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장축

검색결과 245건 처리시간 0.022초

실린더 잠자리 눈 렌즈의 정밀도가 선형 빔의 장축 균일도 및 경사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Cylindrical Fly-eye Lens's Precision on Long-axis Uniformity and Steepness of a Line Beam)

  • 이승민;송현수;우희;김대용;정진호
    • 한국광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296-305
    • /
    • 2021
  • 본 논문은 OLED 제작 공정에 사용하는 레이저 박리(laser lift-off, LLO) 장비의 실린더 렌즈를 사용하는 선형 빔 광학계의 장축 성능에 대한 연구로서, 실린더 렌즈의 편심을 7가지로 분류하고 정의하였으며, 측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실린더 잠자리 눈 렌즈의 면정밀도와 편심, 사용방식 등이 선형 빔 광학계의 장축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및 실험 결과를 제시하고, 장축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향후 진행방향을 제시하였다.

내부연결 원추형 임플란트의 육각구조의 유무에 따른 연결부 안정성: 실험적 연구 (Joint stability of internal conical connection abutments with or without hexagon indexes: an in vitro study)

  • 이상운;차민상;이지혜;조리라;박찬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6권2호
    • /
    • pp.95-103
    • /
    • 2020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내부연결 원추형 임플란트의 육각구조 유무가 임플란트 지대주 장축변위와 임플란트 지대주 나사의 풀림토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내부연결 원추형 임플란트를 육각구조를 가진 지대주 그룹(HEX)과 육각구조를 갖지 않는 지대주 그룹(CON)으로 나누고 각 그룹 당 10쌍의 시편을 체결하였다. 지대주 나사를 30 Ncm 조임회전력을 가하여 체결한 뒤 장축변위 및 풀림토크값을 측정하고 250 N 수직적 반복하중을 100,000회 가한 뒤 장축변위 및 풀림토크값을 측정하였다. 각 단계마다 디지털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직경과 수직적 높이를 측정하였고 전자 토크게이지를 이용하여 풀림토크값을 측정하였다. 각 군간의 값의 유의차를 확인하기 위하여 독립 표본 T 검정을 이용하여 통계분석하였다(α = 0.05). 결과: HEX 군은 조임회전력을 가한 뒤 유의하게 높은 장축변위를 나타내였다(P < 0.05). HEX 군과 CON 군은 수직적 반복하중 후 장축변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052). HEX 군과 CON 군은 수직적 반복하중 전, 후 풀림토크값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057 and P = 0.138). 모든 그룹에서 반복하중 후 풀림토크값 상실율이 증가하였다(P < 0.05). 결론: 내부연결 원추형 임플란트에서 육각구조를 가진 경우 장축 변위가 더 컸으며, 그 외의 연결부 안정성은 유사하였다. 모든 그룹에서 반복하중 후 풀림토크값 상실율이 증가하였다.

치아장축 각도 측정 정확도에 대한 4종 파노라마 방사선 촬영기의 비교 (COMPARISON OF FOUR PANORAMIC DENTAL RADIOGRAPHIC SYSTEMS FOR TOOTH ANGULATION MEASUREMENT ACCURACY UNDER DIFFERENT TOLERENCES)

  • 스테이시 듀마스 버슨;알렌조지 화만;강병철
    • 치과방사선
    • /
    • 제24권2호
    • /
    • pp.317-326
    • /
    • 1994
  • 이 연구의 목적은 Philips Oralix Pan BC, GE Panelipse, SS White Panorex 1, SS White Panorex 2의 4종의 X-선기기로 촬영한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상에서 치아장축 각도측정시 오차 허용도에 따른 정확도를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파노라마 방사선사진 촬영기에서 건조두개골을 (1)정확한 촬영위치, (2) 전방 5㎜이동, (3) 후방 5㎜이동, (4) 전방 10/sup 0/ 기울인 위치, (5) 두개골을 후방 10/sup 0/ 기울인 위치 (6) 두개골을 좌측으로 5㎜ 이동시킨 위치 등 촬영 위치를 6가지로 변화시켜서 임의로 정한 평면 기준선과 협측의 치아장축과의 각도를 측정하여 건조두개골에서의 실측치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치아장축의 각도 측정결과는 파노라마X-선 촬영기의 종류 및 촬영위치에 관계없이 건조두개골에서의 측정치와 방사선사진상의 측정치의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갖었다. (p<0.05) 2. 건조두개골에서의 치아장축 각도 측정치를 기준으로 정확한 촬영위치에서 촬영한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상의 오차 허용도를 +/-3/sup 0/로 하였을 때, SS White Panorex 1은 측정치의 74%, GE Panelipse는 측정치의 67%, Philips Oralix Pan DC와 SS White panorex 2는 측정치의 64%가 이 오차의 범위내에 있었다. 3. 건조두개골에서의 치아장축 각도 측정치를 기준으로 정확한 촬영위치에서 촬영한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상에서의 오차 허용도를 +/-5/sup 0/로 하였을 때, SS White Panorex 1 과 GE Panelipse는 측정치의 89%, Philips Oralix Pan DC는 측정치의 85%, SS White Panorex 2 는 측정치의 81% 가 이 오차의 범위내에 있었다.

