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난관리 역량

Search Result 80,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Factors Affecting South Korean Disaster Officials' Readiness to Facilitate Public Participation in Disaster Management Using Smart Technologies (재난안전 실무자의 스마트 재난관리 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재난관리 민간참여 중심으로 -)

  • Lyu, Hyeon-Suk;Kim, Hak-Kyong
    • Korean Security Journal
    • /
    • no.62
    • /
    • pp.35-63
    • /
    • 2020
  • As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catastrophic disasters increase, there is widespread public sentiment that government capacity for disaster response and recovery is fundamentally limited, and that the involvement of civil society and the private sector is ever more vital. That is, in order to strengthen national disaster response capacity, governments need to build disaster systems that are more participatory and function through the channels of civil society, rather than continuing themselves to bear sole responsibility for these "wicked problems." With the advancement of smart mobile technology and social media, government and society as a whole have been called upon to apply these new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o address the current shortcomings of government-led disaster management. As illustrated in such catastrophic disasters as the 2011 Tohoku earthquake and tsunami in Japan, the 2010 Haitian earthquake, and Hurricane Katrina in the United States in 2005, the realization of participatory potential of smart technologies for better disaster response has enabled citizen participation via new smart technologies during disasters and resulted in positive impact on the management of such disasters. In this context, this study focuses on the South Korean context, and aims to analyze Korean government officials' readiness for public participation using smart technologies. On this basis, it aims to offer policy suggestions aimed at promoting smart technology-enabled citizen participation. For this purpose, it proposes a particular model, termed SMART (System, Motivation, Ability, Response, and Technology).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 of the Local Safety Level Index in Basic Local Governments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지역안전지수 향상방안 연구)

  • Song, Changyoung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6 no.2
    • /
    • pp.211-222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e Improvement method of Local Safety Level Index in guideline of disaster safety master plan. Method: This research will establish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strategy through consistency analysis of law, safety innovation master plan and international safety cities index regarding disaster safety and proposes guideline of disaster safety master plan which includes that includes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disaster management measures by sector. Result: Establish detailed policies applying the disaster safety master plan guideline to improve the local safety level index in 'G'-basic local government. Conclusion: In this study, basic local government will Strengthen the disaster response capacity by improving the local safety level index.

A Study on the System Improvement for Efficient Management of Large-scale Complex Disaster (대형복합재난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제도개선방안 연구)

  • Kim, Taehoon;Youn, Junhe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5
    • /
    • pp.176-183
    • /
    • 2018
  • Climate change, rapid urbanization, and population concentration have led to a higher frequency and magnitude of disasters in the world. Recently, the occurrence of large-scale complex disasters, which are caused by a combination of natural disasters, man-made disasters, and social disasters, is increasing. In Korea, there are many case studies of damage prediction and response technology development for individual natural disasters, such as earthquakes, floods, and typhoons. On the other hand, the system basis for the efficient response and management of large-scale complex disasters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representative cases of natural, social disasters, and related cases of domestic disaster response management systems. In addition, this paper proposes ways to improve the legal system for complex disaster management policies and establish a cooperation system between the ministries for an efficient response.

Study on Establishing Earthquake-resistance Reinforcement Measures for Earthquake Disasters in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국가산업단지의 지진재난 내진보강대책 수립 연구)

