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장애학생 여가

Search Result 22,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Sleep and Suicidal Risk Factors i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고등학생 청소년들의 수면과 자살위험요인)

  • Jeong, Ja-Hyun;Jang, Yong-E;Lee, Hae-Woo;Shim, Hyun-Bo;Choi, Jin-Sook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 /
    • v.20 no.1
    • /
    • pp.22-30
    • /
    • 2013
  • Objectives: Sleep problems has been consistently reported as a suicidal risk factor in adults and, recently, also in adolescents. In this study, dividing study subjects by the previous suicidal behaviors (suicidal vs non-suicidal), we compared the group differences of suicidal risk factors, and examined the possibility of sleep as a suicidal risk factor. Methods: Study subjects were 561 (271 boys and 290 girls) from a community sample of high school students. Suicidal Risk Behavior Checklist,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y-Depression (CES-D), Symptom Checklist-90-Revision (SCL-90-R) Anxiety and Aggression subscale, Pittsburg Sleep Quality Index (PSQI) were done. Results: Forty six students (8.1%) reported previous actual self-harm behavior as a suicidal attempt, 181 students (32.4%) reported having suicidal thought only. Three hundred thirty four students (59.5%) reported no previous suicidal behavior (thought and attempt, both). Suicidal behavior group showed higher score on risk behaviors such as school violence, substance use and internet addiction. CES-D, SCL-90-R, PSQI showed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suicidal risk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stress in suicidal risk factors and sleep latency, daytime dysfunction in PSQI. Analysis of variance (ANOVA) shows the most prolonged sleep latency and increased index of all PSQI components except sleep efficiency in suicidal attempt group. Conclusions: Sleep Problems had a strong association with the suicidal risk behavior in adolescents. Sleep problems, especially, prolonged sleep latency, daytime dysfunction might be important markers for suicidal behavior. Screening for sleep problems in adolescents are encouraged for the parents, school teachers, and related medical physicians.

Validation of the Internet, Game, and Smartphone Overuse Screening Questionnaires on Adolescent Sample (인터넷, 게임, 스마트폰 과사용 선별 질문지의 청소년 대상 타당화 연구)

  • Park, Kyeongwoo;Chang, Hyein;Jeon, Hong Jin
    •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 /
    • v.18 no.3
    • /
    • pp.317-349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ternet (IOS-Q), Game (GOS-Q), and Smartphone (SOS-Q) Overuse Screening Questionnaires in a large community sample of adolescents. To achieve this goal, data from 9,336 middle school students (male: 4,796, female: 4,540) was divided into two groups and analyzed by conduct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pectively. We conducted anoth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a separate sample of data from 4,536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le: 2,260 male, female: 2,276) and 6,551 middle school students (male: 3,013, female: 3,538) from other population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IOS-Q was consisted of 17 items, GOS-Q was consisted of 19 items, and SOS-Q was consisted of 18 items. The IOS-Q and GOS-Q factors were psychological dependence, failure to control use despite recognizing problems, dangerous use, and reduced interest in other areas while the SOS-Q factors were dangerous and obsessive use, failure to control use despite recognizing problems, reduced interest in other areas, and withdrawal/tolerance. Each factor reflected the major facets of behavioral addiction or impulse control disorder, and the questionnaires had good internal consistencies of .880-.915. Latent profile and ROC analyse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cutoff points for screening high-risk groups. Lastl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The Effect of Adolescent Body-Related Variables, Self-Esteem on Eating Disorder Behavior (남.여 고등학생의 다이어트 행동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Chun, Chong-Gouk;Lee, Mi-Ok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
    • v.16 no.5
    • /
    • pp.1041-1050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which had effects on deit behavior of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e proposed variables are their body-related variables(body satisfaction, weight control experience, the degree of diet interest, and obesity) and self-esteem. The sample group used for the study consisted of 359 high school students(male=168, female=191). Measurement scales used for the study were those of body-related variables, self esteem and eating disorder behavior, an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X^2$, t-test, Pearson's correlation,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regarding their obesity perceived by themselves, body satisfaction, the degree of diet interest, weight control experience, and deit behavior. Second, In male students, diet behavior show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diet interest, weight control experience, and body satisfaction, but show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body satisfaction. In female students, diet behavior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degree of diet interest, weight control experience, and obesity,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body satisfaction and self-esteem. Third, in male students, the variables that showed a influence on diet behavior as an eating disorder are weight control experience, body satisfaction and obesity, in tha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variables is 51.7% with the highest mark on obesity. In female, the variables that showed a influence on diet behavior as an eating disorder are the degree of diet interest, weight control experience, body satisfaction and obesity, in tha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variables is 66.0%.