  • PDF

시상정중면에서 하악우각부 사이의 각도와 하악과두장축의 수평경사도간의 상호관계 (INTERRELATION BETWEEN THE ANGLE FORMED BY THE MIDSAGITTAL PLANE AND THE MANDIBULAR ANGLE AND THE HORIZONTAL INCLINATION OF THE CONDYLAR LONG AXIS)

  • 오완수;최순철
    • 치과방사선
    • /
    • 제22권1호
    • /
    • pp.109-116
    • /
    • 1992
  • 저자는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학생중 악관절의 기능장애의 병력 및 현증이 없고 안모가 단정한 정상인 56명을 대상으로 시상정중면에서 양측의 하악우각부사이의 각도와 하악과두장축의 수평경사도를 계측하여 통계학적으로 분석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시상정중면에서 하악우각부 사이의 각도는 우측이 18.50±1.48°, 좌측이 19.30±1.55°였다. 2. 하악과두장축의 수평경사도는 우측이 19.25±7.56°, 좌측이 20.27±7.05°였다. 3. 두 각도간의 관계는 우측의 경우 y=20. 31-0.0094×(r=-0 482, p<0.01), 좌측의 경우 y=20.64-0.066×(r=-0.301, p<0.05)인 것으로 나타났다(y : 하악과두장축의 수평경사도, x : 시상정중면에서 하악우각부 사이의 각도).

  • PDF

항력계수에 미치는 호박돌 형상의 영향 (Effects of cobble shape on coefficient of drag force)

  • 박상덕;윤민우;윤영호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0권6호
    • /
    • pp.419-427
    • /
    • 2017
  • 산지하천 하상에서 흔히 발견되는 호박돌에 작용하는 항력은 하천의 거동과 반응을 예측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나 이를 위한 항력계수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호박돌의 항력 실험을 통해서 호박돌 형상과 항력계수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호박돌의 장축과 단축이 흐름방향을 따를 때 항력계수에 미치는 형상계수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항력계수는 장축보다 단축에서 더 크며 호박돌의 등가직경 Reynolds 수가 증가하면 감소하였다. 항력계수와 등가직경 Reynolds 수의 관계에서 결정계수는 단축보다 장축에서 더 크다. 이는 호박돌 형상의 불규칙성에 따른 항력이 축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항력분포 변화는 호박돌의 교호진동을 초래하였다. 그 진폭은 $R_{ep}$가 약 12,000에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장축보다 단축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신생아 모발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비늘에 관한 주사전자현미경적 연구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of Scales Surrounding the Surface of Newborn Hair)

  • 정희중;진현숙;장아영;장은주;장병수;김경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216-223
    • /
    • 2020
  • 본 연구는 신생아 두피 모발의 기저부에서부터 말단부위까지의 외부형태와 모발 가로 직경 대비 모발 표면에 노출된 비늘의 장축 직경 비율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신생아 모발은 두피에 인접한 부위에서 부터 모발의 끝부분으로 갈수록 완만하게 가늘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모발의 두께가 커질수록 노출된 비늘의 장축 직경 비율은 상대적으로 작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모발 표면의 노출된 비늘 장축 직경은 모발의 굵기에 관계없이 비슷한 길이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가는 모발이나 굵은 모발 표면에 노출된 비늘의 장축 직경은 크게 변화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부정교합 분류에 따른 상악 중절치의 치관-치근 각도(Collum Angle)에 대한 연구 (MAXILLARY INCISOR CROWN-ROOT ANGLE(COLLUM ANGLE) IN DIFFERENT MALOCCLUSIONS)

