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난방재 시스템

Search Result 26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Development of T-DMB Emergency Broadcasting Technology for Tunnel and Underground Area (터널 및 지하공간용 T-DMB 재난방송 기술 개발)

  • Lee, Yong-Tae;Park, So-Ra;Lee, Yong-Hoon;Paek, Myung-Sun;Lim, Bo-Mi;Song, Yun-Jeong;Kim, G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07a
    • /
    • pp.157-159
    • /
    • 2011
  • 현재는 국토해양부의 "도로터널 방재시설 설치 지침"에 따라 1종 도로 터널 내 아날로그 AM/FM 라디오 재난방송시스템이 설치되어 운영 중이나 T-DMB의 경우 관련 시스템이 개발이 되어 있지 않았다. T-DMB는 개인용, 휴대용, 이동형의 디지털방송매체로서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들어 수신기 보급 증가로 새로운 재난방송 매체로 부상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면 터널 및 지하공간에서 T-DMB 방송망과 수신기를 활용한 국지적 재난방송 기술 개발은 매우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은 기존 T-DMB 방송서비스 권역 내에서 터널 및 지하공간 등 T-DMB 수신환경이 열악한 지역에서 평상시에는 T-DMB 방송을 중계하여 수신환경을 개선하고 재난발생 시에는 기존 T-DMB 단말기로 수신 가능하며 각 재난상황에 맞는 맞춤형 재난경보방송을 송신하는 T-DMB 재난방송시스템 및 관련기술을 소개한다.

  • PDF

Application on the New Technology of Construction Disaster Protection Management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공간정보기반의 건설구조물 방재관리 신기술 적용 연구)

  • Yeon, Sang-ho;Yeon, Chun-Hum;Kim, J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59-260
    • /
    • 2017
  • 본 연구는 건설 구조물의 정밀한 미세 변위 모니터링 관리시스템 개발을 위한 공간적으로 참조 가능한 모든 형태의 측위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집, 저장, 갱신, 조정, 분석, 표현할 수 있도록 새로운 GNSS과 원격탐사측량 등의 신기술을 적용하여 건설 구조물의 주요부 위에 대한 mm급의 다양한 측위분석이 가능한 사용자 요구에 즉시 부응할 수 있는 검색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신기술을 연구하였다. 이를 통하여 건설구조물의 설계 및 시공 도면과 정밀한 공간정보를 유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반영구적인 주요 시설물의 정밀한 미세변위의 변형을 추적하여 방재관리에 효율적으로 신기술이 체계적으로 사용되도록 할 것이다. 특히, 최근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USN/UAV의 환경센서기반의 무인의 간이사진측량시스템을 활용하여 건설구조물를 대상으로 하는 실제 측정을 통하여 지형공간정보와 시설물의 위치정보를 지도로 제작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방재의 신기술을 비교분석하여 최적의 건설방재기술을 검토하였다.

  • PDF

Effects of Tsunami and Disaster Response System (뉴스초점 - 지진해일의 영향과 방재대책)

  • Kang, Young-Seung
    • Journal of the Korean Professional Engineers Association
    • /
    • v.45 no.1
    • /
    • pp.45-48
    • /
    • 2012
  • The 2011 Japan Tsunami caused tremendous damage to coastal areas. Because of their drastic propagation speed and large run-up height, nearshore tsunami can cause catastrophic damages on coastal communities within a short tim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tsunami hazard mitigation to reduce human injury housing damage. The construction of Tsunami warning system and production of hazard map are needed for minimizing damage by tsunami.

  • PDF

Development of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Steep Slope Prevention and Management (급경사지 방재 및 관리를 위한 급경사지정보 통합관리시스템 개발)

  • Lee, Kyungchul;Jang, Yonggu;Song, Jihye;Kang, Injoon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5 no.9
    • /
    • pp.77-85
    • /
    • 2014
  • Recently,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of Korea has been operating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Nevertheless, there are numerous difficulties in systematic controlling the steep slope DB promptly, because the system's functions in input and control for steep slope information are merely simple. Futhermore, the hazard degrees of steep slope lands nowadays have risen suddenly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rate of large scale landslides such as the landslide cases of Umyeonmountain, Chuncheon province and others or sever rain storm cases. these lead to rapid increases in frequencies of nature disasters nationally. therefore, it is needed to develop the GIS-base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steep slope information in order to manage disasters in advance or high-degree control. This study shows the national GIS-base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to prevent the disasters that caused by steep slope lands.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consists of surface information input modules, realtime DB liaison modules of integrated underground information, V-world background map-based GI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steep slope information user modules, realtime liaison interface modules designed for utilizing steep slope information. Also, tests about stability of data storage, system stability and consistency of processing speed were performed.

A study on the integrated management model of the national disaster resources (국가 방재 자원 통합 운영 모델에 관한 연구)

  • Lee, Changyeol;Kim, Taehwan;Park, Giljoo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9 no.3
    • /
    • pp.358-364
    • /
    • 2013
  • Conventional disaster resources management systems among the several institutes are not mutually connected. In case of NDMS(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the data of the system is confined to the resources of the local governments and not connected with any other disaster resource management system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find the needed resources, when the large scale disaster is occurred. In this paper, we developed the integrated model of the distributed resources management framework considering the current resource management environment among the institutes. It is loosely coupling model under the centralized system, called IDRM(Integrated Disaster Resource Manager). The system will be verified with the test sites including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JeonBuk local government, and Korea Construction Equipment Association. Via the field testing, the system will be the base of the real available system in the future.