비만 중학생에서 캠프 프로그램을 이용한 영양교육 효과

  • 승정자;성미경;최미경;김미현;이윤신;조혜경;김경희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061-1062
    • /
    • 2003
  • 현대사회에서 청소년기에 발생하는 영양문제 중 가장 빈번히 나타나는 청소년기 비만은 성인 비만으로 이행되기 쉬우며, 당뇨병, 지방간, 고혈압과 같은 각종 성인병의 발생과도 관련이 있다. 또한 체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편견의 대상이 됨으로 인한 심리적 장애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이에 따라 비만인의 체중조절을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들이 실시되고 있는데, 현재까지의 실시되고 있는 프로그램들은 강의식교육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적극적인 교육효과를 이끌어 내는데 많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지역보건소를 중심으로 2박 3일간의 청소년 캠프 프로그램을 통하여 VTR감상, CAN-Pro를 이용한 섭취 식단의 평가 및 영양상담, 영양뷔페, 역할극, 다양한 영양지식 응용게임, 일상생활에서 활용가능 한 운동교육, 비만의 원인과 건강과의 관련성 및 식사요법 등에 대한 강의를 실시하였다. 캠프 참가자들은 부천시에 거주하는 중학생으로 사전에 신장과 체중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비만으로 판정된 총 42명(남 28명, 여 14명)으로 하였다. 캠프 시작전과 후에 설문조사를 통하여 영양지식, 영양태도, 자아만족도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 직후의 효과를 판정하였고, 일상적인 영양소섭취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24시간 회상법을 통하여 캠프참가 전날의 식이섭취 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13.9세로 남녀학생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신장은 남학생이 160.7cm, 여학생이 156.8cm였다. 체중, 체질량지수, 비만지수, 허리엉덩이둘레비 및 체지방 함량은 남학생이 각각 75.5kg, 29.1kg/$m^2$, 30.1, 0.89, 33.3%이었고, 여학생이 각각 67.8kg, 27.5kg/$m^2$, 25.3, 0.81, 34.6%였다. 영양소 섭취량에 대한 분석결과 열량의 경우 남학생이 2137.7㎉, 여학생이 2059.7㎉ 섭취수준을 보였으며, 총열량에 대한 당질, 단백질, 지질의 섭취 비율은 남학생 57:14:29, 여학생 60:13:26으로 남여학생 모두 총열량에 대한 지질의 섭취 비율이 높았다.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를 위하여 남녀중학생을 모두 합하여 비교하였을 때 프로그램 실시 후 영양태도가 유의적으로 향상되었으며(p<0.001), 자아만족도 및 영양지식에 있어서는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성별로 분류하여 비교 시 남학생은 영양태도(p<0.01)와 영양지식(p<0.05)이 유의적으로 향상되었고, 여학생의 경우에는 영양태도(p <0.01)에서만 유의적인 향상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2박 3일간의 청소년 캠프는 남녀 비만중학생에 있어 영양태도의 향상을 가지고 왔으며, 남학생의 경우에는 영양지식에도 유의적인 향상이 나타났다. 그러나 영양교육의 효과가 실제적인 영양소섭취 및 비만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추적 관리를 통한 효과판정이 필요한 것으로 보여진다.

  • PDF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for the practice of Caring and Sharing - Focusing on 'Happy Family Life and Culture Led by Family' Unit of High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 (배려와 나눔 실천을 위한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과 평가 - 고등학교 기술·가정 '가족이 여는 행복한 가정생활 문화' 단원을 중심으로 -)

  • Baek, MinKyung;Cho, JaeSoon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7 no.4
    • /
    • pp.19-3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 teaching learning process plan for the practice of caring and sharing to improve character of highschool students through Home Economics subject. The teaching learning process plan consisting of 13-session lessons has been developed and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for the unit of 'Happy Family Life and Culture led by Family'. The unit was divided into two themes: Theme I caring through sharing and Theme II caring through practice. Six practice elements of caring and sharing such as communication, gratitude, courage, love, empathy, and environment drawn from Theme I are applied to Theme II. Various activities and teaching materials as well as questionnaire were developed. The plan was applied to 8 classes, 287 freshmen of S highschool in Jeonju-si from March to May, 2014. Three factors were drawn from 35 character-related items: self-perception, perception of caring and sharing, and practice of caring and sharing. These factors were related to respondents'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 and school life. Two factors except self-perception improved through 13 lessons. Students evaluated that the whole caring and sharing practice lessons of Theme I and II gave them the chance to realize a actual practice in everyday life was important even with small efforts such as cooking for special family. Also students commented that the praising workbook was impressive. All 23 items of evaluation gained from over 3.5 to 4.2 on 5-point scal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teaching learning process plan for the practice of caring and sharing for the unit of 'Happy Family Life and Culture led by Family' would improve character of highschool students through the Home Economics subject.