  • Chang Young Song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9 no.4
    • /
    • pp.882-896
    • /
    • 2023
  • Pupose: The purpose is to prepare safety management and seismic reinforcement measures that can effectively improve the potential risks of earthquake-resistant design and the deficiencies of safety guidance and inspection of factory facilities in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Method: In this study,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derived through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overall earthquake disaster safety management, such as safety management status and management system in preparation for earthquake disasters in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was implemente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based on facility types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Result: In conclusion, the problems of safety management and seismic reinforcement in preparation for earthquake disasters in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were summarized and classified into four types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and related system supplementation, authority of tenant companies and local governments, seismic reinforcement and safety management support measures, organizational structure capacity building) to derive improvement measures. Conclusion: Based on this, seismic reinforcement measures that companies in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should implement in preparation for earthquake disasters were prepared, and detailed plans for each measure were presented.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Model of Disaster Management in Korea Based on the Result of Response to Sampung Building Collapse (1995), - Disaster Law, and 98 Disaster Preparedness Plan of Seoul City - (우리나라 사고예방과 재난관리 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 Lee, In-Sook
    •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 /
    • v.11 no.1
    • /
    • pp.289-316
    • /
    • 2000
  • 우리나라의 경우 지역사회 재난 관리계획과 훈련이 보건의료적 모형이라기 보다는 민방위 모형에 입각하기 때문에 사고 현장에서의 환자 중증도 분류, 합리적 환자배분 및 이송, 병원 응급실에서의 대처 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지역사회가 이에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삼풍 붕괴사고 시에 대응방식과 그 후의 우리나라 응급의료 체계를 분석함으로써 대형사고 예방과 재난관리를 위한 우리나라 응급의료체계의 개선방안과 간호교육에서의 준비부분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삼풍 사고 발생시에는 이를 관장할 만한 법적 근거인 인위적 재해에 관한 재난관리법이 없었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의학적 명령체계를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응급 처치는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현장에서의 중증도 분류. 응급조치와 의뢰, 병원과 현장본부 그리고 구급차간의 통신 체계 두절, 환자 운송 중 의료지시를 받을 수 있도록 인력, 장비, 통신 체계가 준비되지 못하였던 점이 주요한 문제였다. 또한 병원 응급실에서는 재난 계획이 없거나 있었더라도 이를 활성화하여 병원의 운영 체계를 변환해가지 못하였다. 2.