Analysis and Implications on Volunteer Activity System of Disaster Relief (재난구호 자원봉사활동체계 실태분석 및 정책적 함의)

  • Sung, Ki-Whan;Han, Seung-Hw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8 no.5
    • /
    • pp.93-102
    • /
    • 2008
  • This research is to make clear the volunteer activity system through analysing activity of volunteers. Main suggestions are as below. In management system, integrated cooperating system, improvement of delivering system of relief goods and developing operating manual of volunteering management are discussed. In education system, specialized education for different disaster areas, field orientation education, and training managerial positions are suggested. In supporting system, improving NDMS(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computerized program for volunteer management, insurance for volunteers, issuing a confirmation of volunteering activity, securement of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budget for prevention and donation are also suggested.

Research on a Fire Detection and a Guide System in Building on the base of Sensor Network (도시건물의 센서네트워크환경의 방재 및 피난대피 유도시스템에 관한 연구)

  • Kwon, Chang-Hee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333-339
    • /
    • 2007
  • To preventand minimize damages from disaters, it is necessary to build a fire detection or a guide system that can gather and organize proper information and that can analyze about disasters. This research aims at suggestion of fire detection and guide system in building on the base of sensor network. To do so, it examines the effects of this suggesting model system based urban disaster management system.

  • PDF

비상통신 해외사례 및 구축동향

  • 김상완;이준경;이경호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3 no.2
    • /
    • pp.23-40
    • /
    • 2006
  • 재난은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예측 불가능하게 발생되고 있다. 정보화의 진전에 따라 네트워크는 모든 경제활동의 근간이 되어 있으며, 재난이 발생하면 재난복구 및 구난 활동 등에 통신기능의 활용도가 더욱 높아진다. 특히 통신 장애를 일으키는 통신재난이 발생하면 그 파급효과는 빠르고, 넓게 확산되는 경향을 보인다. 국내.외적으로 국가 주요 활동의 정보통신의 의존도가 증가하고, 정보통신 기반의 복잡도와 개방성이 증가하여 위협 및 취약성이 증대하며, 정보전(cyber warfare)의 공격 위협이 증대하는데 비교하여, 통신 부문의 민영화에 따라 공공 부문 보호 영역이던 통신 부문이 민간 부문으로 확대되어 다양한 위협에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통신 네트워크와 서비스를 정보통신 시스템과 서비스에 대한 독립적인 보호와 보안이라는 차원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 국가주요 기반 구조에 대한 보호와 위협에 대한 종합적인 대응 " 이라는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다. 미국은 지난 및 비상대비 통신 전담기구인 NCS(National Communication System)와 대통령자문위원회인 NSTAC(National Security Telecommunication Advisory)등 종전부터 있던 통신 재난 및 비상 통신 관련 기구에서 진행해오던 통신 재난 및 비상 통신 관련 기구에서 진행해오던 통신 재난 및 비상 통신 관련 업무를 9-11 사태를 경험하면서 신설된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에서 총괄하도록 하고 있다. 캐나다의 경우는 MSAT(Mobile Satellite Services) Emergency Telecommunication Network을 통한 긴급통신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일본의 경우 우정성(현재는 총무성에 통합) 산하 비상통신협의회를 구성하여 비상통신에 관련한 협의와 점검을 추진하며 방재용 무선 시스템을 구축 운용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와 같은 비상통신과 관련하여 수행하고 있는 국외 비상통신 관련표준화 현황 및 해외 주요국가 별 구축 동향에 대해서 기술한다.

Analysis of Disaster Reduction Effect on Permanent Reservoir using Radar Flowmeter (레이더 유량계를 이용한 영구저류지 재해저감효과 분석)

  • Kwon, Gi-Min;Ham, Tae-Yuun;Song, Moon-Soo;Yun, H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03-104
    • /
    • 2022
  • 본 논문은 레이더 유량계를 활용하여 영구저류지의 유입·유출량을 계측을 통해 영구저류지의 재해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2009년 이후 자연재해대책법 의거 개발사업에 대해 재해영향평가를 실시하고 개발 후 영구저류지를 설치토록 법제화하고 있다. 재해영향평가서 상 50년 빈도 강우량으로 영구저류지를 설계하고 있지만, 크기 및 형태에 대한 평가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이상기후로 인해 강우강도가 높은 폭우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평가가 필요한 상황이다. 영구저류지의 재해저감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유입·유출구에 레이더 유량계를 설치하였고 24시간 강우사상 동안 발생한 유입·유출량을 확인하였다. 획득 데이터를 통해 사전재해영향검토서의 기대 저감효과 영구저류지의 실제 저감효과 비교 분석을 하였고,이를 바탕으로 저감효율을 계산하여 영구저류지의 재해저감효과에 대한 구체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 PDF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Capacity Indicators with Disaster Risk Assessment Table of Sloped Areas (급경사지 재해위험 평가표 역량 지표의 효과성 분석)

  • Lim, Jin-Uk;Yun, Hong-Sik;Lee, Jae-Joon;Sin, Hee-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05-106
    • /
    • 2022
  • 본 연구는 급경사지 정비 사업 이후 현장을 재평가하고, 등급을 산정할 때 보강시설로 인한 등급 하락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역량 지표를 추가하여 12명의 전문가와 15개 지점에 대한 현장평가를 실시하였다. 15개 지점 중 11개소에서 점수가 변화되었으며, 6개의 지점에서 등급이 하락하였다. 등급의 변화가 크지 않아 개선해야 할 점이 있지만 본 연구는 향후 급경사지 등급 조정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