THE INFLUENCE OF FAMILY ENVIRONMENT AND MORAL DEVELOPMENT TO CONDUCT DISORDER IN ADOLESCENTS (청소년의 가정환경과 도덕발달단계가 행동장애에 미치는 영향)

  • Chin, Tae-Won;Kim, Sa-Jun;Lee, Heung-Pyo;Cho, Soo-Churl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v.8 no.2
    • /
    • pp.163-174
    • /
    • 1997
  • This study was to know the influence of familial environment and moral development on conduct disorder. Subjects were composed of 47 male and female patients with conduct disorder(patients group), 113 general male and female students(normal group), and 173 juvenile prisoners(JP group). The Korean Form of the Family Environment Scale(FES) was used to assess the family environment of the subjects and the Korean Defining Issues Test(DIT) was used to assess the moral development. Conduct disorder was diagnosed with the DSM-III-R criteria for conduct disorder. The influence of familial environment and moral development on conduct disorder was analyzed with ANOVA and the differences among groups were verified with Scheffe te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ocioeconomic status and the physical abuse by the parents among the three groups. But the rates of divorce or separation of the parents were significantly highest in the JP group and higher in the patients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Especially the subjects of the JP group experienced the divorce or separation of their parents during the preschool or the elementary school periods. In regard to the family environment,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 Subscales of Expressiveness, Independence, Intellectual-cultural orientation, Moral-religious emphasis, Organization, and Control. ‘Cohesion Subscal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ormal group than in the JP group. ‘Conflict Subscal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JP and patients groups than in the normal group. ‘Achievement orientation Subscal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JP group than in the patients and normal groups. ‘Activerecreational orient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normal group than in the JP and patients groups. In gegard to the moral developmental stage, the lower moral developmental step was higher in the JP and patients groups than in the normal group. The higher step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ormal group than in the JP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Moral-religious emphasis Subscale’ and the moral development. The clinical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present study were listed and discussed.

  • PDF

A Survey on the Hearing Disturbance of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한국고교생(韓國高校生)에 대(對)한 난청실태조사(難聽實態調査))

  • Rhee, Kyu-Shik;Kim, Doo-Hie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v.5 no.1
    • /
    • pp.115-123
    • /
    • 1972
  • As a link of chain study program of school health, a survey was made up by the screening test with audiometry for hearing disturbance on 18,675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mainly aged in 15-19 years from November 5.1969 to October 30. 1970.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erized as follows. According to our criteria as table 3, the rates of the profound, the severe and the moderate who required the appropriate hearing aids were 0.02%, 0.03% and 0.14% respectively:-the cumulative percentage was 0.197. When the marginal, 0.23% should be included the cumulative rate was 0.41%. But there was no-significance by sex and school classes. If we will make the special classes for them one class would be estimated out of 10,000 persons when a class is formed with about 15 persons. Otherwise when we examined that according to each ear of persons, the rates of the profound, the severe and the moderate were 0.17%, 0.22% and 0.33% respectively and their cumulative percentage wag 0.72. There was no significance also by sex and age. By the way, the rate of hearing disturbance in urban high school students tended to lower than rural. And the perceptive disturbance was higher than rural in rate. The conductive disturbance tended to oppose in comparison with the above.

  • PDF

Assessing Technology Leadership Perception of Teachers in Digital Textbook Utilizing Schools (디지털교과서 활용 학교 교사의 테크놀로지 리더십 인식수준 분석)

  • Song, Yeon-Ok;Byun, Ho-Seung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4 no.1
    • /
    • pp.147-158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teachers' perception for technology leadership when utilizing the Digital Textbook (D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7 elementary school teachers (40 males and 57 females) working in digital textbook research schools that implemented digital textbooks in 2009. Needs assessment instrument was revised based on previous instruments. Perception was calculated using Borich formula. According to the results, teachers of digital textbook research schools recognized 'teachers' instructional methods' as the most important area, while the least recognized area was 'support by the school'. The highest technology leadership needs by categories included 'role setting between members when implementing digital textbooks', 'instructional methods to cultivate creativity when using digital textbooks', 'troubleshooting digital textbook problems', 'additional staff support in case of problems', 'development of various assessment tools for measuring the effect of the digital textbook', and 'support of digital textbook resour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oposed specific methods to enhance technology leadership for the successful introduction of digital textbooks in schools.