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한달 후에는 인위적 재해에 대한 재난관리법이 제정되고, 행정부 수준별로 매년 지역요구에 합당한 재난관리 계획을 세우도록 법으로 규정하였다. 재난 관리법에는 보건의료 측면에서의 현장대응, 주민 참여, 응급 의료적 대처, 정보의 배된. 교육/훈련 등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법적 기반이 마련된 이후에도 한국 재난 계획 내에는 응급의료 측면의 대응 영역은 부처간 역할의 명시가 미흡하며, 현장에서의 응급 대응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운영 지침이 없이 명목상 언급으로 그치고 있기 때문에 계획을 활성화시켜 지역사회에서 운영하기는 어렵다. 즉 이 내용 속에는 사고의 확인 /공고, 응급 사고 지령, 요구 평가, 사상자의 중증도 분류와 안정화, 사상자 수집, 현장 처치 생명보존과 내과 외과적 응급처치가 수반된 이송, 사고 후 정신적 스트레스 관리, 사고의 총괄적 평가 부분에 대한 인력간 부처간 역할과 업무가 분명히 제시되어 있지 못하여, 사고 발생시 가장 중요한 연계적 업무 처리나 부문간 협조를 하기 어렵다. 의료 기관과 응급실/중환자실, 시민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기관들과의 상호 협력의 연계는 부족하다. 즉 현재의 재난 대비 계획 속에는 부처별 분명한 업무 분장, 재난 상황에 따른 시나리오적 대비 계획과 이를 훈련할 틀을 확보하고 있지 못하다. 3. 지방 정부 수준의 재난 계획서에는 재난 발생시 보건의료에 관한 사항 전반을 공공 보건소가 핵심적 역할을 하며 재난 관리에 대처해야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보건소는 지역사회 중심의 재난 관리 계획을 구성하고 이를 운영하며, 재난 현장에서의 응급 치료 대응 과정은 구조/ 구명을 책임지고 있는 공공기관인 소방서와 지역의 응급의료병원에게 위임한다. 즉 지역사회 재난 관리 계획이 보건소 주도하에 관내 병원과 관련기관(소방서. 경찰서)이 협동하여 만들고 업무를 명확히 분담하여 연계방안을 만든다. 이는 재난관리 대처에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다. 4 대한 적십자사의 지역사회 주민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은 연중 열리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육주제는 건강증진 영역이며. 응급의료 관리는 전체 교육시간의 8%를 차지하며 이중 재난 준비를 위한 주민 교육 프로그램은 없다. 또한 특정 연령층이 모여있는 학교의 경우도 정규 보건교육 시간이 없기 때문에 생명구조나 응급처치를 체계적으로 배우고 연습할 기회가 없으면서 국민의 재난 준비의 기반확대가 되고 있지 못하다. 5. 병원은 재난 관리 위원회를 군성하여 병원의 진료권역 내에 있는 여러 자원을 감안한 포괄적인 재난관리계획을 세우고, 지역사회를 포함한 훈련을 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병원은 명목상의 재난 관리 계획을 갖고 있을 뿐이다. 6. 재난관리 준비도를 평가할 때 병원응급실 치료 팀의 인력과 장비 등은 비교적 기준을 충족시키고 있었으나 병원의 재난 관리 계획은 전혀 훈련되고 있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재난 관리의 준비를 위해서는 현장의 응급의료체계, 재난 대응 계획, 이의 훈련을 통한 주민교육이 선행되어야만 개선될 수 있다. 즉 민방위 훈련 모델이 아닌 응급의료 서비스 모델에 입각한 장기적 노력과 재원의 투입이 필요하며,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대응 준비와 이의 활성화 전략 개발, 훈련과 연습. 교육에 노력을 부여해야 한다. 7. 현장의 1차 응급처치자에 대해서는 법적으로 명시하고 있는 역할이 없다. 한국에서는 응급구조사 1급과 2급에 대한 교육과 규정을 1995년 이후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다. 이 교육과정은 미국이 정하고 있는 응급구조사 과정 기준과 유사하지만 실습실이나 현장에서의 실습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덧붙여 승인된 응급구조사 교육 기관의 강사는 강사로서의 자격기준을 충족할 뿐 아니라 실습강사는 대체적으로 1주일의 1/2은 응급 구조차를 탑승하여 현장 활동을 끊임없이 하고 있으며, 실습은 시나리오 유형으로 진행된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경우 응급 구조사가 현장 기술 인력으로 역할 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 내에서 실습을 강화 시켜야하며, 졸업생은 인턴쉽을 통한 현장 능력을 배양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8. 간호사의 경우 응급전문간호사의 자격을 부여받게 됨에 따라, 이를 위한 표준 교육 지침을 개발함으로써 병원 전 처치와 재난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보완해야 한다. 또한 현 자격 부여 프로그램 내용을 고려하여 정규자격 간호사가 현장 1차 치료자(first responder)로 역할 할 수 있도록 간호학 교과과정을 부분 보완해야한다.

