated funeral home was introduced. In the event of a major disaster, a large number of casualties that exceed the daily work level of the relevant department occur and rapid changes in relief, medical care, funeral and administrative procedures occur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basic operating directions and prompt funeral support plans for funeral homes designated for national disaster preparedness.

Proposal of Disaster Safety Model based on Geospatial Standard (공간정보표준 기반의 재난안전모델의 제안)

  • Hwang, ByungJu;Ha, Donghun;Yang, Jaeyu;Kim, Jinhyug;Kwan, Jiyong;Im, SeongHo;Kim, Ja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8.10a
    • /
    • pp.425-427
    • /
    • 2018
  • As the urban scale changes and the living space changes in three dimensions,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continuously builds various and high quality spatial information such as three-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indoor spatial information,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and precision road map. However, although various disasters and safety accidents are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enlargement and complexity of cities, safety management using spatial information is relatively insuffici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 data model for comparing and analyzing typical domestic and international 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cases and providing disaster safety services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standar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