  • 홍희숙;백형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53-463
    • /
    • 1995
  • 측모두부 방사선 계측사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상악 중절치의 장축은 치근첨(Root Apex)과 절치단(Incisor Edge)를 연결한 선을 사용하지만 일부 부정교합 환자에서는 치관장축과 치근장축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 두장축이 이루는 각을 치관-치근각도(Collum Angle)라 하며, 이 각도는 교정치료의 진단 및 치료과정에 고려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 I 급 부정교합 환자 31명, 제 II급 1류 부정교합 환자 30명, 제 II 급 2류 부정교합 환자 31명, 제 III급 부정교합 환자 31명에서 치관-치근 각도를 계측하여 부정교합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으며, 측모두부 방사선 계측사진에서 사용되는 항목들과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부정교합 분류에 따른 치관-치근 각도의 평균값은 제 I 급 부정교합에서는 $3.11^{\circ}{\pm}3.54^{\circ}$, 제 II급 1류 부정교합에서는 $1.23^{\circ}{\pm}2.41^{\circ}$, 제 II급 2류 부정교합에서는 $3.77^{\circ}{\pm}4.39^{\circ}$, 제 III급 부정교합에서는 $3.90^{\circ}{\pm}4.08^{\circ}$ 이었다. 2. 제 II급 1류 부정교합군의 치관-치근 각도와 제 II급 2류, 제 III급 부정교합군의 치관-치근 각도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3. 치관-치근 각도와 측모두부 방사선 계측사진에서 사용되는 다른 항목들과의 상관관계에서 제 I급 부정교합에서는 IMPA, 제 II급 1류 부정교합에서는 Wits, 제 II급 2류 부정교합과 제 III급 부정교합에서는 Overbite이 가장 큰 상관성을 보였다.

  • PDF

비전 시스템에 의한 풍력발전기의 Yaw방향 추정 (The Estimation of Yaw Direction of Wind Turbine Using Vision System)

  • 정명희;정준익;노도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199-201
    • /
    • 2006
  • 풍력발전기에 있어서 블레이드의 Yaw방향 제어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풍향에 대해 효율의 극대화와 블레이드의 강도 및 진동측면에서 대단히 중요하다. 기존의 블레이드 Yaw 방향 측정은 접촉 및 비접촉 센서가 이용되어왔다. 본 논문에서는 풍력발전기의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에서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블레이드의 Yaw방향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블레이드가 풍향에 따라 회전할 때 영상 누적을 행하고, 누적영상에 대해 경계점을 추정하여 타원의 궤적을 추정한다. 추정된 경계점들을 이용하고 최소자승법을 적용하여 타원방정식을 추정하고, 장축과 단축을 연산한다. 장축과 단축의 변화를 이용하여 카메라의 촬영방향의 기준점으로부터 Yaw방향의 변화를 정량적인 값으로 산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Yaw회전각을 추정한다. Yaw 방향 추정의 검증을 위해 블레이드 속도와 Yaw 방향의 제어가 가능한 모형풍력발전기를 제작하고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추정알고리즘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 PDF

40 mm 장축공동실린더의 마모경험식 유도 (Derivation of Empirical Erosion Equation of the 40 mm Long Hollow Cylinder)

  • 정동윤;오명호;신내호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25권3호
    • /
    • pp.171-175
    • /
    • 2009
  • One of the critical issues associated with the 40mm long hollow cylinder's development and maintenance is the prediction of cylinder erosion. The actual firing test is the most accurate method to measure the cylinder erosion rate. But it costs a great deal and requires a long measurement time. Hence many empirical methods have been proposed to predict the erosion rate and life span of long hollow cylinders. An EFC formula is calculated. An approximate erosion formula for the ammunition type A is derived to interpolate 16 observation values up to 4,000 rounds. A new erosion equation and muzzle velocity formula are also suggested. Several numerical results are presented.

미국흰불나방(Hyphantrio cunea Drury) 정자변형에 따른 미토콘드리아의 형태 분화

  • 문명진;김우갑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70-79
    • /
    • 1992
  • 미국흰불나방(Hyphontria cunea Drury) 종령유충과 나, 그리고 성충을 재료로하여 정세포가 정자로 변형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미토콘드리아의 분화과정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다핵체를 이루고 있는 초기 정세포의 미토콘드리아는 축사가 형성되는 부위를 중심으로 집적된 후, 서로 유합되어 대형의 미토콘드리아 복합체인 부핵(Nebenkern)을 형성하였다. 부핵은 첨체형성 시기를 전후하여 세포의 장축을 따라서 길게 신장되며, 편모가 형성됨에 따라 축사를 중심으로 두께와 전자밀도가 서로 다른 두개의 미토콘드리아로 분리되었다. 분화가 계속됨에 따라서 서로 동일한 모양으로 변형된 미토콘드리아의 주변에서는 장축방향을 따라 다수의 미세소관이 분포하였고, 기질에서는 intramitochondrial crystalloid의 축적이 관찰되었다. 정자변형이 끝난 성숙정자의 미토콘드리아는 기질내부에 전자밀도가 높은 준결정물질이 함유된 미토콘드리아 유도체로 변형되었는데, 정자의 중편에서는 하나로 융합되어 있는 반면, 미부에서는 크기가 같은 두개의 유도체로 분리된 매우 독특한 형태로 관찰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