  • PDF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Safety Management in the Construction Site of Smart Construction Safety Monitoring System (스마트 건설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건설현장 안전관리 활용화 방안에 관한 연구)

  • Ahn, Hyeoung-D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97-198
    • /
    • 2022
  • 건설현장 안전관리를 인적 역량 중심에서 첨단기술인 AloT와 Mobile기술을 활용한 시스템 중심의 관리체계로의 전환을 위한 건설현장 안전관리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AloT와 Mobile기술을 활용한 건설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이 건설현장의 유효성에 대하여 공동주택현장의 골조공종에 종사하고 있는 작업자를 대상으로 가상휀스, 화재감시, 안전모 미착용 인식 3개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AloT와 Mobile기술을 활용한 건설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이 건설현장에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National Drought Response Framework and Emergency Action Plan for Mega-Drought (미국의 국가가뭄대응체계 및 비상대처계획의 시사점)

  • Nam, Won-Ho;Knutson, Cody L.;Hayes, Michael J.;Svoboda, Mark D.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405-405
    • /
    • 2020
  • 최근 선제적인 가뭄대응을 위하여 관계부처가 상시 가뭄 관리체계를 지속하고, 범정부적 가뭄예방 대처를 위한 가뭄종합대책이 수립되었다. 가뭄종합대책에는 통합적 가뭄 위기대응체계를 마련해 단계별로 가뭄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고, 극한가뭄에 대비해 선제적 용수확보와 가뭄 전문가 지역 협의체 운영 등을 통해 대응 역량을 강화하는 계획이 포함되어있다. 또한 국가재난관리체계에 따라 지자체는 지역별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수립하고, 현장조치 행동메뉴얼에 따라 단계별 제한급수대책 수립, 재난대응 단계별 행동요령 (징후 감지, 초기 대응, 비상 대응) 등을 수행한다. 이처럼 가뭄은 발생 후 해갈까지 많은 시간과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사회전반에 걸처 영향을 주는 대형복합재난으로 국가적 차원의 통합적 관리가 필요한 재난으로 국가가뭄대응체계 및 비상대처계획 (Emergency Action Plan, EAP) 수립이 필요하다. 미국은 1998년 국가가뭄정책법(National Drought Policy Act)을 제정해 가뭄관리에 대한 법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2006년 국가통합가뭄정보시스템법 (National Integrated Drought Information System Act)을 제정해(Public Law 109-430) 현재의 국가통합가뭄정보시스템 (NIDIS)이 설립되었다. 이후 국가가뭄회복력파트너십 (National Drought Resilience Partnership, NDRP)을 발족하여 2016년 장기가뭄 회복력을 위한 국가재해대응정책을 수립하였다 (Federal Action Plan for Long-Term Drought Resilience). 미국의 경우 1982년 콜로라도 주, 사우스다코타 주, 뉴욕 주를 시작으로 2020년 현재 48개 주에서 연방정부단위의 가뭄대응계획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에서 실행되고 있는 가뭄 적응 대책 및 비상대처계획을 조사, 분석하고, 향후 메가 가뭄 발생시 국가단위의 가뭄 재난위기관리 매뉴얼, 정부 및 지자체의 가뭄 대응 체계 및 대응 방안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Status Investigation for Establishing the Disaster Management Cooperation System at Educational Institutions (교육기관의 재난관리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실태조사 연구)

  • Park, Soyeon;Koo, Wonhoi;Baek, Minho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3 no.3
    • /
    • pp.405-412
    • /
    • 2017
  • Due to the increase in awareness of school safety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it became necessary to improve the capability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at school and to respond to an accident in the case of emergency as well as the awareness of safety issue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educational institutions to reinforce safety measures autonomously, and the importance of supports and cooperation from agencies related to the safety of local community is also emphasized. However, it is quite difficult for schools and the Office of Education to prevent safety accidents only with their own capability, and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through the supports from agencies involved in safety of local communities. Therefore, the status and cooperation system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relevant authorities were reviewed theoretically in this study. In addition, a field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awareness of disaster and safety, and cooperation status of officials in charge of practical disaster-related works. Moreover, this study intended to present a measure to establish the safety cooperation system betwee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agencies involved in safety of local community in the future based on the findings.

A study on measures for disaster management that reflects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rural areas (농촌지역의 사회적·환경적 특성을 반영한 재난관리 대책 방안 연구)

  • Park, Miri;Lee, Young-Kune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3 no.4
    • /
    • pp.511-518
    • /
    • 2017
  • In this study, a research on disaster countermeasures to strengthen the disaster management field of rural are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sures to cope with the disaster in order to enhance the rural disaster management capacity. For this purpose, soci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rural area were examin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disaster perspective were derived. As for social characteristics, we analyzed the direct and indirect damage of disaster through interviews with residents affected by disaster. In the case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e factors that threaten the safety in the rural area were extracted based on the geographical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rural area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difference of the disaster response infrastructure compared with the city was conduct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further study the priority of disaster prevention in order to apply the disaster prevention method to rural areas.

A study on Improve the Response Capability during the Crisis of Food and Medical Products (식품 및 의료제품 위기 대응역량 향상을 위한 연구)

  • We, Kum-Sook;Hwang, Yo-H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8 no.2
    • /
    • pp.27-31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apacity of public officials that can respond quickly and effectively in the event of food and medical products crisis. In order to improve the emergency response capacity, it must be preceded to identify what kinds of response activities and capacities are needed in case of food and medical product crisis.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the definition of food and drug related crisis, and investigated and analyz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leading researches and data about the capacity related to emergency, crisis or disaster.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crisis response capacity was defined as 'the ability to quickly perform response tasks at the time of crisis', and the response tasks were identified by analysing the crisis response manuals of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Since identifying the response tasks clearly can be a basis for training, exercise, and evaluation,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nhance the crisis response capabilities directly and eff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