  • PDF

A Study o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Habits, Health related Life Style and Health Condition of College Students in Chuncheon (춘천지역 대학생의 영양지식, 식습관,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 Kim, Bok-R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5 no.9
    • /
    • pp.1215-1223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nutrition knowledge, dietary habits, health related life style and health condition of 247 male and 244 female students at K University in Chunche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verage nutrition knowledge score and dietary habit score were 10.79 and 19.38 for male, and 10.89 and 19.48 for female, respectively. The percentage of those who smoked, drank and exercised regularly were 32.0%, 93.9%, 47.0% for male, and 6.1%, 91.8%, 24.6% for female, respectively. The health scores of the female (43.02)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male (46.26) (p<0.001). On female students,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dietary habits score and health score (p<0.01). College students are in early stage of adult life and their dietary habits, health related life style and health condition will be continued to their later life. This study may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he eating habits and health related life styles of college students.

Philosophical Stances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미래를 향한 간호교육이념)

  • Hong Yeo Shin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27-38
    • /
    • 1981
  • 오늘 저희에게 주어진 주제, 내일에 타당한 간호사업 및 간호교육의 향방을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의 논의는 오늘날 간호계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서 비롯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먼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이 당면한 딜레마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오고 있는가를 개관 하므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장래 간호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를 생각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사회의 하나의 특징은 세계 모든 나라들이 각기 어떻게 전체 국민에게 고루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체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실이라고 봅니다. 부강한 나라에 있어서나 가장 빈궁한 나라에 있어서나 그 관심은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읍니다. 보건진료 문제의 제기는 발달된 현대의학의 지식과 기술이 지닌 건강관리의 방대한 가능성과 건강 관리의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혜택간에 점점 더 크게 벌어지는 격차에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David Rogers는 1960년대 초반까지 갖고 있던 의료지식의 축적과 민간인의 구매력 향상이 자동적으로 국민 건강의 향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진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의료사업의 위기는 의료지식과 의료봉사간에 벌어지는 격차와 의료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그에서 얻는 건강의 혜택간의 격차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균등 분배의 견지에서 보면 의료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그 단위 투자에 대한 생산성을 낮춤으로서 오히려 장애적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이고 의료의 발달에 따른 일반인의 기대 상승과 더불어 의료를 태성의 권리로 규명하는 의료보호사업의 확대로 야기되는 의료수요의 급증은 모두 기존 시설 자원에 압박을 초래하여 전래적 의료공급체제에 도전을 가해 왔으며 의료의 발달에 건 기대와는 달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은 더욱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되었읍니다. 현시점에서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기아, 영양실조,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적 생활환경조성의 문제에서부터 가장 정밀한 의료기술발달에 수반되는 의료사회문제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각개 국가의 경제 사회적 여건이 이 문제의 성격을 결정짓고 있다고 볼수 있읍니다. 그러나 건강 관리에 대한 요구는 영구히,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요구에 속한다는 의미에서 경제 사회적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공히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자원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하나의 공통된 관점은 각기 문제의 상황은 달라도 오늘날의 건강 문제는 주로 의료권 밖의 유전적 소인,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인 환경여건과 각기 선택하는 삶의 스타일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오늘과 내일의 건강관리 문제는 의학적 견지에서 뿐 아니라 널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료의 고급화, 전문화, 일변도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기본건강관리체계 강화에 역점을 둔 다양하고 탄력성 있는 사업전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건강관리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위한 그간 세계 각처에서 시도된 새로운 건강관리 접근과 그 제안을 살펴보면 대체로 4가지의 뚜렷한 성격들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첫째는 건강관리사업계획 및 그 수행에 있어 지역 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일, 둘째는 지역단위의 일차보건의료에서 부터 도심지 신예 종합병원, 시설 의료에 이르기까지 건강관리사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는 일. 셋째로 의료인력이용의 효율화 및 비의료인의 훈련과 협조 유발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대한 제안과 넷째로 의료보험 및 각양 집단 의료유형을 포함하는 대체 의료재정 운영관리에 관련된 제안들을 들 수 있읍니다. 건강관리사업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의 의의는 첫째로 사회 경제적인 제약이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의료를 모두 고루 공급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정부재정과 지역사회가용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조적이고 자율적인 지역사회건강관리체제의 구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둘때로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민의 건강에 영향하는 많은 요인들은 실질적으로 의료권 외적 요인들로서 위생적인 생활양식, 식사습관, 의료시설이용 등 깊이 지역사회특성과 관련되어 국민보건의 실질적 향상을 위하여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여건이 된다는 점 입니다. 지역 단위별 체계적인 의료사업의 전개는 제한된 의료자원의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가 있을때 언제나 가까운 거리에서 경제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일차건강관리망을 통하여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얻으며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기초적인 진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의뢰에 대한 제2차, 제3차 진료에의 길은 건강관리사업의 질과 폭을 동시에 높고 넓게 해 줄 수 있는 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인력 관리에 관련된 두가지 기본 방향으로서는 첫째로 기존보건의료인력의 적정배치 유도이고 둘째는 기존인력의 역할확대, 조정 및 비의료인의 교육훈련과 부분적 업무대체를 들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관리의 기본 방향은 부족되는 의료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조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데에 두고 있음니다. 대체적 의료재정운영안은 대체로 의료공급과 재정관리를 이원화하여 주민의 경제능력이 의료수혜의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막고 의료인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과잉치료처치에 의한 낭비를 줄임으로써 의료재정의 투자의 효과를 증대하는 데(cost-effectiveness)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주변의료 사회적인 동향이 간호교육의 미래상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봅니다. 첫째로 장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정치, 사회, 경제, 환경적인 의료권 밖의 요인들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고 전제한다면 건강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의료사업의 접근에서 더나아가 문제발생의 근원이 되는 생활개선이라는 차원에서 포괄적 접근을 생각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깊이있는 이해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하는 교통수단, 통신망 mass media, 전력문제, 농업경영방법 및 조직적 사회활동 등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둘째로, 지역사회참여의 의의를 인정한다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고 의료집단과 각종 주민조직과 일반주민들 사이에서 협조적으로 일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위한 교육적 준비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자조능력 강화를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면 치료자에서 교육자로, 지도자에서 촉진자로, 제공자에서 지원자료의 역할의 변화 내지 다양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넷째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건강관리사업을 지향하는 보건의료의 이념적 방향과 그에 상응하는 구체적 접근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횡으로 연결되는 의사소통체계의 정립과 민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구심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할 교육적 과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으로 전개될 건강관리사업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적 측면과 질병진료 및 회복과 재활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공공 의료부문과 사설의료기관 사이에 나누어져 있던 예방의학과 치료의학의 통합 뿐 아니라 정부주축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역사회개발사업 및 농촌지도사업과 종교 및 각종 민간인 집단이 벌이고있는 사업들과의 전체적인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종래 간호교육이 강조하지 않던 진료의 의무와 대외적 조직활동에 대한 보완적인 교육조치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간호의 학문체계로서의 입장은 오랜 역사를 두고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이 어떤 것이 간호 특유의 지식체계이며 건강문제에 관련하여 무엇이 간호특유의 결정영역이며 이 결정과 그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적 행위로 옮길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근래에 제시된 여러 간호이론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개념들로선 우선 간호학문을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인간의 전인적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학제적 과학으로서보는 입장이 있고 따라서 생물신체적인 면 외에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과 질병문제를 생각한다는 지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읍니다. 간호교육은 간호계 내적인 학문적, 이론적 체계화의 요구에 못지않게 대민봉사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하는 중요과제를 안고있어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당면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간효역할 확대, 보건진료원훈련 등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려는 조치가 되겠읍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간호계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종래의 의사들의 외업무공급을 연장 확대하는 입장에 서서 간호의 특수전문직 명목을 흐리게 할수있는 위험을 감수할 것인지 아니면 가능한 대체방안을 갖고 간호전문직의 독자적인 진로를 개척하면서 다각적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든지 그 방향을 뚜렷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이미 잘 훈련된 간호원들과 조산원들의 교육적, 경험적 배경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최일선 건강관리요원으로 사회적 효능을 다 할수 있는 일차건강관리간호조직의 구현을 대체방안으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간호원과 조산원들의 훈련된 역량과 건강관리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화시킨다면 대부분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해결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물론 정책과 의료와 행정적지원이 활성화되어지는 환경속에서만 그 기대하는 결과가 확대되리라는 점 부언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 오늘의 주제 ''교육의 동역자-선생과 학생''이라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회정의적 입장에서 보는 의료사업전개에 지역민 내지 의료소비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현시점에 있어 교육자와 학생이 교육의 현장에서 서로 동역자로서 학습의 책임을 나누는 경험은 아주 시기적으로 적합하여 교육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수반되어져야 할 역할의 변화에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적극 실제적용하려 노력하는 선생앞에서 자주적 결정을 행사해본 학생이야말로 건강관리대상자로 하여금 같은 결정권을 행사할수 있도록 촉구하여 주민의 자조적 역량을 기르고 의료사업의 민주화, 인간화를 이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 바입니다.

  • PDF